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길용의 '종교로 읽는 한국 사회'

행복은 성적순

by 한종호 2015. 1. 27.

이길용의 '종교로 읽는 한국 사회'(5)

행복은 성적순

 

공부가 구원에 이르는 길이요 구도 행위가 되니, 그것이 이루어지는 현장은 곧 성스런 공간이 된다. 그러니 한국 사회에서 교육은 단순히 인재 육성이나 가치의 문제에 머물지 않는다. 그것은 종교요 신앙의 수준에서 사람들의 머릿속에 박혀 있게 된다. 따라서 어느 나라보다, 그 누구보다 우리 사회는 공부와 교육에 집중한다. 신분이 높건 낮건, 수입이 많건 적건 따지지 않고, 가리지 않고 모두 교육이라 하면 최우선시 하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가정 경제에서도 1차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자녀 교육비이다. 절대적 빈곤을 넘어서는 순간 우리는 교육에 몰입하고 또 집중하기를 전혀 주저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바로 교육이야말로 구원을 위한 최적의 선택이 되기 때문이다. 바로 여기에 한국 사회의 교육 문제가 쉽게 풀리지 않는 이유가 있다. 모두들 영생하고, 구원을 받겠다는 데 누가 이런 본래적 욕구와 기대를 단순 윤리와 가치의 이름으로 물리칠 수 있단 말인가! 하여 교육 관계자들은 한국 사회의 이 오래된 교육 신앙을 구원론적으로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사회의 교육 문제 해결은 출구조차 찾을 수 없을 것이다.

(출처: Derek Winchester (https://www.flickr.com/photos/derekwin)

 

우리 선조들은 구원에 이르는 공부의 길을 현실적 제도 안에 담아 두었다. 그것이 우리가 자랑하는 찬란한 교육 문화이기도 하다. 우리 사회에 과거라고 하는 제도가 처음 시행된 것은 고려 광종(재위기관 925~975) 9년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려는 기본적으로 개국공신들과 왕족 중심의 사회였기에 과거를 통한 세력들이 주축으로 활동하는 데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었다. 과거 제도가 보다 찬연한 빛을 발현하게 되는 것은 당연히 조선 시대를 꼽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조선 시대의 과거는 인재를 등용하는 공식적인 제도로서 3년에 한 번씩 실시되는 정기적인 식년시(式年試)가 있었고, 새로운 임금이 즉위하거나 그에 걸맞은 국가적 경사가 있을 때도 부정기적으로 실시되었다고 한다. 예서 조선 시대 과거 제도의 대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과거라고 하는 시험만 놓고 보면 크게 소과와 대과로 나뉜다. 그리고 소과는 다시 초시와 복시라는 2단계가 있고, 대과는 초시-복시-전시 이렇게 3단계로 이뤄져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예외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보통 과거에 응시하는 이들은 저 5단계를 모두 통과해야만 최종 33명 안에 들 수 있었다. 소과를 통과하게 되면 생원이나 진사라는 호칭을 얻게 된다. 그리고 그 숫자는 고작 몇 백 명 수준이다. 그렇게 소과를 통과한 사람들이 가는 곳이 바로 성균관이다. 성균관에서의 생활도 상상을 넘어설 정도로 빡세다. 일단 성균관 생이 되면 1년 중 3백일 이상은 출석을 해야 다음 단계 시험에 응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매 10일마다 시험을 치러야 했고, 월 평균 10회 이상의 모의고사를 치러내야만 하는 그야말로 시험 지옥과도 같은 생활을 견뎌내야만 대과를 볼 수 있었다.

그 후 대과를 치르게 되면 초시에서 다시 2백여 명을 추려내고, 복시를 거쳐 마지막 33명을 걸러내게 된다. 바로 이들만이 과거의 마지막 시험이랄 수 있는 전시에 응시할 수 있게 된다. 최후 33인에 들었다고 안심할 수 없는 것이 이 마지막 시험을 통해 그들이 진출하고자 하는 관직의 최초 품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전시의 장원 급제자가 받는 벼슬의 품계는 종6품이다. 지금으로 따지면 사무관급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그 다음 순번 자가 정7, 8품 등 순차적으로 낮은 등급을 받게 되니 마지막 시험이라고 해서 소홀히 여길 수 없었다. 게다가 처음 받게 되는 품계가 중요한 것이 승진을 위해 소요되는 기간을 보면 대강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건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각종 국가고시 합격자들이 임용되는 것이 5급 사무관이다. 대략 7급 공무원이 5급에 오르기 위해 필요한 기간을 생각해 본다면 조선시대 선비들이 대과의 마지막 시험이 전시에 대하는 자세가 어떠했을 것임은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아무튼 이 전시는 보통 임금이 임석한 자리에서 치러지게 되고 성적에 따라 갑--병으로 구분했다고 한다. 이 구분은 성적순이며 보통 갑 그룹이 3, 을이 7, 병에 23명 정도였다고 한다.

대략 이런 과정을 통해 세상에 이름을 알리게 되면, 그와 더불어 그가 속한 가족 공동체가 영예를 얻게 되고 이는 유교적 구원을 이루는 죄상의 길이 된다. 따라서 여유가 있고, 형편이 되는 집안은 이 구원으로 이끄는 과거의 문을 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게 된다. 그리고 이런 본래적 욕망에서 한국의 교육 시스템은 견고한 사회적 기재로 자리하게 된다. 이제 이즈음에서 조선 시대의 교육 시스템을 살펴보도록 하자.

일단 유교 사회였던 조선의 교육 시스템은 초등 교육과 중등 교육, 그리고 성균관으로 대표되는 대과 준비기관으로 나눠 생각할 수 있다. 초등 교육은 서당이나 개인 교습으로 이뤄졌으며, 보통 천자문과도 같은 쉬운 문장을 익히는 것으로 시작했다고 한다. 그 후에는 보다 체계적인 교육을 받게 되는데, 서울 지역에서는 4부 학당이 그리고 지방에서는 향교가 그 일을 맡았다. 그러나 이들은 전인적 교육 기관이라기보다는 실상 과거 준비반이라 생각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이후 소과를 합격한 사람들만이 앞서 설명한 성균관에 들어가 본격적으로 대과를 준비할 수 있었다.

그러고 보니 조선시대의 교육 기관은 철저히 국가고시 대비반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은 최후 33인 안에 드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더 나아가 최후 33인 중 1인이 되기 위한 욕망을 키우는 사회적 기재라고 할 수 있겠다. 철저히 성적 위주이고, 등수 중심적 가치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리 된 것은 이렇게 얻어낸 최종의 성적이 그들의 행복, 즉 가문의 영속에 직접적으로 좋은(?) 영향을 끼칠 것이란 믿음 때문이었다. 그렇게 우리 사회의 행복은 성적순이라는 주술은 완성되어 갔다

 

이길용/종교학,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