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자리> 출간 책 서평

“만 가지를 쳐내고 한 꽃을 얻는다”

by 한종호 2022. 4. 2.


삼 십여 년 전 어느 날 저녁, 불현듯 한희철 목사가 계신 단강을 찾아간 적이 있다. 연락도 없이 찾아간 길, 창문을 통해 본 집안은 컴컴했고 문은 잠겨 있었다. 그러나 같이 간 친구와 나는 낭패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다. 시골집다운 허술한 자물쇠를 부수고 기어이 집 안으로 들어갔으니 말이다. 주인 없는 집에 들어가 한 일이라고는 책꽂이에 꽂혀 있던 책 한 권과 단강교회 이름이 새겨진 달력을 가지고 나오면서, ‘왔다 갑니다’ 메모 한 장 써놓은 것뿐이었다. 부수고 들어간 자물쇠를 고칠 도리가 없어서 살짝 문을 닫아두고 집으로 오는 길, 나는 알고 싶었다. 한희철의 ‘내가 선 이곳은’ 도대체 어떤 곳인지, 그에게서 솟아 나오는 샘물은 어떤 것이기에, 자기가 선 곳을 숲속 깊은 곳의 작은 옹달샘으로 만들었는지 알고 싶었다. 

 


그날 남한강을 끼고 굽이굽이 도는 밤길을 오며 품었던 질문의 답을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꽃자리, 2021)에서 오늘 마침내 얻는다. 한희철의 걸음은 ‘하루 한 걸음’이다. 그래서 그의 생각은 ‘하루 한 생각’이 된다. 이웃집 정자가 탐이 난 사람이 자기 마당에 정자를 지으며 일층, 이층은 필요 없으니 아름다운 삼층만 지으라고 목수에게 일렀다던가! 첫 삽이 없고서야 어찌 마지막 삽이 있으랴. 登高自卑(등고자비)라 했다. 높은 곳에 오름은 반드시 낮은 곳에 있음에서 출발한다.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은 기어이 낮은 곳을 향한다. 왜냐면 그가 오르고자 하는 저 산등성이는 낮은 곳에서의 한 걸음이 아니고서는 언감생심 꿈꾸지 못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북소리가 들리면 춤 출 일이 아니다. 북을 누가 치는지를 살필 것’(44쪽, 북)이라는 한희철의 고백은 그의 하루 한 생각이 향하는 곳이 어디인지 알게 한다. 그래서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은 기도가 되고 노래가 되어 저 언덕 위에서 휘날리는 깃발로 계신 분을 향한다.

 

한희철의 그 기도와 노래는 마침내 시(詩)가 된다. 그에게 시(詩)는 “버릴 걸 버려 마침내 본질에 닿는 것”(19쪽, 시詩)이기에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은 본질에 닿으려는 몸부림이고 외침이 되는 것이다. 하늘을 향한 걸음으로 본질에 가까이 다가간 사람의 언어는 단순하며 가볍다. 그래서 ‘하루 한 생각’일 수밖에 없다. 수천, 수만의 생각이 오가는 하루를 걸으며 덧없는 껍데기는 벗겨내고 참이 아닌 것은 버린 후 남은 빛나는 조약돌, 그것 하나 붙들고 씨름하여 두 손에 고이 들어 내어놓는 ‘하루 한 생각’이야말로 한희철의 노래이며 시(詩)이고 기도이다. ‘너무 오랫동안 당신의 손이 닿지 않아 황무지’(54쪽, 어느 날의 기도)가 되어 버린 우리의 거칠고 사나운 영혼에 비로 내리기 위해 그가 ‘견뎌낸 목마름’이다. (440쪽, 이슬)


한희철의 ‘내가 선 이곳은’ 결국 ‘세상에 고마운 말, 난 괜찮아’(552쪽, 괜찮아)를 하루에 한 번, 자기 자신과 이웃에게 내어놓는 곳이다. ‘괜찮아’는 평화를 비는 말이다. 들썩이는 누군가의 어깨를 다독이며 내어 주는 말, 괜찮아, 나를 위해 기도하는 이를 향한 고마운 마음, 당신의 기도로 난 괜찮아요, 그러니 하루에 한 번 세상 고마운 말로 평화를 빌어주는 그의 ‘하루 한 생각’은 모든 이를 ‘괜찮게’ 하는 옹달샘이 되는 것이다.

 

서해 작은 섬, 아차도의 110년 된 예배당을 찾은 그의 눈에 들어왔던 ‘등불 하나가 천년의 어둠을 지운다’(322쪽, 일등능제천년암 一燈能除千年暗)’는 구절처럼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은 어두운 새벽길을 하루 한 걸음 걸어 나가는 순례자에게 능히 하나의 등불이 되어주니,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에 기대어 ‘누군가를 향해 가장 먼 길’인 ‘사랑’(24쪽, 사랑)이라는 그 길을 걷고 자 하는 사람은 언제든지 그의 문을 부수고 들어가 ‘하루 한 생각’을 훔쳐 와도 좋다. 꽃에게는 자기를 감고 오르는 나팔꽃을 ‘거절할 손이 없는’(317쪽, 꽃에게는 거절할 손이 없다)것처럼 한희철에게는 ‘하루 한 생각’을 거절할 손이 없으니 그의 「하루 한 생각」은 과연 ‘은총으로 채워진 허공의 두레박’(238쪽, 어느 날의 기도)이다. 

 

편집자 주/ 감리교단 잡지인 <기독교세계> 4월호 '눈여겨 볼 책'에 실린 양광교회 이공훈 목사의 글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