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서에서 말하는 노동은?
김순영의 구약 지혜서 산책(6)
전도서에서 말하는 노동은?
종교인의 세금납부 의무를 2년 유예시키자는 법안이 발의되었다. 이 법안 발의를 주도한 국회의원들이 모두 기독교인으로 알려졌다. 종교인의 세금납부 정당성과 찬반문제를 논하기 전에 교회 공동체에서 전문성을 갖추고 수고하는 이른바 ‘목회’ 혹은 ‘교회사역’이 노동의 영역인가를 정의하는 제도권 교회의 내부적인 합의가 우선되어야겠다. ‘목회’가 ‘노동’으로 간주되면 그 대가로 발생한 소득 때문에 목회자는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세금납부의 의무를 이행해야한다. 일반적으로 노동은 생계를 꾸리기 위해 몸을 움직여 일하여 필요한 물자를 얻는 육체적 혹은 정신적인 노력과 수고를 총칭하는 말이다. 그러면 목회자의 목회활동은 노동의 영역인가? 기독교의 삶의 표준인 정경으로서의 성경은 이 질문에 대한 직접적인 답변을 주지 않지만, 전도서가 이 노동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를 풀어가는 지혜로운 가르침을 준다.
교회 사역과 노동 사이에서
전도서는 저세상이 아니라 지상적이고 물질적인 것에 관심이 많다. 그 가르침의 강조점이 구원역사 보다 창조질서와 보편적 삶의 실천적 측면에 있기 때문이다. 전도서는 창조와 우주질서의 의미, 그리고 삶의 구체적인 문제들, 곧 시장과 거리, 광장, 일터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갖가지 일상의 문제들을 가벼이 여기지 않는다. 무엇보다 노동은 코헬렛(전도자)에게 중요한 관심사다. 왜냐하면 노동은 창조자 하나님을 닮은 인류의 본질적인 구성요소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말씀으로 세상을 지으셨지만, 땅의 짐승들과 하나님을 닮은 사람은 하나님의 직접적인 노동 행위로 창조되었다. 땅에 충만하여 땅을 돌보아야 하는 창조명령을 받은 인간에게 노동은 하나님의 선물이며 사명이다(창세기 1:24-28).
그러나 첫 인류가 타락한 이후로 노동은 생존을 위한 투쟁이 되었다(3:18-19). 땅과 흙에 기반을 둔 사람의 고된 삶의 현실을 관찰한 코헬렛은 자신의 다양한 담론 전개를 위한 화두로서 ‘노동’의 문제를 제기한다.
해 아래에서 수고하는 모든 수고가 사람에게 무엇이 유익한가(전도서 1:3, 개역개정).
여기서 “수고”로 번역된 말은 ‘노동’이다. 히브리말 ‘아말’은 노력, 고생, 수고, 일, 노동을 일컫는다. 코헬렛이 즐겨 사용하는 ‘해 아래’ 라는 말과 함께 인류의 온갖 노동과 관련된 현상들을 포함시켜 노동의 “유익”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유익”으로 번역된 ‘이트론’은 구약 어디에도 발견되지 않은 전도서에만 유일하게 반복 사용된 경제적인 용어다.
구약의 다른 책들과 달리 전도서는 노동의 문제를 깊이 성찰한다. 코헬렛은 사람이 먹고 마시고 노동 안에서 즐거워하는 것 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2:24; 5:18; 9:9)라는 말을 반복하며, 모든 것을 무효화시키는 죽음이 있으니 사는 동안 힘을 다해 노동할 것을 권한다(9:10). 그렇게 그는 먹고, 마시며, 노동하며 사는 평범한 일상의 가치를 드높인 지혜 선생이다.
그러면 ‘목회’는 노동인가?
목회는 노동이다. 이 말이 낯설게 들리겠지만, 땅 위에서의 모든 종류의 노동은 생존을 위해 양식과 자원을 얻기 위한 행위다. 물론 이 말은 경제적인 측면이 고려된 광의적인 표현이다. 그러나 코헬렛의 노동의 관점을 따라가 보면, 노동은 단지 생존을 위한 활동이 아니라 삶의 기쁨과 관계된 일이다(2:24; 3:13; 3:22; 5:18; 8:15; 9:9). 태초에 하나님의 창조와 노동, 에덴 정원 관리인으로서 경작을 책임지는 노동과 애정 어린 돌봄을 수행할 사람의 이야기(창세기1-2장), 그리고 전도서에서 말하는 노동은 창조신학적인 관점에서 숙고해야할 신학적인 문제다.
프레드릭 뷰크너는 노동을 “인간 내면의 기쁨과 세상 저변의 필요가 만나는 지점”이라고 말했다. 목회자의 목회활동 역시 세상의 필요와 기쁨이 만나는 노동이다. ‘목사’는 하나님과 교회의 부르심에 자발적으로 응답한 개인이 자신에게 맡겨진 임무를 기쁨으로 수행하겠다고 선택한 직업이다. 목회자의 일은 생존과 연결되었지만, 그 수고로움과 노동을 ‘사명’이라고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문적인 신학교육을 받은 목회자가 교회의 부름에 응답했다면, 교회는 마땅히 목회자 생계를 책임지게 된다. 목회자는 목회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서 교회로부터 ‘사례비’를 받고, 자신과 가족의 생계문제를 해결한다. 목회자가 받는 사례비는 무보수의 자원봉사가 아니라 전문성을 인정받은 수고, 곧 정신적 육체적 노동 행위에 따른 보상인 셈이다.
그러나 공공연하게 제도권 교회는 목회자가 성경말씀을 가르치고, 설교하고, 심방하고, 복음 전도하는 일련의 목회 활동을 평신도의 세속적인 노동과 구별하여 특권화 시키고 있지 않는가? 그렇다면 종교개혁의 핵심가치 중 중요한 한 가지를 놓치게 된다. 종교개혁자들이 생존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소명과 직업을 예리하게 구분했는가? 우리가 만일 이 지점에서 교회 사역을 노동이 아닌 특권화한 ‘사역’으로 간주하고, 일반적인 노동과 구별하여 성과 속의 영역으로 나눈다면 ‘모든 신자는 제사장’이라는 개념과 가치를 훼손하는 것 아닌가? 목회와 노동 사이의 분명한 개념정립을 하지 않는다면 실제적인 측면에서 나쁜 사례들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목회자를 ‘성직’이라는 미명아래 목회 ‘훈련’과 거룩한 ‘사명’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쉼을 허락하지 않는 노동력 착취와 비인간적인 대우를 서슴지 않는 목회자들 사이의 악한 관행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묻고 싶다. “죄 많은 이 세상은 내 집 아니네. 내 모든 보화는 저 하늘에 있네…”라는 노래를 부르며 내세의 천국을 소망하는 것만이 복음적인 삶인가? 그러면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게 하소서”(새번역 주기도문; 마태복음 6:10)라고 기도를 가르치신 예수님의 뜻은 무엇인가? 모든 신자는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이 땅에서 다양한 직업으로 노동하며 살아간다. 때문에 신자들의 다향한 직업과 노동처럼 목회자의 ‘교회사역’도 노동이다. 신자의 세속적인 직업과 목회자의 교회사역은 동등하게 신성하다.
노동은 삶의 기쁨과 더 나은 사회를 위한 촉진제
만약 우리가 목회자의 교회사역을 노동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노동 자체를 천시하거나 혐오하는 마음이 자리 잡은 것인지 모른다. 또한 목회자의 교회사역을 노동이라고 말할 때, 목회자는 ‘성직’으로 특화된 계급이 아니라 모든 신자와 더불어 동등하게 제사장적인 소명을 수행하는 자로서의 부르심을 완수하는 것 아닐까. 코헬렛은 먹고, 마시고 노동으로 즐거워하는 것을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밝혔다(2:24; 3:22; 5:18-19; 8:15).
때로는 노동의 유익과 가치를 보상받지 못하는 부조리하고 불편한 현실과 부딪히곤 하지만, 전도서의 가르침처럼 노동을 하나님의 선한 창조의 사건들과 연결하여 창조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노동은 신성한 사건이다. 그러하여 노동은 신학적인 문제요, 각 사람의 생존과 기쁨을 위한 삶의 문제요, 사회를 건강하게 존속시키는 기반으로서 사회적인 문제다. 노동은 단지 개인의 경제적 이익과 잠재력 발휘만이 아니라 더 좋은 사회를 만들어가는 촉진제가 된다. 더 나은 사회를 위해 ‘하늘 아래서’ 행하는 갖가지 ‘노동’은 하늘 아버지의 뜻을 땅에서 이루는 거룩한 일이 된다. 이것이 주님 다시 오실 때가지 하나님 나라를 일구어 가는 모든 신자의 ‘사명’ 아닌가.
김순영/《어찌하여 그 여자와 이야기하십니까?》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