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종호의 '너른마당'

마종기의 '우화의 강'에 붙여

by 한종호 2015. 1. 16.

한종호의 너른 마당(5)

마종기의 '우화의 강'에 붙여

 


사람이 사람을 만나 서로 좋아하면

두 사람 사이에 서로 물길이 튼다

한 쪽이 슬퍼지면 친구도 가슴이 메이고

기뻐서 출렁이면 그 물살은 밝게 빛나서

친구의 웃음소리가 강물의 끝에서도 들린다.


처음 열린 물길은 짧고 어색해서

서로 물을 보내고 자주 섞여야겠지만

한 세상 유장한 정성의 물길이 흔할 수야 없겠지

넘치지도 마르지도 않는 수려한 강물이 흔할 수야 없겠지


긴 말 전하지 않아도 미리 물살로 알아듣고

몇 해 쯤 만나지 못해도 밤잠이 어렵지 않은 강

아무려면 큰 강이 아무 의미도 없이 흐르고 있으랴

세상에서 사람을 만나 오래 좋아하는 것이

죽고 사는 일처럼 가벼울 수 있으랴

 
큰 강의 시작과 끝은 어차피 알 수 없는 일이지만

물길을 항상 맑게 고집하는 사람과 친하고 싶다.

내 혼이 잠잘 때 그대가 나를 지켜보아 주고

그대를 생각할 때면 언제나 싱싱한 강물이 보이는

시원하고 고운 사람을 친하고 싶다.


 -마종기 <우화의 강>

 

 

오늘, 우리는 깊은 인연, 오래가는 우정

그리고 늘 서로를 일깨우는 그런 벗들에 대한 소중함을

얼마나 절감하면서 살아갈까요?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고 여겼던 마음들은

어느새 퇴색해 버린 지 한참인 것 같습니다.

그와는 달리, 아무리 정겹게 얽혔어도 이해관계가 틀어지면

갑자기 모든 것이 소멸되는 것에 익숙해져버린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서양은 논리가 통하면 그것으로 일을 꾸며나갑니다.

그러나 인간의 논리라는 것은 얼마나 위선적인지...

또한 그것은 귀에 걸면 귀거리 코에 걸면 코거리가 되는 경우도

얼마나 많습니까.

말 잘하는 자도 거짓도 진실로 둔갑시키고 진실도 거짓으로 몰아갑니다.


우리네 본래 정서는 마음이 통하는 것에 주력했습니다.

일단 마음이 서로 통하면 논리를 뛰어 넘을 줄 압니다.

그건 이해관계를 초월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이겠지요.

마음에 내켜야 하고 마음도 “먹습니다.”

먹는 것은 곧 몸이 됩니다.

그 마음이 내 오장육부에 파고 들어 내 몸이 되면

행동은 그대로 이어지는 법입니다.


시인 마종기는 그런 우리네 정서의 정곡을 드러내 보입니다.

벗이 되면 서로의 마음에 물결이 트인다는 것입니다.

그건 일방적이지 않습니다.

그 물살이 때로 느리고 때로 빠르고 하는 차이가 있다 해도

그것은 이 쪽 끝과 저 쪽 끝이 하나가 되어 있는 물결입니다.

마음의 강이 흐르는 곳에 생명이 태어나고

우정의 숲이 우거지며 삶의 기쁨은 시들지 않습니다.

 
그 강이 적시는 땅은 옥토가 되어 갑니다.

맑고 깨끗한 강이 흐르면,

굳이 말을 하지 않아도 굳이 인사를 나누지 않아도

우린 상대의 마음에 무엇이 자라고 있는지 따뜻하게 감지할 수 있겠지요.


서울에 다시 청계천이 흐르고 사람들은 그곳을 즐겨 찾습니다.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정작 우리의 마음에 어떤 강이 흐르고 있는지,

어떤 물길이 트이고 있는지는 돌아보려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홀로 이 막연한 세상을 살아가며 외로울 때,

그 마음을 위로해주고 때로 힘겨워 하소연 할 때가 없어도

그를 떠올리면 다시 마음에 평안이 오는

그런 인연, 그런 우정, 그런 사랑, 그런 축복이

다만 아득히 먼 옛날의 우화로 남지 않고 생생한 이야기로 남기를 빕니다.
 

한종호/꽃자리출판사 대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