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

바람을 마주보고 가는 바보

by 한종호 2015. 1. 27.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5)

바람을 마주보고 가는 바보

 

그 양반은 독서에 너무 빠져든 나머지 잠은 안자고 책만 읽는 바람에 머릿속 골수가 다 말려버려 마침내 정신이 이상해지고 말았다.”

문제는 책이었다. , 독서도 적당히 하지 않으면 정신건강에 해롭단다. 그걸 염려하다 독서를 하지 않으면 그 반대로 골수가 넘쳐나서 문제가 되려나? 이에 대한 최근 학계의 결론은 어떠한지 궁금해진다.

아무튼 이 사나이는, 기사 소설을 잔뜩 읽은 탓에 마침내 방랑 기사가 되겠다고 결심한다. 골수가 동이 나도 그런 결심은 가능한 모양이다. 아니 그러 길래 그런 결심을 할 수 있었던 건가? 이리하여 라 만차의 어느 시골에 사는 영감 돈 끼호떼의 기이한 유랑 행각이 시작된다.

돈 끼호떼와 산초 (출처: spotter_nl (http://www.flickr.com/photos/30733371@N00))

 

그런데 기사라면 당연히 말을 타고 다녀야 하니, 머리는 부스럼투성이에 비루먹고 마른 말이라도 어쩌겠는가. 하지만 그에게는 어느 명마에 뒤지지 않았다. 이 말의 이름을 로신안떼로 지었는데, 그렇게 한 까닭은 로신으로만 하면 농사를 짓던 말이라는 뜻이 드러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여기에 앞 또는 전()이라는 의미의 안떼를 붙여, 지금 농사짓는 말들보다 훨씬 앞선 최고의 말이라고 내세우겠다는 심산이었다. 이와 더불어 착한 남자 산초 빤사가 그의 시종노릇을 하면서 일종의 짝패 영화(buddy movie)”를 내내 찍는다.

돈 끼호떼하면, 풍차와의 대결이 유명한데 사실 이 대목은 소설 전편에 걸쳐 아주 짧은 에피소드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이 대목은 돈 끼호떼의 면모를 압축해서 보여준다. 들판에 풍차가 나타나자 돈 끼호떼는 거인이라며, “정의의 싸움이야. 저런 악독한 죄의 씨앗을 없애버리는 것이 하느님의 뜻에 따르는 길이네라고 한다. 어리둥절해하는 산초에게는, “모험이라는 걸 통 모르는 모양이구먼이라며 풍차로 돌진한다.

당연히 거센 바람에 돌아가는 풍차날개의 충격으로 돈 끼호떼는 엉망이 되고 만다. 그러나 여전히 입은 살아있다.

결투라고 하는 것은 세상 어느 일보다 언제나 우여곡절이 더 많다고 하지 않았던가?”

결코 가볍지 않은 부상을 입었음에도 그는, “내가 아프다고 끙끙대지 않는 건, 우리 방랑기사는 어떤 상처를 입어도, 설령 배에서 창자가 다 터져 나오더라도 신음을 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야라고 기사도를 설명한다. 기사는 슬픈 존재다. 신음도 마음대로 못하다니.

돈 끼호떼는 사방을 다니면서 수습이 되지 않을 일만 저지르고 다닌다. 이런 일도 있다. 열두 명의 사나이들이 쇠밧줄로 목이 묶인 채 끌려가고 있었는데 돈 끼호테는 이들이 죄수라는 호송 군인들의 말을 듣고 이렇게 시비를 건다.

어떤 이유이건 간에, 이들의 의사와는 달리 억지로 데려가고 있단 말이 아닌가? 기사인 나의 할 일이 생겼네. 억지로 강압된 자들을 풀어주고, 고난에 처한 자들에게 달려가 구해주는 일이니 말일세.”

그렇게 해서 이들 열두 명의 죄수들은 돈 끼호떼의, 난동에 가까운 활약으로 풀려나게 된다.

도대체 이 엉터리 같아 보이는 이야기가 어찌해서 1605년 출간된 이래 고전의 반열에 올라 오늘날까지 경탄과 찬사를 받을까? 그건 무엇보다도 작가 미겔 데 세르반떼스의, 상상을 뛰어넘는 익살과 해학에 찬 이야기 솜씨가 독자들을 사로잡기 때문이다. 그에 더해 주인공 돈 끼호떼의 매력이다.

그는 사람들이 보기에는 미치광이 같지만 진지한 주제를 다룰 때에는 대단히 점잖고, 사랑하는 여인 둘씨네아에 대한 마음을 끝까지 지킨다. 그는 지식인인 동시에 자신이 믿는 바에 따라 행동할 줄 알았고, 무엇보다도 세상의 억울한 이들을 구하기 위해 나서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풍차와의 대결도, 자신을 향해 불어오는 바람도 피하지 않고 마주쳐 돌진하는 용기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세상을 바꾸는 이들은 과연 어떤 이들일까? 돈 끼호떼는 우리에게 그걸 묻는다.

 

김민웅/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혼의 산책로  (0) 2015.03.16
몸 말, 몸 글  (0) 2015.02.15
“미생(未生)을 위한 철학”  (0) 2015.01.20
<럭키 서울>, 그 부푼 꿈을 안고  (0) 2015.01.08
국제중앙다방  (0) 2015.01.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