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희철의 '두런두런'1157

소리의 열쇠 한희철의 얘기마을(110) 소리의 열쇠 “한희철 목사님”“강은미 사모님”“한소리”“한규민” 저녁 무렵, 마당에서 혼자 놀던 소리가 날이 어두워지자 집으로 들어옵니다. 문이 닫혀 있습니다. 그러자 소리는 닫힌 문을 두드리며 차례대로 식구 이름을 댑니다. 짐짓 듣고도 모른 체 합니다. 소리는 더 큰 목소리로 또박 또박 식구 이름을 다시 한 번 외쳐댑니다. 웃으며 나가 문을 열어줍니다. 소리가 히힝 웃으며 들어옵니다. 손에 얼굴에 흙이 가득합니다. 며칠 전 문을 열어 달라 두드리는 소리에게 아내는 식구 이름을 물었습니다. “누구니?”“소리”“소리가 누군데?”“한소리요.”“아빠가 누구지?”“한희철 목사님”“엄마는?”“강은미 사모님”“동생은?”“한규민” 그제서야 “응 소리가 맞구나” 하며 문을 열어 주었던 것입니.. 2020. 10. 10.
새집 한희철의 얘기마을(109) 새집 새집을 하나 맡았다. 저녁 무렵 교회 뒤뜰을 거닐다 우연히 새집을 찾게 된 것이다. 들로 산으로 나다니기 좋아했던 어릴 적, 우리가 잘했던 것 중 하나는 새집을 찾는 일이었는데, 새집을 찾으면 찾았다고 하지 않고 ‘맡았다’고 했다. 그때 우리는 쫑긋거리며 나는 새의 날갯짓만 보고도 새집의 위치를 짐작해 낼 만큼 그런 일에 자신이 있었다. 교회 뒤뜰을 거닐 때 새 한 마리가 얼마간 거리로 날아 앉곤 했는데, 부리엔 벌레가 물려 있었다. 제 새끼에게 먹일 먹이가 틀림없었다. 난 사택 계단 쪽으로 지긋이 물러나와 새를 바라보기 시작했다. 그러나 새는 미심쩍은 나를 의식해서인지 여간해선 둥지로 들지 않았다. 그러기를 30여분, 나는 어릴 적 감을 되살려 마침내 새집을 찾아내고야 .. 2020. 10. 9.
틀린 숙제 한희철의 얘기마을(108) 틀린 숙제 은진이가 숙제를 합니다. 맞는 답을 찾아 선으로 연결하는 문제입니다. 1+4, 2+1, 4+3 등 문제가 한쪽 편에 있고 3,5,7 등 답이 한쪽 편에 있습니다. 은진이는 답을 찾아 나란히 선을 잊지 못합니다. 답이 틀린 게 아닙니다. 찍찍 어지러운 선으로 은진이는 아예 그림을 그렸습니다. 불안기 가득한 커다란 두 눈 껌뻑이며 아직 말이 서툰 1학년 은진이. 은진이의 숙제를 보며 마음이 아픈 건 우리 삶 또한 수많은 관계와 관계, 만남과 만남, 과정과 과정으로 연결된 것일 텐데, 은진이의 경우 그 모든 것들을 차분히 잇지 못하고 어지러이 뒤엉키고 말 것 같은 걱정 때문입니다. 휑하니 무관심 속에 버려진, 누구하고도 나란히 선으로 연결되지 못한 은진이.은진이가 틀린 숙.. 2020. 10. 8.
효험 있는 청소 한희철의 얘기마을(107) 효험 있는 청소 벌써 몇 번째인지 모릅니다. 동구 밖과 집, 지집사님은 연신 동구 밖과 집을 왔다 갔다 합니다. 종종걸음으로 동구 밖으로 나와 신작로를 바라보다가 누가 부르기라도 한 듯 다시 집으로 달려가곤 합니다. 그런 집사님의 얼굴엔 웃음이 가득합니다. 부천에 나가 살고 있는 둘째 아들이 교제하는 여자와 인사드리러 온다고 전화를 한 것입니다. 집과 동구 밖을 오가는 것으로 봐선 집사님은 집 아궁이에 찌개를 올려놓은 게 분명합니다. 오랜만에 오는 아들도 아들이지만 새 며늘아기 될 아가씨에게 오는 대로 따뜻한 상을 차리고 싶었을 것입니다. 저녁 해가 기울고 산 그림자를 따라 땅거미가 깔릴 때에야 기다리던 아들과 예비며느리가 왔습니다. 첫 번째로 부모님을 찾아뵙는 떨림과 부끄러움.. 2020. 10. 7.
어디까지 떠밀려야 한희철의 얘기마을(106) 어디까지 떠밀려야 어렵게 한 주일이 갔습니다. 작은 농촌엔 별다른 일도 드물어 그저 그런 일들이 꼬리 물 듯 반복되곤 했는데, 이번 주 있었던 두 가지 일들은 무척이나 마음을 어둡고 무겁게 만들었습니다. 봉철이가 퇴학을 맞았습니다. 막 새로운 친구들을 사귀어 한참 신나게 공부하고 뛰어놀 때인 중학교 1학년. 봉철이가 더 이상은 학교를 못 다니게 되었습니다. 며칠인지도 모르고 계속 결석을 했던 것입니다. 공부가 싫다고, 학교 가기 싫다고 봉철이는 아침마다 어디론가 숨어버리고는 했습니다. 그걸 안 주위 분들이 야단도 치고 달래기도 하면서 노력했지만 끝내 봉철이 마음을 학교로 돌리지는 못했습니다. 무엇보다 봉철이가 야단을 맞을 일이지만 그래도 마음 아픈 데가 없지는 않습니다. 돌아가.. 2020. 10. 6.
망초대 한희철의 얘기마을(104) 망초대 지집사가 또 울먹이며 기도를 했다. 며칠인지 모르고 장마가 지고 또 빗속 주일을 맞아 예배드릴 때, 지집사 기도는 눈물이 반이었고 반은 탄식이었다. “하나님 모든 게 절단 나고 말았습니다. 무 당근은 썩어가고, 밭의 깨는 짓물러 나오지도 않았습니다.” 불어난 물에 강가 밭이 잠기기도 했고, 그칠 줄 모르는 비, 기껏 자라 팔 때가 된 당근이 뿌리부터 썩기 시작해 팔 길이 막막해진 것이다. 제법 많은 당근 밭을 없는 선금 주고 미리 사들인 부론의 오빠가 몸져누운 데다가, 송아지 날 때가 지났는데도 아무 기미가 없어 알아보니 새끼를 가질 수 없는 소라는 우울한 판정을 받은 것이 곡식 절단 난 것과 맞물려 지집사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었다.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모르겠다고 한.. 2020. 10. 5.
끊어진 이야기 한희철의 얘기마을(103) 끊어진 이야기 옛날, 어떤 사람이 소를 잃어버렸어요. 소가 여간 귀해요? 큰일 났다 싶어 이 동네 저 동네를 찾으러 다녔죠. 어떤 동네에 이르러 보니 저기 자기 집 소가 있더래요. 어떤 집 외양간에 매어 있는데 분명 자기 소더래요. 집주인을 만나 사정 얘기를 하고선 소를 돌려달라고 했죠. 그랬더니 집주인이 펄쩍 뛰더래요. 우시장에서 사왔다는 것이죠. 문제가 시끄럽게 되자 할 수 없이 관청에 알리게 되었는데, 소는 한 마리에 서로가 주인이라니 소더러 물어볼 수도 없고 난감한 일이었죠. 그런데 원님이 참 지혜로웠어요. 소에 쟁기를 매게 하고선 한 사람씩 소를 부려보라 한 거예요. 자기 외양간에 소를 매 놓은 사람이 “이랴, 이랴” 아무리 소를 부려도 소가 꿈쩍도 않더래요. 회초리로.. 2020. 10. 4.
한희철의 얘기마을(102) 벼 하나 둘벼가고개를 숙인다. 고맙다고하늘 향해절을 한다. 절 하나하나가무겁다. - (1993년) 2020. 10. 3.
광철 씨 한희철의 얘기마을(101) 광철 씨 지난 가을의 일입니다. 아침부터 찬비가 내리던 날이었습니다. 김남철 씨가 회사로 출근을 하기 위해 집을 나섰습니다. 지난해 마을 보건소장님과 결혼한 김남철 씨는 원주에 있는 한 건설회사에 다니고 있는데, 트럭을 몰고 출퇴근을 합니다. 강가 길을 신나게 달려 조귀농 마을로 접어들 때였습니다. 앞에 누군가 비를 맞고 걸어가고 있었습니다. 이른 아침이기도 했고 빗속 우산도 없이 누가 웬일일까 싶어 차를 세웠습니다. 보니 광철 씨였습니다. 마른 몸매의 광철 씨가 그냥 비를 맞아 온 몸이 젖은 채로 걸음을 멈췄습니다. 광철 씨는 일을 하러 가는 중이었습니다. 전날 무 뽑는 일을 하겠다고 일을 맞췄던 것입니다. 그만한 비라면 일이 미뤄질 만하고, 안 가면 비 때문이려니 할 텐데,.. 2020.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