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영진의 '히브리어에서 우리말로'

아름다운 여인의 보기 좋은 이(치아)

by 한종호 2015. 5. 1.

민영진의 히브리어에서 우리말로(17)

 

아름다운 여인의 보기 좋은 이(치아)

 

 

아가서에 나오는 남자 주인공은 자기가 사랑하는 여인을 찬양할 때마다 그 여인의 신체 부위의 아름다움을 묘사한다. 그가 눈여겨 관찰하는 여인의 신체 부위는 머리, 머리채, , , , 입술, 잇몸, , , , 젖가슴, 허리, 배꼽, 그곳, , 키 등이다.

 

그는 여인을 멀리서도 보고 가까이에서도 보고 품에 안고서도 본다. 목을 중심으로 하여 목 위가 11곳이고, 목을 포함하여 목 아래가 6곳이다.

 

그 남자가 사랑하는 그 여인의 아름다움을 본 곳은 얼굴 쪽에 집중되어 있고, 얼굴에서도 입 주변에 관심이 모아져 있다. 비록 목 아래 부위에 대한 언급이 얼굴만큼은 세분화 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그 표현의 대담성이 놀랍다. 여인의 신체 각 부위의 아름다움은 은유와 직유를 함께 써 가면서 묘사되어 있다.

 

 

 

그런데 이(치아)에 대한 묘사가 <개역성경>이든 <공동번역>의 것이든 우리에게는 명확하지 않다.

 

네 이는 목욕장에서 나온 털 깎인 암양 곧 새끼 없는 것은 하나도 없이 각각 쌍태를 낳은 암양 같구나.”(아가서 4:2)

 

이것은 <개역개정>의 번역이다. 여인의 이(치아)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면서 목욕하고 나오는 털 깎인 암양이란 은유를 쓰고 있다. 이것은 분명 백옥같이 흰 이와 가지런하고 고르게 생긴 치열의 아름다움을 말하는 것일 터인데, 목욕하고 나온 털깎인 암양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필자로서는 이런 은유는 이해할 수가 없다.

 

여기에 비하면 <공동번역>이는 털을 깎으려고 목욕시킨 양떼 같아라가 더 그럴듯하다. 털을 깎기 전에 목욕을 시켰으니 얼마나 깨끗해졌는가? 깨끗하게 씻겨 진 양털처럼 흰 이다. 팔레스티나에서는 털을 깎기 전에 양들을 목욕시키지 털을 깎은 다음에는 목욕을 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주석가들의 견해를 따른다면, 여기서 <개역성경>은 오역을 보이는 반면 <공동번역>은 바른 번역을 보인다.

 

쌍태를 낳은 암양이란 또 무엇인가? 우리말에도 쌍태 낳은 호랑이 하루살이 하나 먹은 셈이라고 하여, 양은 큰 데 먹은 것이 적다는 뜻을 나타내는 속담이 있다.

 

여기서 쌍태라는 말을 보기는 했지만, 희고 고른 여인의 이를 보면서 쌍태를 낳은 암양이 쌍둥이 새끼를 거느리고 있는 것을 연상하다니 아무래도 얼른 이해가 가지 않는다.

 

<공동번역>새끼 없는 놈 하나 없이 모두 쌍둥이를 거느렸구나역시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리말 번역에서는 그 여인의 이가 털 깎으려고 목욕하고 나온 양떼가 희고 흠 없는 것처럼, 위 아래 빠진 이 하나 없이 다 고르게 짝이 맞는다는 뜻을 살릴 수 있는 은유를 찾아야 할 것 같다.

 

민영진/ 전 대한성서공회 총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