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는 데는 무쇠도 녹는다
내 책상 위에는 그림 하나가 놓여 있다. 렘브란트가 그린 ‘탕자의 귀향’이다. 신약성경 누가복음에 나오는 탕자 이야기를 형상화 한 그림으로, 거지꼴로 돌아온 아들을 다 늙은 아버지가 끌어안아주는 장면을 담고 있다.
일부러 그렇게 그린 것인지 나중의 해석이 그런 것인지는 몰라도 가만히 보면 아들의 등을 감싸고 있는 아버지의 두 손은 서로 다르게 보인다. 한 손은 크고 억세게 보이는데, 다른 한 손은 보드랍고 작다.
마치 한 손은 아버지의 손 같고, 다른 한 손은 어머니의 손처럼 보인다. 거장 렘브란트가 두 손을 똑같이 그릴 재주가 없어 그렇게 그리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서로 다른 두 손을 이렇게 이해하곤 한다. 네 모습이 어떠하든지 얼마든지 너를 용서한다는 어머니의 마음과, 내가 다시는 너를 놓지 않겠다는 아버지의 마음이 함께 담겨 있는 것이라고.
그것뿐이 아니다. 아버지가 걸친 붉은 색 망토는 상처 입은 새끼 새를 보듬어 안는 어미 새의 품 같고, 아버지 가슴에 기댄 아들의 머리에 땀이 밴 것은 마치 자궁 속에 자식을 품는 심정이며(히브리어 긍휼이라는 말에는 태, 자궁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한다), 아버지의 거반 감겨 있는 두 눈은 지난날 지은 모든 잘못에 대해 이미 눈을 감은 아버지의 심정을 담아낸 것으로 이해한다. 그림을 통해 아버지의 심정을 표현하는 화가의 이해력이 놀랍기만 하다.
그 아버지 앞에 무릎 꿇은 아들의 꼬락서니가 볼만하다. 영락없이 거지꼴을 한 아들이 얼마나 먼 길을 걸어왔는지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신발은 다 헤져 있고, 그나마 신발 한 짝은 벗겨진 채 무릎을 꿇고 있다.
아버지께 돌아오기 전 아들은 아버지께 이렇게 말하려 했다. “제가 하늘과 아버지께 큰 죄를 지었습니다. 지금부터 저는 아버지의 아들이 아닙니다. 저를 품꾼의 하나로 보소서.”
돌아온 아들이 아버지께 이야기를 할 때 아버지는 아들의 말을 가로막는다. 이야기를 끝까지 듣는 대신 종들을 불러 좋은 옷을 입히고 가락지를 끼우고 신을 신기라 한 뒤 잔치를 준비시킨다.
아버지가 말을 막아 아들이 아버지께 하지 못한 말이 있다. “저를 품꾼의 하나로 보소서.”아버지는 돌아온 아들로부터 그 말 듣기를 원하지 않으셨고, 차마 그 말 듣는 것을 감당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지성으로 용서를 빌면 용서하지 않을 수가 없다. 비는 데는 무쇠도 녹는다. 사람이 사람에 대해 그럴진대 하물며 하늘이겠는가.
<<늙은 개가 짖으면 내다봐야 한다>> 중에서
한희철/동화작가, 정릉교회 목사
'한희철의 '두런두런' > '두런두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무 그러지 마시어요, 하나님! (0) | 2019.03.21 |
---|---|
속 검은 사람일수록 비단 두루마기를 입는다 (0) | 2016.04.02 |
술 익자 체 장수 지나간다 (0) | 2016.03.14 |
천리 길에는 눈썹도 짐이 된다 (0) | 2016.03.10 |
자로 사랑을 재면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 (0) | 2016.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