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85

다시, 김교신을 생각한다 - 응답하라. 2021년 이 땅에서 오늘을 사는 신앙인들이여! 백소영의 다시, 김교신을 생각한다(1) 응답하라. 2021년 이 땅에서 오늘을 사는 신앙인들이여! 1927년으로부터 온 편지 - 창간사 - 1927년 7월, 6인의 조선 젊은이들이 이라는 동인지를 창간했다. 하나의 상징적 사건이 되어버린 세월호 참사 이후 나라의 현재를 암담해하고 미래를 걱정하는 이 시절보다도, 더 희망이 없던 일제치하였다. 동인 중 하나였던 함석헌의 표현처럼 ‘끌려가듯’ 일본 땅에서 낯선 타자로 살며 바다 건너 조국을 지켜보자니, 젊은 지식인이요 신앙인인 이들의 참담한 마음이 더욱 깊었을 터이다. “그러므로 걱정을 같이 하고 소망을 일궤에 붙이는 우자(愚者) 5-6인이 동경 시의 스기나미촌에 처음으로 회합하여 ‘조선성서연구회’를 시작하고 매주 때를 기하여 조선을 생각하고 성서를 강해하면.. 2021. 5. 10.
추운 5월 봄을 재촉하던 봄비 발걸음이 드물더니 여름을 재촉하던 4월의 장맛비도 걸음이 뜸하더니 봄도 여름도 철을 잊었는지 5월인데 밤이면 추워서 고민이다 난방을 할까 하다가 겨울 이불을 그대로 덮고 잔다 길가에 하얀 찔레꽃도 마당에 고추 모종도 춥겠다 따뜻한 방도 없이 이불도 없이 2021. 5. 10.
아버지 집 충주인가 청주인가, 결혼 잔치에 참석하고 오던 백수가 오던 길로 교회에 들러 학생부 토요 예배를 드리고서 집으로 갔다. 집부터 안 들렸다고 집에서 야단을 맞았다 한다. 저물녘까지 안 들어와 집에서는 걱정을 했던 것이다. 그 때 백수는 웃으며 말했단다. “내가 내 아버지 집에 있어야 할 줄을 몰랐습니까?” - 1998년 2021. 5. 10.
목발 양쪽에 목발을 집고서 안한수 씨가 교회에 나왔다. 기브스 한 다리를 불편하게 뻗은 채 함께 예배를 드렸다. 뜻하지 않은 경운기 사고로 다리뼈가 부러지는 큰 아픔과 쓰라림을 겪었지만 대신 주님을 찾게 된 것이다. 건강할 때 외면했던 주님을 부편한 몸으로 찾은 것이다. 돼지우리, 집 떠난 아들이 아버지께로 돌아갈 걸 생각한 곳이 바로 그곳이었지. 비참함, 때론 가장 분명한 삶의 전기. 목발을 지탱 하시며 한 아들의 영혼을 당신께로 이끄시는 님의 모습을 본다. 이젠 주님 안에서 걷기도 하며 뛰기도 하리라. 마음의 목발까지 내버리고서. - 1998년 2021. 5. 9.
텅 빈과 빈탕 텅 빈 충만의 얼굴과 빈탕의 얼굴이 닮았다 고요와 평화가 하나의 얼굴이듯 침묵과 기도가 하나의 숨결이듯 거울 속의 거울처럼 비움이 비움을 비춘다 텅 빈 마음을 채우는 건 빈탕한 하늘뿐이다 2021. 5. 8.
물기 스미듯 뒷문이 열리고 몇 명의 사람들이 들어왔을 때 문소리에 뒤로 눈을 준 교우들이 벌떡 일어나 뒤로 간다. 손을 잡으며 인사를 나눈다. 자연히 설교는 중단되고 말았다. 과수원을 하는 서울집 아주머니와 친척 되시는 분들이 설교가 끝나갈 즈음 들어온 것이다. 아무도 그 분이 교회에 나오리라곤 생각지 못했다. 오래전 일로 교회완 거리를 두고 다른 종교에 몸담고 있던 그 분, 설교시간을 의식하지 못하고 반가움에 달려가 손을 잡고 인사 나눈 성도들, 비록 설교가 중단되긴 했지만 그들의 모습이 아름답고 좋았다. 예배 후 사택에 모여 얘기 나눌 때 차 한 잔을 놓고 시누이라는 분이 기도하게 됐는데, 울먹여 쉽게 말을 잇지 못했다. 오빠 교회 나가게 해달라고 기도한지 꼭 한 달 만에 이곳 단강에 교회가 세워졌다는 이야길 듣.. 2021. 5. 8.
보고 싶다 광철 씨가 있다. 우리교인이다. 더없이 순하고 착하다. 그 마음을 말이 못 따를 뿐이다. 서른이 넘었지만 아직 장가 못 갔다. 못 갈 거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그가 하는 일의 대부분은 봄, 가을 짐을 져 나르는 일이다. 사람들은 그럴 때 그를 필요로 한다. 봄에는 거름을, 가을에는 볏가마니를, 야윈 몸에 무거운 짐 지고 새벽부터 어둠까지 품을 팔지만 안으로 자라는 약함의 뿌리는 보이질 않고, 염두에 둘 여유도 없다. 그렇게 살아왔고 또 살아갈 것이다. 봉헌 예배 땐 땔감 하라고 나무 한 짐 지게에 져 내려온 광철 씨. 이번에 되게 앓았다. 단순한 몸살일지. 거의 빠짐없이 저녁예배에 나와 예배드리고 꺼칠한 손을 마주잡아 인사를 한다. 안쓰럽게 마주함이 결국 모든 것일까. 으스러져라 눈물로 안아야 할 .. 2021. 5. 7.
시리고 아픈 사랑 “사철에 봄바람 불어 잇고 하나님 아버지 모셨으니 믿음의 반석도 든든하다 우리집 즐거운 동산이라 고마워라 임마누엘 예수만 섬기는 우리집 고마워라 임마누엘 복되고 즐거운 하루 하루”(찬송가 559장 1절) 아름다운 5월, 주님의 은총과 평화가 함께하시기를 빕니다. 어린이날과 어버이날로 이어지는 5월의 첫 주간입니다. 뭔가 기대를 품은 아이들의 눈빛이 귀엽습니다. 꽃 가게마다 카네이션을 내놓고 손님을 기다리고 있네요. 교회에서 보내준 선물 상자를 개봉하며 신나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동영상으로 보았습니다. 누군가 나를 기억해준다는 사실이 주는 위안과 기쁨은 어른과 아이가 다르지 않을 겁니다. 환청처럼 제 귀에 낭랑한 소리가 들려오는 것 같습니다. “5월은 푸르구나 우리들은 자란다”. 비 개인 아침 공원을 천천히.. 2021. 5. 6.
한 개의 입 가려야 할 곳이 두 눈이 아니라서 막아야 할 곳이 두 귀가 아니라서 아직은 한 개의 입이라서 그나마 다행이지만 이쯤에서 문명의 속도를 늦추지 않는다면 만약에 눈과 귀까지도 가리고 막아야 할 때가 온다면 정신 의식이 미개한 국가가 일으키고 있는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의 탐욕과 전쟁과 어리석음 미개한 국가가 만들어 놓은 허상인 풍요의 굴레 그 늪과 같은 감옥에서 벗어나 맑은 가난이 주는 선물 같은 자유와 배달의 하늘을 오늘 내가 앉은 이 자리에서도 볼 수 있다면 아직은 입 하나쯤은 가려도 괜찮은 것이다 마스크가 주는 고요와 침묵의 선물을 감사함으로 받으며 2021.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