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희철의 '두런두런'1160 당신마저 아니라 하시면 하루 한 생각(64) 당신마저 아니라 하시면 더러운 귀신 들린 어린 딸을 둔 수로보니게 여인이 예수의 발 앞에 엎드렸을 때, 예수는 우리의 귀를 의심할 만한 말을 한다. “자녀들을 먼저 배불리 먹여야 한다. 자녀들이 먹을 빵을 집어서 개들에게 던져 주는 것은 옳지 않다.”(마가복음 7:27) 유대인 중의 하나라면 모를까, 어찌 예수가 그럴 수가 있을까. 아무리 이방인이라도 그렇지, 여자라도 그렇지, 귀신 들린 딸을 두었더라도 그렇지, 그런 말을 하는 것은 너무도 잔인하고 난폭한 일이었다. 어쩌면 예수는 이렇게 묻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너의 간절함의 깊이는 얼마나 되느냐?’ ‘너의 간절함은 지극한 겸손에서 길어 올린 것이냐?’ 여인은 비명을 지르며, 욕설을 쏟아내며 자리를 박차고 일어서지 않았다. 오.. 2019. 3. 4. 문체(文體) 하루 한 생각(63) 문체(文體) ‘문장을 통해 드러나는 필자의 개성이나 특징’을 ‘문체’라 한다. 신기하다, 사람마다 지문이 다르듯 글에도 글을 쓴 사람만의 특징이 담긴다니 말이다. 문체와 관련, 니체는 이런 말을 했다. “저자의 문체는 그가 사용하는 단어들을 통해서 그런 것처럼, 그가 피하는 단어들을 통해서도 형태를 갖춘다.” 어떤 단어를 사용하느냐 하는 것이 문체를 형성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어떤 단어를 피하느냐 하는 것 또한 그의 고유한 문체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어쩌면 우리는 반쪽만 인식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자신이 사용하는 단어가 자신의 문체를 형성한다는 것이야 누가 모를까. 하지만 우리의 문체를 결정하는 것 중에는 우리가 피하는 단어들도 있다. 피하여 사용하지 않음으로 지켜가는 나만의 .. 2019. 3. 3. 썩은 것이 싹 하루 한 생각(62) 썩은 것이 싹 ‘씨가 썩은 것이 싹’이라는 표현을 만났을 때, 걸음 멈추듯 마음이 멈췄다. 그 말은 이내 요한복음 12장 24절을 떠올리게 했다. “정말 잘 들어두어라.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남아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공동번역) ‘씨가 썩은 것이 싹’이라는 말은 말씀 앞에서 이내 그리고 새롭게 이해가 되었다. 그런데 또 하나 눈에 들어오는 것이 있었다. ‘썩다’ 할 때의 ‘썩’과 ‘싹’이라는 글자였다. 우연일까, 썩과 싹은 생김새가 비슷하다. 모음 ‘ㅓ’와 ‘ㅏ’ 밖에는 다른 것이 없다. 이미 글자에서 썩은 것이 싹이 됨을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싶다.그것이 무엇이든 제대로 ‘썩’으면 ‘쑥’하고 ‘싹’이 돋는다. 오직 썩은 것만이 싹으로.. 2019. 3. 3. 때로는 하루 한 생각(61) 때로는 잘 될 거야 때로는 작은 격려가 잘 지내는 거지 때로는 작은 관심이 잘 해 왔잖아 때로는 작은 신뢰가 다시 숨을 쉬게 한다. 다시 길을 가게 한다. -한희철 목사 2019. 3. 2. 머잖아 우리는 하루 한 생각(60) 머잖아 우리는 볕 따뜻한 창가에 앉아 원로 장로님 내외분과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은 마치 소풍을 나온 것 같았다. 어쩌면 이야기는 연륜만큼 익는 것인지도 모른다. 가벼운 웃음 속에도 삶을 돌아보게 되는, 남은 시간을 헤아리게 되는 마음들이 담기고는 했다. 무슨 말 끝에 그랬을까, 이야기를 나누던 중에 이런 말을 했다. “머잖아 우리 모두는 천하의 바보가 될 거예요.” 잠시 침묵이 흘렀다. “저는 시골에서 목회를 하며 돌아가시는 분들을 많이 지켜보았어요. 당시만 해도 목사가 염을 했고요. 마지막엔 정말 별 거 없더라고요. 사람이 죽으면 예외 없이 천하의 바보가 되요. 누가 왔다고 일어서지도 못하고, 울며 불러도 대답도 못하고, 칭찬한다고 웃지도 못하고, 욕한다고 화도 못 내고, 몸을 꽁.. 2019. 3. 1. 허물 하루 한 생각(59) 허물 몇 달째 공사가 길 건너편에서 이어지고 있다. 이제는 제법 소음에도 익숙해졌다. 안식관을 새로 짓고 있는 것이다. 감리교에서 목회를 하다 은퇴한 여교역자들을 위한 공간, 낡은 건물을 헐어내고 새로 짓기 시작했다. 공사를 시작하기 전, 건물 뒤편 언덕에 있던 나무들을 거반 없애고 말았다. 톱으로 자르기도 했고, 포클레인으로 쓰러뜨리기도 했다. 제법 큰 나무들로 어울렸던 언덕이 휑한 경사로 남았는데, 비가 오면 무너질까 싶었던지 널따란 청색 포장으로 덮어 이래저래 흉물스럽다. 그래도 경계의 끝, 언덕 꼭대기 부분의 몇 나무는 남겨두었다. 종종 까치며 직박구리와 같은 새들이 가지 끝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본다. 사람의 안식처를 만드느라 새들의 안식처를 베어버린, 부지중에 무지함으로 저.. 2019. 2. 28. 모래 한 알과 물 한 잔 2019. 2. 26. 전투와 전쟁 하루 한 생각(57) 전투와 전쟁 논쟁을 일삼는 수도자들을 꾸짖으며 수도원장은 말한다. “논쟁에서 이기는 것은, 전투에서는 이기고 전쟁에서는 지는 것과 같다.” 논쟁에서 이기는 것은 이기는 것이 아니다. 이겨도 지는 것이다. 더 소중한 것을 잃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끝까지 전투에서 이기려는 이들이 있다. 그들은 전쟁의 승패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눈앞의 전투를 이기는 데만 급급하다. 원수가 같은 배에 탔다고 배에 구멍을 낼 수는 없다. 그랬다간 모두가 죽는다. 그런데도 전투에서 이기기 위해서 배에 구멍을 내는 이들이 있으니 딱하다.전투에서는 이기고 전쟁에서는 지는, 기가 막힌 패배! -한희철 목사 2019. 2. 26. 어느 날의 기도 2019. 2. 25. 이전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