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숙의 글밭/하루에 한 걸음 한 마음 플라스틱 그릇과 찻잎 찌꺼기 한종호 2021. 6. 19. 05:52 엄마가 일하러 나간 후 배고픈 아이들만 있는 빈 집으로 짜장면, 짬뽕, 마라탕, 베트남 쌀국수, 떡볶이 국물이 이따끔 지구를 돌고 돌아가며 다국적으로 배달이 된다 늦은 밤 높이 뜬 달을 보며 집으로 돌아오면 한 끼니용 플라스틱 그릇들이 오도 가도 못하고 있다 공장에서 기름으로 만든 일회용 플라스틱 그릇에 먹다가 남긴 배달음식들도 죄다 기름투성이들 주방세제를 열 번을 뭍혀가며 제 아무리 문질러도 기름과 기름은 서로 엉겨붙어 미끌미끌 나를 놀린다 그냥 대충 헹구어 재활용 폐기물로 버릴까 하다가 천 년의 세월이 흘러도 썩지 않는다는 플라스틱이라 오늘날 이 땅을 살아가고 있는 나 하나라도 하나의 쓰레기라도 줄이자는 한 생각을 씨앗처럼 숨군다 주방세제를 뭍히고 또 뭍히고 씻겨내고 또 씻겨내어도 미끌미끌 저 혼자서 기름과 씨름하다 보면 이렇게 쓰는 물이 아깝다는 생각도 들고 집 앞으로 흐르는 강물과 바다한테까지 내가 몹쓸 짓을 하고 있다는 생각도 들고 자연한테 미안한 마음에 속울음을 울면서도 그렇게 미련한 짓을 쉬 멈출 수 없는 이유를 찾느라 기름과 물 사잇길로 사색의 풀숲을 헤치며 나가다 보면 저 멀리 사색의 길 끝으로 한 점의 별빛이 보인다 농사의 신 염제신농씨(炎帝神農氏)의 이야기가 생각난다 이름 모를 풀을 먹고서 죽어가는 민초들을 불쌍히 여겨 백 가지의 풀을 먼저 먹어본 후 알려주었다는 신농 그 자신도 독초인 줄 모르고서 뜯어먹은 후 죽어가다가 우연히 바로 옆에 있던 나무의 잎을 뜯어먹게 된 신농 그 잎으로 해독이 되어서 다시 살아났다는 신농과 차나무의 이야기가 해처럼 떠오른다 차를 마신 후 무심코 버리던 찻잎 찌꺼기를 그냥 개수대 한 곳에 모아두기로 한 후 기름으로 엉겨붙은 플라스틱 그릇을 살살 문질렀더니 찻잎 찌꺼기 점잖게 지나간 자리마다 맑게 갠 하늘이다 깨끗하게 씻긴 플라스틱 그릇에는 무엇을 담을까? 앞으로 기름기가 있는 음식은 되도록이면 피해야지 여름날 수박과 토마토를 잘라서 담아두기로 했다 학교 갔다 돌아오면 갈증도 나고 배가 출출한 아이들 가볍고 밀폐도 잘 되는 일회용 플라스틱 그릇은 아이들이 바로 꺼내 먹을 수 있는 과일 그릇으로 딱이다 그리고 물로 기름때를 씻느라 설거지를 하다 보면 눈에 보이지 않지만 숨어 있는 내 몸속의 길이 아득하다 지구를 세 바퀴 돌고 도는 만큼의 길이라는 내 몸속의 길로 무엇을 흘려보낼지 말지 생각하게 된다 문득 창밖에서 들려오는 빗소리에도 마음은 이렇게 씻기어 흐르는데 저작자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