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5/053

고집은 세고 어둑하기 한이 없어라 시편 4편 2절 너희, 사람들아! 언제까지 나의 영광을 짓밟으려는가? 언제까지 헛일을 좇고 언제까지 거짓 찾아 헤매려는가?(《공동번역》) 嗚呼濁世子 冥頑盍有極(오호탁세자 명관함유극) 세상에 물들면 고집은 세고 어둑하기 한이 없어라 그러니 허망한 것에만 빠져드네(《시편사색》, 오경웅) 가인(歌人) 박보영 씨가 부른 노래가 떠오릅니다. 바람은 보이지 보이지 않지만 나무에 불며 녹색의 바람이 되고 꽃잎에 불면 꽃바람 된다 방금 나를 스쳐지나간 바람 무슨 바람되었을까? 일본의 어느 장애를 지닌 분이 지었다는 시에 붙인 노래입니다. 그는 자신을 스쳐 지나간 바람은 세상에 어떤 의미로 흘러가는지를 묻습니다. 저도 그리 묻고 싶습니다. 저는 시방 무엇에 물들어 있고 어떤 결로 흐르고 있습니까? 당신을 믿는다고 하는데.. 2021. 5. 5.
아이들 입맛 달래, 냉이, 언개잎, 두릅, 제피잎, 쑥 털털이 쓴 나물 입에도 대지 않으려는 우리 아이들 치킨, 피자, 떡볶이에 자꾸만 봄이 밀려난다 올해도 아이들의 몸 속에 봄을 심지 못해서 큰일이다 이 아이들이 커서 맞이하는 봄은 무슨 맛일까 내 어린 시절 뒷동산에서 뛰놀다 심심해서 꺽어 먹던 배추 꽃대 맛은 지금도 푸른데 아이들 고사리손으로 캐온 쑥을 모아서 쑥 털털이 해서 나눠 먹던 마을 아주머니들은 고향 어린 몸에다 봄을 심을 수 있었던 가난이 하늘이 내려주신 선물인 줄을 두고두고 곱씹는다 2021. 5. 5.
“나댐 없이, 드러남 없이, 흔적 없이” 시간차가 있긴 하지만, 저자와 나는 공유한 역사의 시간대가 넓게 겹친다. 비록 같은 하늘 밑에 살았어도, 그는 소용돌이치는 역사의 현장에서 살았고, 나는 현장과는 철저히 격리된 상아탑 속에서 스스로 갇혀 살았다. 학문적으로도 남미 해방신학에 대한 긍정적 관심과 수용, 우리의 민중신학에 대한 성서학 쪽에서의 지원을 자처했으나, 나 자신의 공헌은 미흡했다. 70년대 말, 어느 날 오후, 신촌 세브란스병원 앞에서 거의 폐인이 되다시피 피폐해진 모습의 청년을 만났다. 그는 한때 모 대학 기독학생회에서 내가 인도하는 성경공부에 참여하였고, 그 후 현장에 뛰어들었다가, 모진 고문 끝에, 건강을 잃었다. 그때 거기에서 그를 만나고 나서, 나는 한 국립대학교와 두 사립대학교의 기독학생회에서, 정기적으로 때로는 부정기적.. 2021.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