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85

아름다운 것을 함께 본다는 것 “내가 나 자신에게 하는 말을 네게 들려주고 싶다.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도 행동해야 할 때이다. 에너지가 차올랐다. 그러니 쟁기를 손에 잡아라. 우리는 강해짐으로 강해질 수 있고, 믿음으로 믿음을 배울 수 있고, 사랑함으로 사랑을 배울 수 있다.”(빈센트 반 고흐가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글 중에서, Carol Berry, , His Spiritual Vision in Life and Art, Orbis, p.68) 주님의 은총과 평화를 빕니다. 10월이 깊어가고 있습니다. 계절은 벌써 상강(霜降)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어느 분이 교회에 작은 국화 화분 12개를 보내주셔서 현관 앞에 두었습니다. 국화가 외로울까봐 가끔 밖으로 나가 눈인사를 나누곤 합니다. 슬그머니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를 떠올리기.. 2021. 10. 22.
토끼몰이 쉽게 생각했던 토끼도 이젠 잔뜩 겁을 집어 먹었습니다. 점점 포위망이 좁혀 들어오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겨울 방학 중 임시 소집일을 맞은 아이들이 선생님과 함께 눈 쌓인 뒷산으로 올라 토끼몰이에 나선 것입니다. 몽둥이를 든 아이에 깡통을 두드리는 아이, 산을 빙 둘러 몰이를 시작할 때만 해도 구경하듯 느긋하던 토끼가 아이들의 소리가 점점 커지고 행동이 빨라지자 차츰 당황하게 된 것입니다. 발자국 소리에 놀라 저쪽으로 도망가면 “와!”하는 아이들의 함성이 막아섰고, 이쪽으로 뛰면 기다란 작대기를 든 아이들이 막아섰습니다. 이리 뛰고 자리 뛰고 하는 사이에 산을 에워싸던 아이들의 원은 점점 좁혀들었고, 그제야 토끼는 자기가 위태로워진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있는 힘을 다해 뛰어간 게 종대 앞이었습니다. 아이.. 2021. 10. 21.
목수의 소맷자락 트실트실 튼 소맷자락 엉긴 나무 톱밥이 귀여워서 모른 척하며 슬쩍슬쩍 눈에 담았다 목수의 소맷자락은 찬바람에 코를 훔치지도 못하는 바보 트실트실 반 백 살이 되는 나무 문살 백 분을 떠안기며 돌아서는 저녁답에 톱밥 같은 눈물을 떨군다 아무리 눈가를 닦아내어도 아프지 않은 내 소맷자락이 미안해서 오늘 보았던 그리고 어릴 적 보았던 트실트실 흙과 풀을 매던 굽은 손들이 나무 껍질처럼 아름다워서 경주 남산 노을빛에 기대어 초저녁 설핏 찾아든 곤한 잠결에 마음에 엉긴 톱밥들을 하나 둘 헤아리다가 오늘도 하루가 영원의 강으로 흐른다 2021. 10. 21.
통곡소리 내 기억 속에는 몇 가지 소리가 남아있다. 메아리 울리듯 지금껏 떠나지 않는 소리가 있다. 그 중의 하나가 고향집 뒤편 언덕에서 들려왔던 통곡소리다. 쌓인 눈이 녹았다가 간밤 다시 얼어붙어 빙판길이 된 어느 겨울날 아침이었다. 갑자기 집 뒤편에서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그냥 울음이 아니라 통곡소리였다. 바로 옆집에 사는 아주머니였는데, 그때 그 아주머니는 언덕너머 동네에서 계란을 떼다 파는 일을 하고 있었다. 그날도 계란을 떼 가지고 오는 길이었는데 빙판이 된 언덕길에 미끄러져 그만 이고 오던 계란을 모두 깨뜨려버린 것이었다. 듬성듬성 미끈한 소나무 서 있던 뒷동산, 털버덕 언 땅에 주저앉은 아주머닌 장시간 대성통곡을 했다. 초등학교도 들어가기 전이었을 어릴 적 기억, 그러나 그때 계란 깨뜨린 아주머니의 .. 2021. 10. 20.
하나님 하고 못 사귄 단강으로 들어오는 직행버스 안에서의 일입니다. 용암에서 한 남자가 탔는데, 못 보던 분이었습니다. 운전기사 바로 뒤에 앉은 그 남자는 버스기사와 열심히 얘기를 나누기 시작했습니다. 얘기 중에 이어진 것이 교회 욕이었고 신자 욕이었습니다. 자리가 빈 버스인데다가 남자의 목소리가 여간했던 탓에 일부러 귀 기울이지 않아도 나누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욕은 쉽게 끝나지 않았고, 내용도 만만치가 않았습니다. 이야기를 듣던 기사 아저씨가 욕을 해대는 남자의 말을 받았는데, 그 말을 듣고는 풉, 웃음이 났습니다.“ 어째 아저씨는 하나님하고 그리 못 사귀셨어요?” - 1989년 2021. 10. 18.
백두산에 오르는 꿈 친구와 함께 백두산에 오르는 꿈을 꾸었다. 꿈이었지만 가슴은 얼마나 뛰고 흥분되던지. 오르다말고 잠에서 깨어서도(아쉬워라!) 설레는 가슴은 한동안 계속되었다. 친구에게 전화를 걸어 내 기똥찬 꿈을 꿨으니 꿈을 사라 했다. 거참 신나는 일이라고 친구도 덩달아 좋아한다. 언제쯤일까, 먼 길 빙 돌아서가 아니라 내 나라 내 땅을 지나 백두에, 天地에 이를 날은. 설레는 오늘 꿈이, 꿈만으로도 설레고 고마운 오늘 꿈이 정말로 가능한 그날은. - 1989년 2021. 10. 17.
밤이 깊은 건 잘 보이지 않는 내 모습을 오늘은 보고 싶습니다. 내 어디쯤인지 어떤 모습인지 어디로 가는지 거울로는 볼 수 없는 모습을 보고 싶습니다. 일 없이 턱 없이 밤이 깊은 건 그 때문입니다. - 1989년 2021. 10. 16.
아기 잘 나았심니더 “기도해 주신 덕분에 아기 잘 나았심니더.” 김남철 씨의 전화였습니다. 지난 봄 마을 보건진료소 소장님과 결혼한 김남철 씨가 아기 아빠가 되고 나서 전화를 한 것입니다. “저를 꼭 닮았심니더.” 전화였지만 목소리만 듣고도 좋아 어쩔 줄 모르는, 입이 귀에 닿은 웃음이 눈에 선했습니다. 낮선 마을로 들어와 마을사람들과 따뜻한 이웃되어 살아가는, 사랑하는 아내를 따라 하나님을 잘 섬기는 김남철 씨가 이젠 아기 아빠가 되었습니다. 아기를 보면 가만있지 못하는, 아기 유난히 좋아하는 평소 그의 성품으로 보아 가뜩이나 정겨운 신혼살림에 더욱 더 웃음꽃 피어날 것이, 전화 속 전해온 웃음만큼이나 눈에 선했습니다. - 1989년 2021. 10. 15.
밤과 낮의 구별법 “누가 하나님을 사랑한다고 하면서, 자기 형제자매를 미워하면, 그는 거짓말쟁이입니다. 보이는 자기 형제자매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사랑할 수 없습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자기 형제자매도 사랑해야 합니다. 우리는 이 계명을 주님에게서 받았습니다.”(요일 4:20-21) 주님의 은총과 평화를 빕니다. 하루하루 기쁘게 살고 계시는지요? 전도서 기자는 “하나님은 이처럼, 사람이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시니, 덧없는 인생살이에 크게 마음 쓸 일이 없다”(전 5:20)고 말하지만, 우리는 마치 근심 걱정이 우리 소명인 것처럼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일상의 모든 순간은 메시야가 우리에게 틈입(闖入)하는 문이라지요? 자잘하기 이를 데 없는 일들도 잘 살펴보면 그 속에 아름다움이 .. 2021.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