본문 바로가기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48

헐벗은 나무의 아름다움 봄볕이 따스합니다. 생명이 출렁거리는 계절입니다. 그야말로 시들고 죽어가고 있던 것들마저도 새로운 기운을 얻어 기뻐하는 시간입니다. 대학 교정에는 청춘의 활기가 그득합니다. 캠퍼스 이곳저곳 숲 속에는 희망을 나누는 젊은이들의 모습이 아름답기만 합니다. 세상이 어찌 돌아가든 그곳에는 내일의 힘이 자라나고 있어 감사할 따름입니다. 《황금가지》를 쓴 신화연구가 조지 프레이저는 겨울과 봄의 투쟁을 말하고 있습니다. 풍요를 비는 곡물제를 지내면서, 겨울의 차가운 바람을 이겨내는 봄의 소생을 기원하는 고대사회의 모습을 그는 계절의 권력교체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현상적으로 보면, 겨울은 자신의 주도권을 봄에게 넘겨주고 쓸쓸히 퇴장하는 듯 합니다. 패장의 모습입니다. 하지만, 어느 시인이 말했듯이 겨울은 봄을 잉태합니.. 2023. 5. 8.
도리어 애틋한 시작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 도리어 애틋한 시작 시간이 빈틈을 보이는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어김없는 순서로 계절은 우리에게 육박해 들어오고, 우리는 때때로 그것을 마치 기습이나 당한 것처럼 여기기조차 합니다. “어느 새”라는 말은 우리의 무방비한 자세를 폭로하는 것이지 시간의 냉혹함을 일깨우는 말은 아닙니다. 활을 한 번도 쏘아본 경험이 없는 사람들마저도 한해의 마지막 달력을 응시하는 순간, “세월이 쏜 살 같다”는 표현이 전혀 낯설거나 또는 자주 들었다고 해서 구태의연하지 않음을 느끼게 됩니다. 나이만큼 그 속도는 비례한다고 하는 이야기는 그리 헛되지 않습니다. 남은 시간에 대한 자세의 차이가 가져오는 속도감의 격차입니다. 그러나 꼭 그렇게만 볼 수는 또 없을 지도 모릅니다. 나이보다는 지금 서 있는 자리.. 2021. 12. 1.
이름값을 못하고 살아가는 ‘양아치과’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37) 이름값을 못하고 살아가는 ‘양아치과’ ‘양아치’라는 말은 들판을 뜻하는 한자의 ‘야(野)’와 사람을 뜻하는 ‘치’가 합쳐진 말이라고 합니다. 중간에 ‘아’가 들어가는 것은 두 단어를 부드럽게 이어주는 어투입니다. ‘야’가 ‘양’으로 변하는 것은 ‘송아지’, ‘망아지’의 생성과정과 유사합니다. 아무튼 ‘양아치’는 들판을 마구 돌아다니며 천방지축(天方地軸)으로 살아가는 이를 일컫는 말이었다고 하겠습니다. 어찌 보면 이 양아치라는 말은 농경사회가 확립되어가면서 유목생활을 했던 시대를 청산하는 과정에서 나온 말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농경생활이 주도권을 잡아가면서 유목민적 생활양식은 점차 비하의 대상이 되어갔던 셈이 아닌가 하는 것입니다. 한 자리에 뿌리박고 살아가는 시대에, ‘양.. 2021. 10. 6.
베트남 여성을 우습게 여기는 우리의 부끄러움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 베트남 여성을 우습게 여기는 우리의 부끄러움 이라는 나라의 이름은 1970년대 세계반전 운동의 푯대였다. 프랑스의 식민지배에 맞서 오랜 항불 투쟁을 해왔던 호지명은 이미 당시 제3세계에서 존경받는 지도자의 한 사람이었다. 프랑스에도 굴하지 않았고, 잠시 이 나라를 점령했던 일본에도 항복하지 않았던 호지명과 그의 조국 베트남. 미국은 이 나라를 침략했지만 결국 손을 들고 나올 수밖에 없었다. 1953년, 프랑스가 베트남에서 축출된 이후 베트남에서는 제네바 회의의 결과로 평화적인 선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었다. 프랑스가 지배했던 남베트남과, 이미 해방이 된 북베트남의 통일 선거가 예정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미국은 이렇게 해서 베트남이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국가가 되는 것을 그대로 .. 2019. 7. 8.
카잔차키스의 영혼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 카잔차키스의 영혼 어떤 현실에도 굴하지 않는 원시적 힘을 가진 사나이 와 인간적 유혹 속에서 마침내 자신을 지켜낸 예수를 그린 은 서로 다른 이야기인 것 같지만 사실 하나로 묶인다. 그건, 무수한 고난과 좌절 그리고 절망 앞에서 결국 무너지지 않은 인간에 대한 갈망이다. 이 두 작품은 모두 그리스 출신의 니코스 카잔차키스가 세상에 충격을 준 글이다. 크레타 섬에서 태어난 그는, 터키에 지배받아왔던 그리스의 독립을 위해 투쟁한 가계의 자손이었다. 그는 강인해야 했고, 그 어떤 상황도 이겨내야 했다. 두려움을 정복하고, 희망의 봉우리에 올라서야 했다. 니코스 카잔차키스가 말년에 집필한 에서 카잔차키스가 어떻게 자신을 뜨겁게 일구어냈는가를 목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자서전이 얼마나 문학.. 2019. 6. 8.
5월의 능선에서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 5월의 능선에서 우리에게 5월은 유난히 격동의 시간들이 기록되어 있다. 하필 5월인가 싶은 질문을 굳이 던져본다면, 더 이상 미룰 수 없고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그런 계절의 지점이어서 그런가 싶기도 하다. 이 때를 그냥 보내면 여름이 다가오고, 그러다보면 무언가 계기를 잡아내기 어렵다고 여기기 때문일까? 5월은 그런 점에서 어떤 고비를 힘겹게 넘어서는 경계선에 있는 듯 하다. 이런 느낌은 달리 말하자면, 초조감과 통한다. 이후의 시간은 너무나 쏜살같이 흘러서 그만 정신을 바짝 차리지 않으면 어느새 연말의 지점에 자신이 서성거리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도 있다. 그건 당혹스러운 일이다. 마땅한 결실도 제대로 잡지 못한 채 그렇게 되어버린다면 또다시 새롭게 오는 일년에 기대를 걸 수밖에.. 2019. 5. 9.
김광석 21주기, 그 노래 그 사람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44) 김광석 21주기, 그 노래 그 사람 “집 떠나와 열차 타고 훈련소로 가던 날…”로 시작되는 그의 노래 는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젖어들게 했습니다. 군대를 다녀오지 않은 사람들에게조차도 그의 이 노래는 마치 우리 모두가 함께 통과해온 시간들에 대한 깊은 추억처럼 남게 됩니다. 그의 특이하게 애조 띤 목소리와 아무런 꾸밈없이 말하듯 다가오는 가사, 그리고 소박한 풍경화 같은 곡들은 한 시대의 눈물과 사랑을 일깨운 것입니다. “김광석” 우리 노래의 역사 속에서 너무도 일찍 아쉽게 사라진 하나의 별 같은 존재. 그의 21주기가 바로 오늘입니다. 영화 에서 배우 송강호가 북한 인민군 장교로 나와, 남한 군과 어울려 이 노래를 듣다가 “광석이 갸는 와 길케 일찍 갔네?”하고 난데없이 슬.. 2017. 1. 6.
소리의 자본주의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44) 소리의 자본주의 요시미 순야(吉見俊哉)라는 일본의 문화 사회학자가 쓴 는 전화로부터 시작해서 라디오나 축음기에 이르는 사회사를 그려내고 있습니다. 제목이 라고 붙은 것을 봐도, 저자의 인식이 어디에서 출발하고 있는지를 알 수가 있습니다. 자본주의 발달 과정에서 소리가 돈벌이가 되어가는 현실을 보여준 셈이었습니다. 전화나 라디오, 그리고 축음기는 다만 소리를 전달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그것이 하나의 사업이 되고 또 정치적 의미를 가지게 되면서 통신과 대중문화를 누가 지배할 수 있을 것인가의 문제로 이어지게 마련이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전화가 애초에 라디오 중계의 전신의 단계를 거치기도 했다는 사실입니다. 말하자면 전화는 통신수단으로서 확대되어가기 전에 이미 오락적 요소로 그.. 2016. 8. 9.
고독한 바다와 마주하며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43) 고독한 바다와 마주하며 대학시절에 보았던 바다는 분명 아니었습니다. 동해 경포대의 백사장은 너무나 많이 망가져 있었습니다. 눈부시도록 아름답고 길고 넓게 펼쳐져 있던 모래 길은 뚝 끊어진 채, 과장하자면 손 뼘 만 한 백사장만 남기고 그대로 바다와 만나고 있었습니다. 여유와 품위를 잃어버린 해변은 우울해 보였습니다. 싸구려 유흥가로 변해버린 바다는 생존의 치열한 경쟁 끝에 기진맥진해버린 민초들의 절망을 닮아 있다는 느낌이었습니다. 누군들 그렇게 바다에 초라한 진을 치고 호객의 자리를 펴고 싶었겠냐는 항변이 들려오는 듯도 했습니다. 모두가 아귀다툼 끝에 뜯어먹은 바다가 뼈만 앙상하게 남은 모습입니다. 소나무가 울창하게 자라고 있던 작은 섬들은 이미 점령당한지 오래이며, 맑고 투.. 2016.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