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숙의 글밭(254)
목사님, 참선방에서 하나님을 만나고 왔어요
아침에 눈을 뜨니 가을 하늘이 참 좋아서, 이 아름다운 하늘을 오래도록 보고 싶은 한 마음이 산들바람처럼 불어옵니다. 그리고 보이는 하늘 만큼이나 눈을 감아도 눈을 떠도 펼쳐지는 내면의 하늘을 오래도록 바라보고 싶은 한 마음이 잔잔한 물결처럼 일렁이는 가을 아침입니다.
구름처럼 자욱한 욕심을 걷어낸 텅빈 하늘, 무심한 듯한 공空의 얼굴은 어쩌면 사랑뿐인 하나님의 얼굴을 닮았는지도 모른다는 누군가의 얘기가 귀를 간지럽힙니다. 그냥 쪼그리고 앉아서 가만히 푸른 가을 하늘을 보고 있으면, 저절로 기분이 좋아지면서 실실 웃음이 흘러나오는 이유를 다 알 수는 없지만, 늘 가까이 하고 싶은 마음은 하늘 만큼 땅 만큼입니다.
그처럼 맑갛게 갠 내면의 하늘을 오래도록 바라보자면, 제 자신이 한 그루 나무가 되어야 한다는 한 생각이 실바람처럼 얼굴을 스칩니다. 세상을 바라볼 때에도 흔들리거나 뒤틀리지 않으며 괜히 미워하거나 원망하지 않으며, 상대방의 있는 모습 그대로를 잔잔해진 제 마음에 비추어 바라보기 위해선 제 자신이 멈추는 일이 먼저라는 생각이 절로 듭니다.
가족과 사랑하는 이들의 있는 모습 그대로를 보아주고 인정하는 것이 사랑이라면, 늘 돌아서서 후회하는 제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구름처럼 후회가 밀려올 때면 '마음이 청결한 자가 하나님을 볼 것임이오'라고 한 마태복음 팔복의 말씀으로 구겨진 마음을 지워보기도 하고요. 고요한 중에 문득 청결한 마음이란 가을 하늘빛을 닮았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한 줄기 바람처럼 가슴께를 스칩니다.
한 자리에 머물러 뿌리를 내리는 나무처럼, 어느 한 곳에 머물러 오래도록 앉아서 안으로 뿌리를 내리며 깊이 침잠함으로, 제 자신이 한 그루 나무가 되고 싶은 마음이 그리움처럼 일렁일 때가 있습니다. 특히나 오늘처럼 하늘이 맑은 날에는 더욱 간절히 그렇게.
지난번에 너무 오래 앉아 있다가 동틀녘에 쫓겨났다던, 해인사의 원당암을 오늘같은 날 문득 다시 찾아야겠다는 한 마음을 일으킨 힘은, 살아 생전에 남겨 놓으신 천진불인 혜암 선사의 법문 말씀 덕분입니다. 17세에 일본으로 유학하여 동·서양의 종교와 철학을 공부하던 중 어록을 보시다가, 한 구절에 이르러 홀연히 발심하여 출가를 결심하고 귀국하셨다는 그 한 구절은,
我有一卷經 아유일권경
不因紙墨成 불인지묵성
展開無一字 전개무일자
常放大光明 상방대광명
나에게 한 권의 경전이 있으니
종이와 먹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였네.
펼치면 한 글자도 없으되
항상 큰 광명을 놓도다.
'공부하다 죽어라'의 혜암 선사가 강조하는 바른 공부법은 석가모니의 '참선'입니다. 풍요와 안락의 궁궐을 벗어나 홀로 보리수 나무 아래에 앉은 석가모니의 '참선'과, 무리를 떠나 홀로 산으로 오르시던 고독한 예수의 '기도'가 다르지 않기에, 가족과 일상을 벗어나 호젓이 길을 나서는 제 마음을 넌지시 석가와 예수의 마음에 얹어서 살며시 기대어 보노라면, 가슴이 중심으로부터 점점 따스해져오곤 합니다.
성철 스님과 혜암 선사가 설법하신, 고려 팔만대장경을 두고 '참선'에 비하면 물거품이라 하시던 선사들의 말씀과 부처가 와도 '참선'을 할 때에는 일어나지 않는다는 죽비의 말씀이 잠시 닫혔던 제 가슴으로 물길을 터 주었습니다. 뿌리와 줄기가 걸어가는 그 좁은길을 따라서 풍요와 안락의 가정을 떠나 홀로 해인사 원당암을 찾아가는 밀양, 창녕, 고령, 합천의 국도변은 이제 금방이라도 추수를 기다리는 황금 들녘입니다.
옛말에 마음에 맺힌 이는 외나무 다리에서 만난다고 했던가요. 절벽처럼 눈 앞에 서 있는 원당암 비탈길이 유난히 가팔라 보입니다. 그 입구에서 살짝 비켜선 처사님의 모습이 낯이 익습니다. 천천히 지나치려다가 차를 세우며 창문을 내렸습니다. 구면인듯 인사를 드리며, "가시는 곳까지 태워드릴까요?" 했더니 괜찮다는 대답이 돌아옵니다. 어차피 저도 가는 길이라고 했더니, 서너 번 마주칠 때마다 굳어 있던 얼굴을 반쯤 펴시며, 운동 삼아서 나왔다며 말문을 여십니다. 처사님의 반쯤 풀린 그 얼굴을 보고서야 다 풀린 마음인 줄로 읽으니 덩달아 제 마음도 풀리는 것 같아서, 인사를 드리곤 가벼워진 마음으로 먼저 비탈길을 올라왔습니다.
원당암의 하늘빛도 우리집 마당의 하늘빛과 같습니다. 경계도 없는 하늘처럼 우리들 마음의 빛깔도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가야산의 하늘처럼 펼쳐집니다. 화장실 앞에서 만난 어느 보살님께 합장 반배를 드리며, 참선방 이용 시간을 물으니, 오늘은 45일 용맹정진이 있는 날이라며 스님께 여쭐 수 있도록 말을 놓아줄 테니 저보고 따라오라고 하십니다. 뒤를 따라서 달마선원으로 가는 돌층계를 오르는데, 앞서 가시던 보살님이 얘기하시길 지난번 철야 참선 때 제 뒷자리에 앉아 계셨다는 말씀을 하십니다.
스님이 계시는 방은 참선방인 달마선원 한 켠에 있습니다. 방문 앞에 선 보살님이 공손히 스님을 부르니 잠시 뒤에 훤칠한 스님이 마스크를 낀 얼굴로 몸을 숙이시며 낮은 방문으로 나오십니다. 잿빛 승복이 얼마나 오랜 세월 동안 정갈한 수도승의 그 맑은 길에 도반이 되어 동행해왔는지 보여주기라도 하듯 해진 승복으로 말갛게 흰빛이 돕니다.
스님은 예상했던 바 45일 용맹정진 중인 대중방에는 입실할 수 없다는 원칙의 말씀을 하십니다. 그랬더니, 옆에 선 보살님이 저를 대신하여 변호를 해주십니다. 지난번에 저녁 7시부터 새벽 3시까지 줄곧 앉아 있다가, 새벽 예불 시간에도 돌아 앉아서 6시가 넘을 때까지 정진하시는 걸 제 바로 뒤에서 보고 계셨다는 말씀을 하십니다. 처음 만난 보살님이 저를 위해 나서서 변호를 해주고 계시는 마음에서, 우리를 위해 기도하시는 성령님의 마음을 어렴풋이 엿보는 듯 하였습니다.
스님은 난감해 하시며 먼 산을 내다보시듯 깨알같은 방법 몇 가지를 알려주십니다. 이곳 원당암은 작은 암자라서 주말 철야정진 외에는 마땅히 앉아 있을 곳이 없으니, 해인사 큰 절에 있는 <법보전>, <대적광전>, <보경전> 세 곳을 가보라고 하십니다. 팔만대장경 뒷편에 있는 <법보전>이란 말씀에 순간 반가웠던 건 법정 스님이 기도의 터전을 닦으신 곳이기에 더욱 고마운 마음이 드는 것입니다.
만약에 전각에서 나가야 된다고 하면 어떻게 하느냐는 저의 물음에 스님은 "그러면 나와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서 여기 갔다가 저기 갔다가 하면 되지요." 하십니다. 물과 바람을 벗 삼는 운수납자의 걸림없는 길이 하늘처럼 펼쳐집니다. 또한 그 옛날 예수와 제자들이 걸어간 길이, 이 땅에서 하늘의 뜻이 이루어지는, 걸음마다 물처럼 바람처럼 땅의 생명을 살리는 하늘의 길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으로 잔잔히 이어집니다.
스님은 그러면서 또 꿀팁을 주십니다. "주위가 시끄러우면 요즘 잘 나오는 이어폰 같은 걸 귀에 꽂고 명상의 소리 같은 걸 듣고서 앉아 있으면 되죠." 그러면서 코로나 때문에 차도 한 잔 못 드려 죄송하다는 스님의 말씀을 뒤로 하며, 저는 이 만큼 알려주신 것만으로도 충분히 감사하다며 방문 앞에서 스님께 합장 반배를 올린 후 돌아서서 가벼운 걸음으로 내려오는데, 전날 재악산을 내려오며 오른쪽 무릎에 무리가 왔는지 싶어 슬 걱정이 구름처럼 일려고 합니다. 한 날 한 시라도 몸이 성할 때 공부도 해야지 싶은 한 마음을 약처럼 삼키며 해인사 큰 절을 향해 내려왔습니다.
<보경전>은 모든 대중에게 열린 기도와 참선방이라고 합니다. 불상이 모셔진 앞쪽엔 불을 켜놓아 황금빛으로 환합니다. 저는 혹시나 나중에라도 있을지 모르는 일정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맨 뒷쪽 나무 기둥 옆으로 좌복을 놓고 자리를 잡았습니다. 불이 꺼진 어둑한 공간이 아늑함을 더해줍니다. 불상 앞쪽엔 저보다 먼저 와서 참선 중인 어느 스님이 한 분 앉아 계십니다. 수도승의 뒷모습은 언제나 정갈한 발자국을 보는 것 같습니다.
좀전에 보살님을 따라서 <보경전>으로 들어서며, 좌복을 놓아 둔 후 마음에 걸림돌이 하나 있습니다. 댓돌 위에 벗어둔 제 신발이 약간 비뚤어졌던 모습이 마음에 걸려 다시 방문을 열었습니다. 벗어둔 제 운동화를 가지런히 한 쪽으로 놓아두고, 보살님의 털고무신도 가지런히 다시 놓아둔 후 그제서야 걸렸던 마음이 풀려 자리로 돌아와 가벼워진 마음으로 좌복 위에 앉았습니다.
일상의 시간을 벗어나 텅빈 시간 속으로, 익숙한 공간을 벗어나 낯선 공간 속으로, 홀로 머물러 오래 앉을 자리를 무척이나 그리워했다는 사실을 스스로 상기시키자니 눈물이 흐릅니다. 그 눈물을 마스크가 다 받아줍니다. 이제는 익숙해진 마스크 속 침묵이 따스합니다. 원하고 바라는 소원으로 욕심껏 채우려는 기도의 말이 아닌 날숨마다 마음과 생각을 내려놓는 텅빈 침묵의 기도, 토마스 머튼의 관상의 기도와 나란히 어깨동무하는 참선의 시간입니다. 그 고요함과 적적함이 이제는 몸에 익숙해진 옷 같습니다.
출발 전에 집에서 한 술 뜬 미역국과 찰밥이 내일 아침까지 충분히 버텨줄 것이고, 속에 내복을 입어도 땀이 나질 않고 말할 일이 없으니 물도 필요치 않을 것 같습니다. 절밥이 맛있다지만, 참선 공부 중에는 저녁 공양과 아침 공양도 제겐 잠을 불러오는 방해꾼일 뿐입니다. 앉았는 동안 아무리 힘들어도 호흡이 들뜨지 않도록 고요히 다스리려는 호흡의 줄은 몸과 마음과 생각을 붙드는 고삐가 됩니다.
핸드폰도 꺼두었으니 시간이 얼마나 흘렀는지 알 수 없습니다. 인기척이 있은 후 살짝 실눈을 뜨니, 제 앞에 과자가 놓여 있습니다. 그리곤 그대로 눈을 감습니다. 이미 고마운 얼굴들이 하나 둘 별처럼 떠오를 적마다 눈물이 흘러서 제 가슴과 세상으로 물길을 내었습니다. 과자를 놓아둔 마음이 어떠한 마음인지 헤아리다가 다시 지우며 숨으로 돌아오는 고요한 시간.
아침 공양 시간을 알리는 종소리가 울려도 제 몸은 일어날 줄을 모릅니다. 또 인기척이 있은 후 실눈을 뜨니 이번엔 비닐봉지가 놓여 있습니다. 그리고 돌아보려고도 않고 그대로 눈을 감습니다. 놓고 가는 이도 받는 이도 말없이 인사도 없습니다. 경계도 걸림도 없는 무심한 듯 하늘을 닮은 마음입니다.
그리고 문득 제 앞에 놓인 음식을 생각하니, 너희는 먹을 거 입을 거 걱정 말라시던 하나님의 말씀이 범종 소리처럼 마음을 울립니다. 누군가 내어준 선행의 마음에 보답하는 길은 주신 음식을 약처럼 먹고 공부를 하고 남을 위하는 삶을 사는 길 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동틀녘이 되었는지 어둡던 <보경전> 안이 점점 밝아옵니다. 밤을 잊고서 참선을 하려는 저를 받아준 고마운 <보경전>, 학창 시절 친구의 이름같기도 한 이곳의 뜻을 찾아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누구에게든지 언제든지 기도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열려 있는 <보경전>에서 자비 문중의 은혜를 누립니다. 그리고 우리의 교회에도 이렇게 진리를 찾고 하나님을 만나려는 사람이 있다면, 누구에게든지 그리고 언제든지 자비와 긍휼의 마음으로 열린 기도의 공간 한 켠이 마련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넌지시 내어봅니다. 하나님을 만나는 시간과 공간은 시도 때도 없으니까요. 우리가 부르면 언제든지 함께 하신다는 참 쉬운 하나님이니까요.
아침 10시가 넘으니 스님들의 아침 예불 시간을 알리는 법고 소리가 들려옵니다. 환해진 문밖으로 관광객들의 발걸음이 얼마나 오고갔는지, 어린 아이들의 해맑은 소리가 가야산의 반가운 산새소리처럼 들려옵니다. 관광객들의 발걸음이 닿지 않는 이곳에서 더 머물러 앉아 있고 싶은 마음을 이제는 접으며 좌복을 제자리로 올려놓고 돌아서려는데, 동녘 문으로 들어온 빛그림자가 나무 마루에 선을 그려놓았습니다. 고난 후 부활하신 예수의 십자가를 절간에서 보고 있자니 저절로 반갑고 고마운 마음이 햇살처럼 번지는 늦은 아침입니다.
'신동숙의 글밭 > 하루에 한 걸음 한 마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두(話頭), 모르는 길 (0) | 2020.10.20 |
---|---|
사과를 깎아 먹는 일과 詩 (0) | 2020.10.14 |
동틀 녘 참선방에서 쫓겨나다 (0) | 2020.10.06 |
"사진 한 장만 찍어주세요." - 청도 운문사 (0) | 2020.09.28 |
마음의 성지(聖地)를 가졌는가? (0) | 2020.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