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석의 ‘하늘, 땅, 사람 이야기
아름다운 것을 함께 본다는 것
한종호
2021. 10. 22. 12:09
“내가 나 자신에게 하는 말을 네게 들려주고 싶다.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도 행동해야 할 때이다. 에너지가 차올랐다. 그러니 쟁기를 손에 잡아라. 우리는 강해짐으로 강해질 수 있고, 믿음으로 믿음을 배울 수 있고, 사랑함으로 사랑을 배울 수 있다.”(빈센트 반 고흐가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글 중에서, Carol Berry, <Vincent van Gogh>, His Spiritual Vision in Life and Art, Orbis, p.68)
주님의 은총과 평화를 빕니다.
10월이 깊어가고 있습니다. 계절은 벌써 상강(霜降)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어느 분이 교회에 작은 국화 화분 12개를 보내주셔서 현관 앞에 두었습니다. 국화가 외로울까봐 가끔 밖으로 나가 눈인사를 나누곤 합니다. 슬그머니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를 떠올리기도 했습니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 같이 생긴 꽃이여”.
지나치게 화려하여 눈길을 끌지도 않고, 수수한 듯하면서도 기품이 있는 국화꽃이 아름다운 계절입니다. 추수감사절을 앞두고 크고 좋은 국화 화분을 장만하여 교우들 맞을 생각입니다. 화단에 있는 양달개비는 때를 잊었는지 새로운 꽃을 피웠다 지기를 반복하고 있고, 꽃댕강나무도 여전히 꽃을 피워 향기를 내뿜고 있습니다. 지난 6월경부터 예쁘게 피기 시작한 일일초는 조금 기운이 약하여지긴 했지만 며칠마다 새로운 꽃을 피워내며 끈질긴 생명력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꽃 시절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알기에 안간힘을 다하여 꽃을 피워올리는 나무들을 응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지난 월요일, 교우 아버님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대전에 다녀왔습니다. 창밖으로 산을 내다보며 가는 길이 지루하지 않았습니다. 단풍의 시간은 다가오지 않았는지 산은 아직 형형색색으로 물들지 않았더군요. 추수를 이미 끝낸 논도 보였고, 가지런하게 서 있는 벼포기가 바람에 일렁이는 논도 보였습니다. 길가에 선 은사시나뭇잎이 오가는 차량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었습니다. 빈소는 대개 슬픔의 공간이지만 늘 그런 것만은 아닙니다. 고인이 아름다운 인생을 사셨고, 가족들의 우애가 깊을수록 빈소는 따뜻한 공감과 사랑이 깃드는 장소가 되기도 합니다. 서울로 돌아오는 길, 왠지 가을산을 느껴보고 싶은 마음에 인근에 있는 계족산을 찾아 한 시간 정도 황톳길을 걸었습니다. 검은 양복에 구두를 신고 있었지만 마음은 사뭇 유쾌했습니다. 흙을 느껴보고 싶어 맨발로 황톳길을 조금 걸었습니다. 발은 아리도록 시렸지만 흙이 주는 탄력을 느낄 수 있어 좋았습니다.
몇 해 전까지만 해도 월요일이면 가까운 산에 오르곤 했습니다. 월요일에는 아예 다른 일정을 잡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산을 향하는 발걸음이 뜸해졌습니다. 주중에는 시간을 토막을 내 사용해야 하기에, 옹근 시간을 들여서 해야 할 일은 늘 월요일로 미루곤 했던 것입니다. 일단 그런 일이 습관이 되자 더러 일정이 비어 있는 날에도 배낭을 메고 밖으로 나갈 생각을 품지 않게 되었습니다. 교우들 가운데 산에 가서 찍은 사진과 영상을 SNS에 올리는 분들이 계십니다. 얼마나 부러운지 모릅니다. 얼마 전 설악산 공룡능선을 걸으며 찍은 교우의 영상을 보며 ‘와우, 와우’ 감탄사만 터뜨렸습니다. 절경 앞에 서면 사람은 말을 잊게 마련입니다. 아름다움 앞에 설 때 사람은 오염된 말을 버리고 침묵 속에 젖어듭니다. 정화의 시간입니다. 땀 흘림이 없다면 그런 체험도 불가능할 것입니다.
그 영상을 보다가 문득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가 방문했던 지리학자의 별이 떠올라 쓰디쓴 웃음을 지었습니다. 그 별은 어린왕자가 지구에 오기 바로 직전에 들렀던 곳입니다. 어린왕자가 그 별에 도착하자 책상 위에 커다란 책을 펼쳐놓고 있던 늙은 신사가 그를 맞아줍니다. 그는 어린왕자에게 “어디서 오는 거냐?”고 묻고는 자기를 지리학자라고 소개합니다. 지리학자는 뭐 하는 사람이냐고 묻자, 바다와 강과 도시와 산 그리고 사막이 어디에 있는지를 아는 사람이라고 말합니다. 어린왕자가 그 별에도 강이나 산 그리고 사막이 있냐고 묻자 지리학자는 ‘모른다’고 대답합니다. 자기는 탐험가가 아니기 때문에 그걸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는 탐험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그들의 기억이 진실하다는 판단이 들 때면 기록하는 것이 자기 사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현실과 학자적 거리를 두고 사는 판단 강박증 환자입니다.
학자다운 호기심을 품고 그는 어린왕자의 별에 대해 묻습니다. 어린왕자가 자기 별은 아주 작다면서 그 별에는 불이 있는 화산이 둘이 있고 불이 꺼진 화산이 하나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갑자기 생각난 것처럼 꽃 한 송이도 있다고 말합니다. 그 말을 들은 지리학자는 자기는 꽃에 대해서는 기록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아니, 왜 그 예쁜 것을 기록하지 않냐고 묻자 그는 꽃이 ‘덧없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대답합니다. 자기는 영원한 것, 변치 않는 것만 기록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어린왕자가 덧없다는 게 뭐냐고 묻자 지리학자는 “그것은 ‘머지않아 사라져버릴 위험이 있다'는 뜻”(앙투안 마리 로제 드생텍쥐페리, <어린왕자>, 김화영 옮김, 문학동네, p.80)이라고 말합니다. 그 말을 들은 어린왕자는 갑자기 우울해집니다. 세상에 맞서서 자기를 보호할 수단이라곤 가시 네 개밖에 없는 꽃을 홀로 두고 왔다는 자책감이 밀려왔기 때문입니다. 생텍쥐페리는 슬그머니 덧없는 것들의 아름다움을 암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