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티누스는 자기 삶을 돌아보며 ‘행복을 피하면서 찾았다’고 고백한다. 행복에 대한 갈망을 품고 살면서도 행복을 한사코 피하는 아이러니. 어쩌면 존재 자체이신 하나님이 아닌 다른 것들에 마음을 빼앗긴 채 사는 모든 이들의 상황인지도 모르겠다. 행복을 추구하지만 우리 내면과 주변을 가득 채우고 있는 것은 혼돈과 공허와 어둠이다. 밑도 끝도 없는 불안이 확고하게 우리를 잡아채 절망의 심연으로 내동댕이친다. 불안의 얼굴을 보지 않으려 사람들은 분주함 속으로 도피한다. 그런데 분주함은 우리가 마땅히 보아야 할 자기 내면의 실상을 보지 못하게 한다. 되고 싶은 나와 현실의 나의 간극은 점점 커진다.
이런 불모의 낙원에서 벗어날 길이 없는가? 루미는 일렁이는 버릇이 든 물은 바다에 이르러야 잠잠해지듯이, 거칠어진 마음을 고치려면 마음의 주인이신 하나님께 그것을 내려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신앙생활을 하면서도 영적인 나태함을 면치 못하는 이들이 많다. 나태함이란 단순한 게으름이 아니라 영혼이 메말라 활력과 생기를 잃어버린 상태를 말한다.
시간을 정하여 묵상의 시간을 갖는 것은 하나님의 마음을 기준음으로 삼아 우리 마음을 조율하는 과정이다. 성서일과는 우리 마음을 하나님께 비끄러매주는 아주 소중한 밧줄이다. 임의로 선택한 말씀이 아니라 주어진 본문 말씀을 읽고 묵상할 때 우리는 겸허한 경청자가 된다. ‘주여, 말씀하소서. 종이 듣겠나이다’. 경청의 태도로 하나님의 현존 앞에 머물 때 성령께서 우리 마음에 빛을 비추시어 말씀의 뜻을 깨닫게 하신다. 그 뜻을 가슴에 품을 때 우리 마음에는 든든한 기둥 하나가 바로 서게 된다. 기둥이 바로 서면 어지간한 무게가 얹혀도 무너지지 않는다.
꽃물, 마중물, 두레박, 손우물, 나비물, 하늘바라기, 도래샘으로 이어지는 묵상과 기도와 결심의 모든 과정이 삶으로 바치는 찬양으로 결실하면 좋겠다. 웨슬리는 ‘하루를 시작하는 기도’에서 "우리 삶이 누군가 당신께 바치는 기도의 응답이 되게 해주십시오''라고 기도했다. 깊은 묵상을 통해 삶이 가지런하고 단순해질 때 영적인 힘이 우리 속에 고인다. 그 힘의 이름은 사랑이다.
김기석/청파교회 목사
'<꽃자리> 출간 책 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씀 등불 밝히고> 북토크(1) (0) | 2023.05.30 |
---|---|
오랫만에 성서를 주제로 쓴 책다운 책을 읽었다 (0) | 2022.10.19 |
아득한 시절의 자전적 비망록 (0) | 2022.05.03 |
왜 하필 예레미야인가? (0) | 2022.04.12 |
“만 가지를 쳐내고 한 꽃을 얻는다” (0) | 2022.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