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숙의 글밭/하루에 한 걸음 한 마음

마음의 성지(聖地)를 가졌는가?

by 한종호 2020. 9. 27.

신동숙의 글밭(241)


마음의 성지(聖地)를 가졌는가?



초가집은 국민학교에 다니던 시절 스케치북에 그리고 그리던 제 마음의 고향집입니다. 어린날의 그림 속에는 작은 초가집 한 채가 있고, 오른편엔 초가 지붕을 훌쩍 넘는 나무 한 그루, 왼편엔 장독대가 있고, 둘레에 싸리와 나무로 엮은 울타리는 키가 낮으며 성글고, 집 뒤로는 야트막한 산이 감싸고, 집 앞으로는 작은 개울물이 흐르는 그런 마음속 풍경을 그림으로 그릴 때면, 언제나 마음이 따스해져오면서 평화로웠습니다. 


그렇게 제 마음의 성지는 언제나 그 모습 그대로 변함없이 지금도 그 자리에 있습니다. 진정으로 마음이 좋아하는 그림을 따라서 비록 혼자서 걸어온 길이지만, 그 길에 만나게 된 벗님들에게서도 나와 같은 마음의 성지(聖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눈을 떠가는 일은 별을 발견한 듯 경이로운 일입니다. 중학생 시절 건물 귀퉁이 작은 동네 서점에 처음으로 들어가 머물며, 서점 안에 책들을 모두 살피어 비로소 마음에 들어와 손에 잡은 한 권의 책은 <법정 스님의 인도 기행>이었습니다. 처음 본 어느 스님의 단정한 인상이 마음에 들어오던 순간입니다. 


스무살 초반엔 초가집과 함께 막사발이 참 좋아졌습니다. 깊은 묵상 중에 인간의 문명을 하나씩 거두어내고 있던 제 모습이 생각납니다. 고대로부터 인류가 만든 건물과 유물들, 자동차, 우주선, 샴푸, 칫솔까지 정말로 필요한 것과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으면 좋았을 모든 유·무형의 문화와 문명을 하나씩 마음의 체에 거르고 걸렀던 때입니다. 주위에선 취업에 신경 쓸 시절에 저 혼자서는 속으로 깊이 앓던 때입니다. 


아무도 모르고 누구도 몰라주는, 길 없는 길을, 보이지도 잡히지도 않는 그 길을 혼자서 걷고 있었던 것입니다. 어쩌면 모든 청춘의 가슴에는 한 점 별빛처럼 미세하지만 빛나며 손짓하는 영혼의 부름이 있고, 물처럼 구름처럼 가슴 가장 밑바닥으로 유유히 흐르며 우리의 가슴을 적시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문득 대상을 만나면 일어나는 그리움이 되기도 하고 방황이 되기도 하는. 


배흘림 기둥으로 올린 한옥의 멋스러움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기와집을 볼 때면 가슴 한 구석이 아려오는 이유를 찾아야 했습니다. 지배와 피지배가 낳은 건축 양식이 어쩌면 고래등 같은 한옥이 아닌가 하는 생각에 마음이 닿고부터는 아름다운 한옥도 제 마음에 들어오지 못하였습니다. 가을 하늘의 쪽빛을 담은 고려청자의 아름다움에선 어딘가 애써 잘 보이기 위한 인위적인 한 마음이 거슬렸습니다. 그에 비해 막사발은 자연적이고 순수하고 천진난만한 본성을 닮았습니다. 


눈먼 장님이 한 걸음씩 길을 더듬어 한발짝 내딛듯 제 마음이 걸어가는 길은 가족도 평범한 주위 사람들의 관심사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어 보이는 그런 길이었습니다. 하지만 어려서부터 이미 물길이 난 그 길을 거둘 수가 없었습니다. 사실은 그 마음의 길이 아니고선 이 땅을 살아가는 몸이 숨을 쉴 수가 없을 것 같았습니다. 이십 대 초반 가슴으로 읽은 윤동주 시인의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의 시인의 마음이, 저에겐 몸을 받아서 살아 숨 쉬는 일 자체가 괴로움이라는 의미로 읽혔습니다. 생명이 생명을 먹음으로 살아갈 수 있다는 방식의 모순. 




* 시와 구름이 머무는 황간역의 강병규 역장님의 돌그림


2002년 월드컵의 열기도 제 가슴에 불을 지피지는 못했습니다. 법정 스님의 오두막과 소로의 월든 숲에 오두막이 가슴으로 들어오고, 2003년 어느 봄날엔 저 역시 그러한 삶을 살기로 뜻을 세우고 인생의 방향키를 조정하기로 결심을 하였습니다. 이 땅을 살아가는 이유가 혼자만 잘 살아선 아무 의미가 없다는데 생각이 미친 것입니다. 돕는 삶, 나누는 삶이라야 비로소 인간으로써 온전한 삶을 살 수 있을 거라는 한 생각이, 아궁이 마른 장작에 불을 지피듯 풀무질을 하는 바람에 그대로 있을 수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가족이란 울타리는 헐어버리기 쉬운 성근 싸리와 나무 울타리도 아니고, 단숨에 뿌리 뽑힐 나무도 아니었습니다. 딸아이의 행보에 엄마는 당뇨가 왔고, 아버지는 한 쪽 귀가 안들리고, 약혼자는 자신의 삶까지 접고서 인도에 가면 저를 만날 수 있단 희망 하나로 비행기표를 끊어둔 상황과 막다른 골목에서 맞닥뜨린 것입니다. 


그렇게 삼십 대가 되었습니다. 큰 아이가 품에서 내려와 집 앞 골목길을 자박자박 걸어다닐 무렵 다도(茶道)를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다도가 몸에 익숙했던 건, 어려서부터 부모님께 익히 들어온 밥상머리 예절과 다르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신혼 살림을 고르던 시절 그 예쁜 커튼들을 다 제쳐두고 장식도 없고 고운 색으로 물도 들이지 않은 광목천으로 된 단순하고 소박한 커튼을 고른 저를 두고 같이 따라간 친구와 가족들의 반응은, "발품 팔고서 기껏 고른 게 저거냐"라는 핀잔을 들으면서도 제 마음은 무명의 광목천에서 안식을 얻는 것입니다. 


우리집 창문에 걸어둔 그 천덕꾸러기 광목천 커튼이 다실에 걸려 있는 걸 보곤 얼마나 반가웠는지 모릅니다. 그리고 제가 그토록 좋아하던 막사발을 훔쳐간 일본이 고려청자가 아닌 막사발을 그들의 국보로 모셔 놓았으며, 초가집을 닮은 초의선사의 일지암이 한국 다도의 성지라는 사실을 알게 된 후 그동안 혼자서 걸어온 길이 영 틀리지는 않았구나 하는 확인을 하게 된 것입니다. 


지금도 변함이 없습니다. 지구의 생명을 살리기 위한 잡초요리연구가인 고진하 시인 목사님과 아내 권포근 선생님의 자연 속에서 공생하며, 자연을 거스르지 않으며 생명과 이웃을 헤치지 않으려 선택하신 불편당의 삶, 한국 다도의 성지가 된 초의선사의 일지암, 초가집을 닮은 소로와 법정 스님의 오두막, 권정생 선생님의 안동 조탑리의 가난한 생가, 한희철 목사님이 단강 마을 이웃들과 함께 힘을 모아 서로를 배려하며, 느린 호흡으로 주위에 흔한 나무와 흙으로 담을 쌓아 만든 인우재의 기도실이 제겐 마음의 성지입니다. 


그런 제 마음속 그림이 글에서도 간간히 드러나는 것은 숨길 수 없는 숨인가봅니다. 제 글에서 오두막이 나오는 글을 보시고, 마음에 떠오르는 그림을 손수 돌에 그림으로 그려서 선물로 보내주신 분은, 기차가 지나치던 작은 간이역을 시(詩)와 구름이 머무는 역으로 가꾸신 강병규 황간역장님입니다. 지금은 은퇴를 하셨지만, 마을 사람 누구든 그리고 동행하는 우리는 시동(詩同)은 역장님으로 부릅니다. 


커피 물을 들인 고목의 나무틀 속에 놓인 돌그림의 빛깔이 더불어 따스하게 번집니다. 마치 돌그림이 거하는 안식처, 오두막 같습니다. 그림이 가슴으로 들어옵니다. 그림을 보고 있자니 제 마음의 성지와 점점 하나로 물이 듭니다. 눈을 감아도 눈을 떠도 제 마음의 성지를 떠올릴 때면, 언제나 평화가 흐르고 숨을 쉬고 있는 이 몸에 깃드는 지금 이 순간이 제 영혼의 집이 되는 따스한 경험을 하곤 합니다. 그리고 문득 궁금해집니다. 벗님들은 어떤 마음의 성지를 가졌을까? 하고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