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진하의 '마이스터 엑카르트와 함께 하는 ‘안으로의 여행’

아무도 흔들 수 없는, 궁극의 위로

by 한종호 2015. 5. 28.

고진하의 마이스터 엑카르트와 함께하는 ‘안으로의 여행’(21)

 

아무도 흔들 수 없는, 궁극의 위로

 

 

피조물의 위로는 완전하지 않습니다

그것에는 무언가가 섞여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위로는 순수하고 잡스러운 것이

섞여 있지 않습니다. 그것은 완벽하고 완전합니다.

 

지난 겨울에는, 교우 중에 한 분이 참척의 아픔을 겪었다. ‘참척’이란 자식이 부모보다 먼저 죽은 일을 말하는 것. 나는 교우를 위로할 말을 찾지 못한 채 교우 딸의 시신이 안치된 병원 영안실로 향했다. 교우의 딸은 막 대학원을 졸업한 장래가 촉망되는 공학도였다. 나는 그가 장기에 퍼진 암으로 죽기 전에 몇 차례 대면할 기회가 있었는데, 아직 앳된 얼굴에 영혼의 해맑음이 어려 있었다.

 

병원 지하의 썰렁한 영안실, 교우는 얼마나 울었는지 얼굴이 퉁퉁 붓고 목도 잔뜩 쉬어 있었다. 나는 아무 말도 못하고 교우의 떨리는 어깨만 가만히 끌어안았다. 해맑은 표정으로 웃고 있는 딸의 영정 아래 앉아 있는 딸의 엄마 역시 넋이 나간 듯 말이 없었다. 왜 죄 없는 내 딸이 죽어야 하느냐, 하나님은 왜 사랑하는 내 딸을 이리도 일찍 데려갔느냐는 흔한 푸념 한 마디 없었다. 다만 그들의 일그러진 얼굴 표정에는 고난당한 자의 한 전형인 욥의 탄식이 서려 있을 뿐.

 

아, 나의 괴로움을 달아보며

내가 당한 재앙을 저울 위에 모두 올려놓을 수 있다면

바다의 모래보다도 무거울 것이라(욥기 6:2).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자식의 어처구니없는 죽음 앞에서 늙은 부모는 하염없이 눈물만 쏟아낼 뿐이었다. 명색이 목사인 나도 슬픔을 딛고 일어설 수 있는 위로의 말을 찾지 못한 채 같이 눈물만 섞을 수밖에. 서둘러 눈물을 닦아주려 하기보다는 서로 눈물을 섞는 슬픔의 공명이 역설적으로 그걸 딛고 일어설 힘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고해라는 이 생(生)의 바다를 건너다보면, 이처럼 가슴 찢어지는 일, 그래서 눈물 흘릴 일이 부지기수다. 히브리인들의 영혼의 노래인 시편을 보면, 하늘의 위로를 갈구하는 상한 영혼들의 탄식시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시편의 주인공들이 흘린 눈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흐른다면 아마도 장강(長江)을 이룰 것이다. 그 눈물은 단지 염분을 물에 풀어놓은 것이 아니다. 감상적인 자기 연민에서 쏟아낸 액체만도 아니다. 피붙이가 당하는 슬픔, 가까운 이웃이나 동족이 겪는 억울한 죽음과 고통을 자기 자신의 고통과 동일시한 자비와 위로의 눈물인 것이다. 이 때 눈물은 한 시인의 섬세한 통찰처럼 ‘영혼의 부동액’이 된다.

 

눈물은 영혼의 부동액이라구요?

눈물이 없으면 우리는 다 얼어버린다구요?

 

― 마종기, <나무가 있는 풍경> 일부

 

눈물이 영혼을 얼어붙지 않게 하는 부동액이라니? 눈물은 자비와 위로를 담고 있는 따뜻한 액체이기 때문이다. 더 적극적으로 표현하면, 눈물은 슬픔과 고통 때문에 주저앉은 타인을 일으켜 세우는 영혼의 묘약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우리의 안구 속에 은밀히 숨어 있는 눈물샘은 ‘축복의 샘’이 아닐까? 그래서 예수는 인생이 누릴 여덟 가지 복을 설파하면서 “애통하는 자가 복이 있나니 그들이 위로를 받을 것”(마태복음 5:4)이라고 하신 것일까.

 

우리가 마음눈을 열어 주위를 둘러보면, 우리가 함께 슬퍼하며 위로해야 할 상한 영혼들이 지천으로 널려 있다. 특히 세월호 참사로 자식을 잃고 애끓는 유가족들, 극빈의 고통, 실직의 불안, 전쟁의 공포, 환경 재앙, 영적인 공황 등 우리 영혼을 넘어지도록 하는 삶의 부정적 요인들은 허다하다. 이런 부정적 요인을 스스로 극복하고 자기 힘으로 일어설 수 있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자기 힘만으로 일어설 수 없는 사람들이 세상엔 더 많다.

 

하지만 힘없고 연약하고 무지한 사람만 아니라 강한 자도 넘어지고 지혜로운 사람도 실족할 수 있다. 따라서 세상의 그 누구도 ‘나는 타인의 위로와 격려 따윈 필요치 않아!’ 라고 함부로 말할 수 없다. 인간을 ‘사이’[間]의 존재라고 말하는 것은 우리가 때론 위로를 받아야 할 사람이기도 하고, 때론 위로를 베풀어야 할 존재이기도 하기 때문이 아닐까.

 

하지만 사람과 사람 사이에 주고받는 위로는 불완전하다. 내가 당한 슬픔과 괴로움을 함께 나눌 사람이 곁에 있어도 위로받지 못할 때가 있지 않던가. 아무도 없는 곳으로 가서 혼자 울고 혼자 기도하고 싶을 때가 있지 않던가. 그래서 화이트헤드 같은 철학자는 ‘고독’이야말로 종교성이라고 갈파했다. 말하자면 인간에게는 홀로 자기 존재의 바탕인 하나님과 대면하고 싶은 갈망이 있다는 것이다.

 

그런 뜨거운 갈망 끝에 하나님과의 웅숭깊은 대면이 이루어질 때 어떤 시인의 심오한 통찰처럼 세상에는 ‘영원한 비탄’도 없고 ‘영원한 눈물’도 없음을 스스로 깨닫게 된다. 이것은 사람이 베풀어줄 수 없는 위로이다. 눈동자처럼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나님만이 베푸실 수 있는 위로이다. 아무도 흔들 수 없는, 하나님과의 내밀한 교감으로만 얻을 수 있는 이런 궁극의 위로야말로 곧 구원이 아닐까.

 

고진하/시인, 한살림교회 목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