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희철의 '두런두런'1157

선생님의 따뜻한 사랑 실내화를 안 가지고 학교를 갔다. 빈 실내화 주머니를 가지고 간 것이다. 맨발로 교실에 있었다. 규덕이 보고 실내화를 가지고 오라고 전화를 했는데도 규덕이는 실내화를 가지고 오지 않은 것이다. 학교에서 계속 맨발로 지냈다. 집에 와서 물어보니 학교에 가지고 왔는데 잊어버리고 나한테 안 준 것이었다. 다음부터는 꼭 챙겨야지. -그렇게도 정신이 없었니? 6.25땐 아기를 업고 간다는 게 베개를 업고 피난을 간 사람도 있었다더라. 초등학교 5학년인 조카 규애가 연필로 쓴 일기 밑에는 빨간색 글씨의 짧은 글들이 있었다. 물으니 담임 선생님께서 써 주시는 것이란다. 반 아이들 일기도 마찬가지란다. 흔히 ‘검’자나 ‘참 잘 했어요’ 도장을 찍어 주는 게 예사인 줄 알았는데 그 선생님은 달랐다. 규애의 일기 밑에는 .. 2021. 9. 13.
식구 아이들이 1일 캠프를 다녀오게 되었다. 동부선교원 어린이들이 캠프를 가는데 같이 가기로 했다. 이숙희 선생님의 배려였다. 저 어린 것들을 보낼 수 있을까. 놀이방 엄마들은 걱정을 하면서도 하룻밤 떨어져 지내는 아이들의 대견한 모습을 확인하고 싶어도 했다. 소리와 규민이도 마찬가지였다. 울지나 않을는지, 대소변은 제대로 가릴지 은근히 걱정이 되었다. 떠나기 전날 짐을 꾸리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해 녀석들의 마음가짐을 도와준다. “엄마 아빠 보고 싶다고 울고 보채는 거 아냐?” 슬쩍 말을 돌렸더니 뭔가 생각난 듯 소리가 대답했다. “이러면 되겠다. 엄마 아빠 옷 중에서 안 입는 옷을 하나씩 가져가는 거야. 엄마 아빠가 보고 싶으면 옷을 꺼내 보면 되잖아. 잠 잘 때도 옷을 만지면서 자면 되고.” 엉뚱한 딸의 .. 2021. 9. 11.
무모한 명분 허전함과 괴로움과 두려움. 언제부터인지 그런 감정들이 서로 뒤섞여 가슴 한쪽 거친 똬리를 틀고 신기하게 날 거기 잡아넣는다. 애써 아닌 척 하지만 그걸 느낄 때마다 가슴이 눌린다. 함께 사는 이들의 속살 보듯 뻔히 뵈는 아픔, 설움, 거짓을 두고 난 그저 무력할 뿐. 그게 두려워 괴로워 모른 척 하고. 또한 바람처럼 쉽게 헐값으로 회자되기도 하는 가벼움. 정말 내 삶은 어디에 소용 닿는 것인지. 견딘다는 건 무모한 명분 아닌지. - 1989년 2021. 9. 10.
공부와 일 도시의 학생들이 제일 싫어하는 말이 ‘공부해라’라면, 시골 학생들이 제일 싫어하는 말은 ‘일해라’일 것이다. 학교에서 다녀와 책가방을 놓기가 무섭게 떨어지는 말이란 도시에서는 공부해라요 시골에서는 일해라는 것이다. 서울과 수원에서 교육전도사 생활을 하며 느꼈던 건 대개의 부모들이 신앙보다는 진학문제를 더 중시한다는 것이었다. 까짓 1,2년쯤 예배를 쉬더라도 공부만 열심히 하여 좋은 학교에 진학하면 되는 것이고, 그 후에 교회에 나가 안정된 위치에서 봉사하면 되지 않겠냐는 것이 대부분 부모들의 심리였다. ‘공부해라’라는 계속되는 말로 심어주는 것은 미래에 대한 꿈이 아니라 하나의 강박관념뿐이라고 하는 것을 미처 헤아리지 못하는 것이다. 그런데 일손이 늘 달리는 시골에서는 자연히 공부보다는 일에 대한 요구가.. 2021. 9. 9.
덕이 숨어있는 마을 덕유산(德裕山)이라는 산명(山名)은 그윽했다. 덕이 넉넉하다는 뜻도 그러하려니와, 덕유라는 어감 또한 그 뜻하고 멀지가 않아 그윽한 맛이 풍긴다. 바로 옆 동네 조귀농에서 다리 하나를 건너면 충청북도 땅인데 그곳 지명이 덕은리다. 충청 중원군 소태면 덕은리가 된다. 덕은리 입구에는 목판에 새긴 이정표가 서 있다. ‘德隱里’라 한문으로 써 있다. 덕이 숨어있는 마을, 애써 드러내지 않아도 은은히 덕이 배어나는 마을이라는 뜻일까. 흐르는 남한강과 아름답게 어우러진 덕은리 마을. ‘덕은’이라는 이름이 귀하다. 늘 그 이름 감당하며 사는 좋은 마을 되었으면. - 1989년 2021. 9. 8.
별과 별빛 “별빛을 우리가 보았을 때 그 별은 이미 죽어있을 지도 모른답니다.” 한 귀퉁이, 늘 그만한 네모 크기로 같은 책을 고집스레 소개하는 . 짧게 실리는 글들이 늘 시선을 끌었는데, 며칠 전의 글은 위와 같았다. 기쁨이나 슬픔 그 어떤 것이 계기가 되었다 하여도 우리가 다른 이에 대해 관심을 가질 때, 때론 그것이 이미 때 지난 것일 수도 있다는, 어쩜 늘 그런 것이 아니냐는 아픈 지적이었다. - 1989년 2021. 9. 7.
가슴이 뛰네 여름이가 곰 인형을 안고 “어 가슴이 뛰네!” 했을 때도, 고임이가 받아들고 “어, 정말 가슴이 뛰네!” 했을 때도, 그들의 성화에 사모님이 곰 인형을 받고 “어, 정말이네!” 했을 때도 믿지 않았다. 그들이 모두 돌아간 후 집 사람이 “어 정말 가슴이 뛰네!” 놀라 말했을 때도 그랬다. 혹시나 싶어 손을 갖다 댔을 때 분명 곰 인형의 가슴이 쿵덕쿵덕 뛰고 있었다. 윗작실 아기 난 집 선물 하려고 오천 원에 두 마리 길거리에서 산, 한 마리 보내고 한 마리 텔레비전 위에 올려놓은 노란색 작은 곰 인형, 곰 인형의 가슴이 정말로 뛰고 있었다. 덩달아 뛰는 가슴, 아, 가슴이 뛰네. - 1987년 2021. 9. 6.
그때 하나님은 무엇을 하였을까? 세상에 별일도 다 있다. 저녁예배를 드리러 가시던 할머니 한 분이 교회로 가던 도중에서 살해되었다. 이곳 섬뜰에서 10분 거리밖에 안 되는, 바로 옆동네 조귀농에서 일어난 일이다. 지난주일 저녁, 강원도와 충청북도를 연결하는 다리 건너편에 있는, 새로 시작한지 얼마 안 되는 교회로 가던 할머니가 변을 당했다. 범인은 뱀을 잡는 30대의 땅꾼이었다 한다. 사건 당시 시끄러운 소리를 들은 사람도 있었지만, 술 먹은 사람끼리 싸우는 것인 줄 알고 관심을 갖지 않는다고 한다. 그렇게 할머니를 목 졸라 죽이곤 할머니 가방 안에 들어있던 600원으로 술을 마셨다고 한다. 할머니가 살해됐다는 사실보다는 그 할머니가 교회에 예배드리러 가다가 변을 당했다는 것이 사람들의 얘깃거리였다. 호기심조로 말하지만 그 속에는 우리.. 2021. 9. 5.
불씨 ‘목회수첩’을 쓰기가 점점 어렵다. 실은 쓸 만한 얘기 거리들도 별로 없다. 뭔 좋은 소식이라고 어둡고 눅눅한 얘기들을 굳이 계속 쓰는가. 아프고 설운 얘기들, 결국은 나와 함께 사는 이들의 이야기인데. 그걸 나는 무슨 기자나 된 듯 끼적이고 있으니. 그러나 함께 아파하는 마음이 남아있는 한 멈추지 않기로 한다. 고발이니, 의미 부여니, 변명처럼 이유를 댈 건 없다. 그냥 하자. 화로에 불씨 담듯 아픔을 담자. 꺼져가는 불씨 꺼뜨리지 말자. - 1987년 2021. 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