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숙의 글밭/하루에 한 걸음 한 마음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가장 연약한 생명에게

by 한종호 2020. 3. 24.

신동숙의 글밭(119)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가장 연약한 생명에게


한 사람의 역할이 한 가지는 아닙니다. 생활하는 환경과 만나는 사람이 다양한 만큼, 다양한 역할이 때론 다양한 인격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교회 안에선 순한 사람이 가정에선 엄한 사람이 되기도 합니다. 저 역시 부족한 사람이다 보니 아이들한테 목소리가 올라갔다가 이내 후회하기도 합니다. 오래전 독립운동을 하기 위에서 집을 나서던 윤봉길 의사의 바짓단을 붙들고서, "아버지 제발 가지 마세요." 매달린 것은 여섯살 난 그의 어린 아들이었다고 합니다. 


아버지의 깊은 뜻을 헤아리기엔 너무나 어린 나이였던 그의 아들에게 윤봉길 의사는 무정한 아버지였겠지요. 아들이 자라고 인생을 살아가면서는 아버지의 깊은 뜻을 헤아릴 수 있었을 테지만, 한국의 독립 운동가와 그의 가족과 후손들은 너무나 힘겨운 삶을 살아온 게 아픈 역사적 현실입니다. 


하지만, 역사는 한국의 독립 운동가, 당신들의 뜨거운 가슴과 희생을 잊지 않을 것입니다. 유유히 흐르는 강물의 깊은 흐름이 되고, 나무의 뿌리가 되어준 당신들에게 역사는 언제까지나 감사하며 자랑스러워할 것입니다. 그 마음이 경제적 보상으로 연결되지 못한 아쉬움은 아직도 청산 되지 못한 과거사가 덩그러니 남아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실체는 아닙니다. 끊지 못한 지배와 피지배의 그림자일 뿐입니다. 독립운동가들이 지켜낸 것은 그림자인 경제적 풍요로움과 권력이 아니니까요. 일제강점기 암흑의 터널을 지나며 그들이 지켜낸 것은 한국인의 얼과 한글과 말입니다. 얼과 한글과 말에 깃든 정신과 맑은 영혼입니다.


사람이 사람을 수단으로 삼으려는 그 시선이 일제강점기 때 지배자의 시선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 지배자 밑에서 제 가족만이라도 살아남기 위해서, 같은 조선인이면서도 그 밑에서 작은 지배자가 되기 위해서, 스스로 충실한 노예가 된 얼 빠진 무리들이 있었습니다. 나라가 해방이 되었으나, 그 무리들은 여전히 물질적 풍요로움과 권력의 충실한 노예에서 해방되지 못하고, 더욱 물질과 권력의 충실한 노예가 되기 위해서, 자신보다 연약한 사람을 수단과 착취의 대상으로 삼으려는 얼이 빠진 마음을 봅니다.


하지만, 연약한 계층을 착취하면서도 그들의 또 다른 인격은 사회적으로 존경 받는 어른과 아버지가 되기도 합니다. 이미 뱃속에서부터 누려온 물질적 풍요로움 속에서 그들의 자녀는 고액 과외와 유학의 풍요로운 코스 요리가 아니면 밥숟가락을 들지 않겠다고 떼를 쓸 테니까요. 때론 자신보다 연약한 사람을 착취의 대상으로 삼아서라도 이제껏 누려온 레스토랑의 코스 요리를 포기할 수는 없는지요. 영혼의 맑은 숨은 어디서 찾아야 하는지요.





과도한 욕심의 권력과 물질적 풍요로움이 낳고 낳은 것은 어쩌면 비인격 또는 죄가 아닌가 하는 지점입니다. 왜 그토록 존경받는 선현들이 가난한 이들을 껴안으며 자발적 가난을 강조했는지 헤아려봅니다. 세상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다가 마지막에 물질의 풍요로움과 권력과 안락에 주저앉았던 대부분의 종교와 영성 지도자들이 추한 모습으로 그 인생의 막을 내린 것은 과거 역사가 거울이 되어주고 있습니다.


이미 길들여진 권력과 물질적 풍요로움의 노예가 된 의식에선, 자신보다 연약한 사람이 자신과는 다르게 보이는 것인지요? 그 지점에서 저는 늘 아픕니다. 일제 강점기 때 지배자의 시선과 경제 지배자, 권력 지배자의 시선에서, n번방의 연약한 미성년자를 성노예로 삼은 지배자의 시선을 봅니다. 가슴에 바윗돌을 끼얹은 것 같습니다. 가슴이 살아 있는 사람이라면 어느 누구도 그 무게감으로부터 자유로운 자가 없을 것 같습니다. 맥 빠진 손으로라도 틀어진 것들을 바로 추스려야 하는 것입니다. 자라나는 아들과 딸들이 영혼의 맑은 숨을 쉴 수 있는 건강한 세상을 수채화처럼 시처럼 이 땅에 흙에 그려봅니다.


존엄한 사람을 내 욕망의 수단으로 삼으려는 시선에서 죄가 시작됨을 봅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사람이 사람을 수단으로 삼아선 안되는 것입니다. 특별히 자신보다 연약한 사람이나 생명을 수단으로 삼아선 더더욱 안되는 것입니다. 그 옛날 예수가 왜 그토록 잃어버린 어린 양 한 마리를 강조했는지, 그 마음이 빛으로 드러나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제가 평소에 지키려고 하는 기본 공식이기도 합니다. '한 사람의 인격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가장 연약한 생명을 대하는 마음과 태도가 그의 참 모습입니다.'


예수가 그토록 강조했던 잃어버린 어린 양은 사실은 우리 모두였구나, 라는 깨달음입니다. 나와 또는 가족 중에 누구든 그 잃어버린 어린 양 한 마리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는 일입니다. 교수가 그가 속한 교수의 입장만을 옹호하고, 종교인이 그가 속한 종교인만을 옹호하고, 제 자신이 제가 속한 가족만을 옹호한다면 그것은 집단 이기주의입니다. 자신과 집단 외에 사람은 상관없다는 듯이 타인으로 보고 욕망 충족을 위한 수단과 착취의 대상으로 삼으려는 마음이 바로 죄를 낳는 무지의 시작임을 봅니다.


교수가 그보다 연약한 학생을 챙기고, 종교인이 그보다 무지한 비종교인을 챙기고, 엄마가 이웃집의 자녀도 내 자녀처럼 소중하게 여기는 마음일 때, 그 사회는 비로소 맑은 숨을 쉴 수 있을 것입니다. 피가 서로 통하는 모습이니까요. 심장에서 나온 혈액은 언제나 발바닥으로 발가락 끝까지 내려갑니다. 손끝까지 온몸 구석구석을 막힘없이 돌아서 정수리까지 올라갔다가 심장으로 되돌아올 때 그 신체는 건강한 몸이 됩니다. 하늘에서 내리는 비는 언제나 세상의 가장 낮은 곳으로 흘러갑니다. 흘러의 내리지 못하면 안개가 되어 감싸안기라도 하는 것이 자연의 순리입니다.


사람을 대하는 시선, 언제나 시작은 따뜻한 심장, 가슴입니다. 나와 너는 다르지 않다는 시선으로부터 가슴은 따뜻하게 데워질 수 있습니다. 건강한 몸, 건강한 정신, 건강한 인간관계, 건강한 사회, 건강한 인격, 건강한 영혼은 어느 한 구석도 막히거나 소외된 곳이 없는 상태입니다. 어딘가 막히고 쌓인 것을 우리는 병이 들었다고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이 없는 모습일 때, 한 사람은 모두가 모두는 한 사람이 되어 피가 순환하는 모습일 때, 건강한 신체가 될 것입니다. 제 개인이 인격의 결을 고르기 위해서 오늘도 스스로에게 거듭 묻습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가장 연약한 생명을 대하는 그 마음이 진정한 나의 참 모습입니다.' 우리 선조들이 지켜온 선하고 맑은 하늘을 닮은 홍익인간의 마음, 밝은 배달의 마음입니다.


어느 신부님께서 들으신 이야기 내용을 그대로 옮깁니다.


'예전에 35세 된 아들을 둔 어머니의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학교 다닐 때 최고의 성적을 내고 명문대를 나와 대기업에 입사해 늘 어머니는 이 아들이 자랑스러웠습니다. 그러나 회사에서 적응을 못해 한 해 두 해 힘들어 하던 아들은 결국 마음의 병이 생겨 회사를 그만 두고 정신 병을 치료하며 지내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 어머니는 “35년 동안 아들은 저를 행복하게 해 주었습니다. 아니 저를 행복하게 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한 것 같아요. 이제는 모든 것 내려 놓고 아들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마음을 쓸거예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