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종호의 '너른마당'82 ‘그분의 정원’으로 통하는 문 한종호의 너른마당(22) ‘그분의 정원’으로 통하는 문 인간의 목숨은 언젠가 끝이 있습니다. 몸은 늙고 더는 기운이 없어 무너져 갑니다. 그 몸에 담아 둔 영혼은 그래서 몸에 더 이상은 머무를 수 없게 됩니다. 살아생전 몸이 태어나 자라고 세월이 흐르는 동안, 그 영혼도 함께 자라나고 변모하지만 몸에 끝이 오면 영혼은 다른 차원으로 옮겨가야 합니다. 그 이후 그 영혼이 계속 성장하는 것인지 아니면 그렇게 몸과 더불어 자란 만큼만 성장해서 그 영원한 운명을 살아가게 되는 것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예수께서 하신 말씀에 의지하자면, 그 다음에는 지금의 몸이 아닌 다른 몸을 입고 살아갈 테니 역시 영혼도 새로운 차원의 성장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상상을 해봅니다. 이렇게 보면, 우리가 지금 살아가는 시간은 .. 2015. 5. 29. 차이는 존중해야 하고 차별은 거부해야 한다 한종호의 너른 마당(20) 차이는 존중해야 하고 차별은 거부해야 한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본떠서 창조되었다.” 창세기에 나오는 인간 창조의 기준은 인류사회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최고의 인권선언이다. 모든 종교는 신과 인간 사이의 차이를 전제하고 이를 강조하는 교리를 가지고 있다. 기독교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성서의 이러한 선언은, 신과 인간 사이의 본질적 차이만 부각시키는 여타의 종교적 주장과는 달리 인간의 존엄성이 신적 위상을 가지고 있음을 아울러 주목하고 있다. “하나님과 인간은 다르다. 그러나 인간의 본질에는 하나님의 형상, 그러니까 그 신적 이미지가 담겨 있다. 따라서 인간을 모독하고 짓밟고 차별하는 것은 하나님을 모독하고 짓밟고 차별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바로 이러한 이.. 2015. 5. 18. 우리 죄가 이리 큽니다 한종호의 너른 마당(20) 우리 죄가 이리 큽니다 하나님, 만물이 푸르른 계절이 왔습니다. 겨우내 숨죽여 지냈다고 여긴 생명이 알고 보니 지금의 순간을 준비하는 나름의 고투를 겪어 온 것을 새삼 알겠습니다. 그건 어딘가로 도피하거나 또는 기력이 쇠해져서 안식을 취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긴 인내와 간구 속에서 이루어진 사건임을 고백할 수 있습니다. 꽃들이 피고 개구리의 모습이 보이고, 새들이 지저귀는 산하가 아름답습니다. 나무들이 하늘을 수놓는 화단이 되고 사람들은 그걸 바라보며 즐거워합니다. 실로 하나님께서 만드신 이 세상이 이토록 절경입니다. 그건 애초에 에덴동산이 얼마나 아름다웠는지, 깨닫게 해주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이리 저리 얼룩진 이 세상도 이렇듯 하나님께서 생명의 기쁨을 따로 마련해놓으셨는데.. 2015. 5. 13. 역사와 현실을 외면한 영성의 무기력함 한종호의 너른마당(18) 역사와 현실을 외면한 영성의 무기력함 모든 생명은 역사를 지니고 있다. 시간과 더불어 명멸(明滅)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를 알고자 하는 것은 그 생명의 시간이 기록해놓은 의미를 되새겨보고 그 위에서 성장하고자 하는 갈망에서이다.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역사에 대한 되새김이 없는 존재는 그 생명의 성장을 바라지 않는 것과 다름없다. 그러므로 역사에 대한 앎을 억압하는 것은 생명을 억압하는 것과 같다. 진시왕이 분서갱유(焚書坑儒)를 통해서 역사를 짓밟으려 한 것은 생명을 멸시한 소행이었고, 참으로 역설적이게도 그 자신의 역사적 생명을 단축시키고 말았다. 이는 무엇을 말함인가? 역사에 대한 통찰력과 안목을 기르지 못하는 인생과 공동체는 그 생명을 새롭게 발전시키는데 한계에.. 2015. 4. 22. 목사들의 참회록인가? 한종호의 너른마당(17) 목사들의 참회록인가?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이해서 광화문의 풍경은 살벌했다. 경찰은 시민들을 완전히 봉쇄하고, 유가족들은 범법자들처럼 끌고 갔다. 인륜의 바닥을 보인 정권이다. 자식을 잃고 그 죽음의 진상이 밝혀지기를 요구하는 이들을 잡아가는 권력은 무슨 생각을 하고 이러는 걸까? 교회도 별로 다를 바 없다. 어느새 “세월호”는 입에 담기 쉽지 않은 부담스러운 용어가 되어버렸나 보다. 그 말을 하는 순간, 권력에 대한 비판, 정치적 발언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반갑지 않은 모양이다. 더 나가서는 지겹다고 하는 자들도 있으니, 이건 인간 이하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세월호 1주기를 맞아 글을 올린 김동호 목사의 페이스 북이 난리도 아니었다. 노란리본을 다네마네 가지고 자신의 생각.. 2015. 4. 21. 본회퍼에게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한종호의 너른마당(16) 본회퍼에게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오늘(4월 9일)은 독일 신학자이자 나치스에 저항했던 디트리히 본회퍼가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지 70년 되는 날이다. 그는 현실의 고난, 그 중심에서 하나님으로 자신을 드러낸 그리스도를 만날 것을 촉구한 사람이었다. 그것은 영광스런 신적 존재를 기대하고 있는 이들에게 매우 당혹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본회퍼는 바로 이 십자가 신학 속에 인간과 하나님의 만남을 극적으로 목격한다. 그는 나치스로 인해 독일은 물론이고 인류 사회가 전쟁과 억압의 현실 속에 빠져 들어가는 것에 대해 분노했고, 이를 막기 위해서라면 자신이 희생당해도 좋다고 믿었다. 그런 점에서 십자가는 하나님의 뜻과 현실의 권력이 정면에서 충돌한 지점이었고, 그 자신은 그리스도를 따라 십자가에.. 2015. 4. 9. 세월호 참사 1년, 대통령과 권력, 그리고 부활 한종호의 너른 마당(15) 세월호 참사 1년, 대통령과 권력, 그리고 부활 세월호 참사 1주년이다. 잔뜩 흐린 날씨가 우리네 삶의 풍경과 크게 다를 바 없다. 지난 4월 4일 영정을 들고 안산을 출발하여 광화문 광장을 향하여 걷고 있는 세월호 유가족들의 절규를 들으며 지금은 더 이상 절망하지 않는 것이 희망이지 싶다. 참사 후 1년은 보통 사람들에게는 365일이지만 유가족들에게는 2014년 4월 16일에서 단 하루도 지나지 않았다. 세월호 특위는 만들어졌지만 그마저도 조사권이 위태로운 지경에 처한 것은 우리 사회가 어떤 현실에 있는지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진상은 아직도 오리무중이고 책임을 따지는 문제는 언제 정리될 수 있을지 도무지 가늠이 잡히지 않는다. “진리가 우리를 자유케 한다”는데.. 2015. 4. 5. <조선일보>의 달관할 정도가 되었다? 한종호의 너른 마당(14) 의 달관할 정도가 되었다? 가 지난 2월 말부터 ‘달관세대가 사는 법’이라는 시리즈 기사를 내면서 이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달관이라니? 절망하고 있는데”라는 반론부터, “새로운 행복관을 가진 세대의 등장”이라는 주장에 이르기까지 이른바 “달관세대”를 둘러싼 갑론을박이 이어진다. 이 논쟁의 중심에는 오늘날 미래에 대한 전망을 잃고 있는 청년세대의 현실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라는 시선 문제가 놓여 있다. 그에 더해 어떻게 청년들이 뜻을 펼쳐나갈 수 있도록 해 줄 것인가라는 사회적 과제에 대한 문제제기다. 달관세대는 일본의 ‘사토리 세대’를 차용한 개념으로, 사토리(さとり)란 ‘득도, 깨달음’으로,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일본에서 태어난 10대 후반~20대 중반의.. 2015. 3. 31. 왜 산상수훈인가? 한종호의 너른 마당(13) 왜 산상수훈인가? 산상수훈’은 파격적이다. 성전에서 선포한 이야기가 아니라 산에서 무리들에게 말씀하셨다는 대목도 눈을 끌거니와, 그 내용도 통상의 유대적 종교성을 넘고 있다. 이는 오늘날의 시선으로 보아도 여전히 파격적이다. 산상수훈대로 설교하고 선포하며 살아가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는 점에서만이 아니라, 산상수훈의 논리를 오늘의 교회가 잘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모세가 산에 올라 하나님으로부터 말씀을 받고 돌 판에 율법을 새기는 장면은 산상수훈과 그대로 겹친다. 산상수훈은 그런 면모에서 히브리 신앙 전통의 정체성을 보여준다. 그건 다름 아닌 광야의 야성적(野性的) 종교가 가지고 있는 생명력의 복원이다. 이미 기득권으로 무장되어 있고, 교리가 되어버린 성.. 2015. 3. 22.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