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75)
혀가 창이다
사순절을 앞두고 묵상집 원고를 썼다. 대한기독교서회에서 주관하고 한국YWCA연합회, 한국 YMCA전국연맹, 기독교방송이 연합하여 만드는 묵상집이다. 대한기독교서회에서 발간하는 고난주간 묵상집 원고는 이번에 세 번째로 쓰는 원고였다. 처음엔 공동 저자로 참여했고, 다음번엔 혼자서, 이번에도 혼자서 쓰게 되었다.
같은 기관에서 만드는 묵상집에 같은 주제로 거듭 참여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로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한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생각의 한계가 있고, 표현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원고 청탁을 다시 받으며 같은 주제에 대해 어떤 글을 써야 할지 생각이 많았다. 그러던 중 딸 소리와 이야기를 나누다가 그림 이야기를 했다. 글에 그림을 접목하면 어떨까 싶었던 것인데, 딸에게 의견을 물었던 것은 소리가 독일에서 미술사를 공부했기 때문이었다.
한 번 생각해 볼게요 하더니 며칠 뒤 한 가지 의견을 제시했다. ‘아르마 크리스티’ 이야기를 했던 것이다. ‘아르마 크리스티’(Arma Cristi)란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처형할 때 썼던 고난의 도구들, 즉 형구(刑具)들을 의미하는 말이었다.
소리가 보내준 그림 중에는 장 부시코(Jean Boucicaut, 1366-1421년)의 성무일과서에 등장하는 <그리스도 수난의 도구>도 있었다. 그림 속에는 십자가에 달린 예수가 보이지 않는다. 다만 온갖 수난의 도구들이 마치 대장간의 연장들처럼 십자가 주변을 가득 채우고 있다. 그 도구들이 가한 고통을 생각하면 예수가 당한 끔찍한 고난이 구체적으로 다가온다. 한 번도 다룬 적 없는 주제, 흔쾌한 마음으로 아르마 크리스티에 등장하는 도구들을 하나씩 묵상하기로 했다.
그림 속에 담긴 다른 도구들은 어렵지 않게 이해가 되었다. 그런데 한 가지, 이게 뭘까 싶은 것이 있었다. 십자가 아래 타원형으로 넓게 자리 잡고 있는 분홍색 형상이었다. 아무리 생각해도 딱히 떠오르는 것이 없었다. 소리의 의견을 물었더니 대개는 창에 찔린 예수의 옆구리로 이해를 한다는 것이었다. 옆구리에 난 창 자국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그림을 보며 고민을 하는 동안 내게 떠오른 생각은 달랐다. 그림이 담고 있는 것이 형구라면 오히려 사람들의 입술이 맞겠다 싶었다. 왜냐하면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겪었던 고통 중 그 중 견디기 어려운 고통은 사람들이 함부로 쏟아낸 거친 말들 아니었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생각하니 대뜸 이어지는 생각이 있었다. 혀가 창이구나, 하는 생각이었다. 함부로 하는 말은 누군가의 옆구리를 창으로 찌르는 것과 진배없는 일이다. 창을 들고 휘두르지 않는다고 가볍게 여길 일이 아닌 것은, 말을 함부로 하는 것은 누군가의 속을 창보다도 더 깊이 찌르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이다.
아르마 크리스티가 전해준 하나의 생각, 혀는 창이었다.
-한희철 목사
'한희철의 '두런두런' >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이 되세요 (0) | 2019.03.17 |
---|---|
죄와 벌 (0) | 2019.03.16 |
석고대죄와 후안무치 (0) | 2019.03.12 |
무효사회 (0) | 2019.03.12 |
일기(日記) (0) | 2019.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