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석의 ‘하늘, 땅, 사람 이야기
하나님으로 불붙은 사람
한종호
2021. 10. 28. 11:51
“그는 천사들의 노래를 듣고 황홀해하고, 하나님의 노여움에 아찔하도록 현기를 느끼며, 창조의 오묘함을 보고 말을 잃고, 하늘의 자비를 두고 노랫가락을 읊은, 하나님으로 불붙은 사람이었다. 그런 사람에게는, 하나님 앞에서 내 모습이 어떤가 하는 문제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없다.”(롤런드 베인턴, <마르틴 루터>, 이종태 옮김, 생명의 말씀사, p.301)
주님의 은총과 평화를 기원합니다.
늦가을의 정취가 가득한 나날입니다. 분주한 일상 속에서도 가끔은 먼 산도 바라보고, 하늘도 바라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땅만 바라보며 살면 시야가 협소해지고 감정이 메말라가기 쉽습니다. 먼 데 눈길을 줄 때 중력처럼 우리를 잡아당기는 잡다한 일들로부터 잠시나마 벗어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의 삶은 앞으로 나아감과 뒤로 물러남의 통일이었습니다. 주님의 활동의 비밀은 “아주 이른 새벽에, 예수께서 일어나서 외딴 곳으로 나가셔서, 거기에서 기도하고 계셨다.”(막 1:35)라는 말씀 속에 담겨 있다고 생각합니다. 옛날 개역 한글 성경은 ‘아주 이른 새벽에’라는 구절을 ‘새벽 오히려 미명에’라고 번역해 놓았습니다. ‘새벽’과 ‘미명’ 사이에 틀어박힌 ‘오히려’라는 부사가 낯섭니다. ‘오히려’는 “생각한 바와는 달리 도리어”라는 뜻이기에 더욱 그렇습니다. 그런데 이 낯섦이 묘한 맛을 냅니다. 이 구절을 떠올릴 때마다 어떤 예외적 행동을 예상하게 됩니다. 어둠과 밝음이 교차하는 그 시간은 뭔가 새로운 것이 도래할 것 같은 시간이기도 합니다. 그 외딴 곳이 숲이라면 오직 새들의 지저귐이 새벽의 고요함을 깰 것이고, 광야라면 바람 소리만이 귓전을 스칠 것입니다.
아, 이런 생각을 하다보니 갈릴리 호숫가에서 맞이한 새벽 시간이 떠오르는군요. 몇 해 전 교우들과 ‘성서의 땅 답사 여행’ 중 잠시 머물렀던 갈릴리 숙소에서 호수는 불과 몇 십 미터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습니다. 대추야자가 지붕 위로 후둑후둑 떨어지는 소리에 잠을 못 이룬 분도 계셨습니다. 아주 이른 새벽 저는 호숫가로 나가 누군가 내놓은 흰색 플라스틱 의자에 앉아 찰랑거리는 물소리를 들었습니다. 호수에 배를 띄우고 언덕에 앉은 사람들에게 가만가만 말씀을 전하시는 예수님의 모습, 큰 물결이 일어나 어쩔 줄 몰라 하는 제자들을 향해 물 위를 걸어가시던 주님의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십자가 사건 이후 갈릴리로 돌아와 밤새 그물을 던졌으나 빈 그물만 건져 올린 제자들의 쓸쓸함도 짙게 느껴졌습니다. 아주 고요하게 찰랑대며 기슭으로 밀려오는 물소리가 마치 제자들의 수런거림처럼 들렸습니다. 지금도 마음이 스산할 때면 그 호숫가에서 맛보았던 고요함이 그리워집니다. 아, 그리고 갑자기 물이 흔들리면서 수달처럼 보이는 동물이 나와 내 곁을 재빠르게 스쳐지나가던 광경도 떠오르네요. 교우들과 함께 성서의 장소들을 다시 답사할 수 있는 시간이 속히 왔으면 좋겠습니다.
엊그제 강화도에 다녀왔습니다. 심방 차 간 것이지만 오가는 길이 참 아름다웠습니다. 활짝 핀 억새가 바람을 맞아 나붓거리고 있었고, 아직 베지 않은 벼들도 추수의 시간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비 그치기를 기다렸다가 고구마를 수확한 농부들이 박스에 고구마를 담는 광경도 눈에 들어왔습니다. 이미 말라버린 고춧대에 붉은 고추가 달려 있었습니다. 일손이 부족하기 때문인지 병이 들어 수확을 포기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다음 일정이 있어 가을 풍경을 더 눈에 담지 못하고 황급히 돌아온 것이 못내 아쉬웠습니다. 분주함은 우리 삶을 빈곤하게 만듭니다. 경제적 빈곤을 말하는 게 아니라 정서적 빈곤을 말하는 것입니다. 시간을 들이지 않으면 아름다움과 만나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