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희철의 '두런두런'1157

똥줄 타는 전도사 비가 안 와 걱정입니다. 땅 갈고 씨 뿌렸지만 비가 안 와 걱정입니다. 아직은 갈 땅이 많아 우선 갈고 씨 뿌릴 뿐입니다. 전경환인가, 대통령 동생이 어제 잡혀 갔답니다. 몇 해 전 소 때문에 빚진 사람 이곳에도 많은데 그걸로 입은 피해 크고 깊은데 어제 잡혀 갔답니다. 거기다가 누군가에게 뺨을 맞았다죠. 그동안 말 못했던 백성들의 손이요, 어쩜 하나님 손이었다 생각하지만 꼭 남의 일 같습니다. 오늘도 강가 밭에선 사람들이 일 합니다. 당근 씨를 뿌립니다. 땅거미를 밟고 돌아오는 경운기, 오늘도 저녁놀이 붉습니다. 이번 주일이 부활절 생명은 어디로부터 오는지 무얼 딛고 오는지 설교거리 찾는 전도사 똥줄이 탑니다. 시간을 잊고 책상에 앉아서. 1988년 2021. 6. 4.
눈물로 얼싸안기 “제가 잘못했습니다.” 편히 앉으라는 말에도 무릎을 꿇고 앉은 집사님은 낮은 목소리로 그렇게 말했고, 그렇게 말하는 집사님의 눈가엔 눈물이 맺혔다. 작은 일로 다른 교우와 감정이 얽혀 두 주간 교회에 나오지 않았던 집사님이 속회예배 드리러 갈 준비를 하고 있는데 찾아온 것이다. 사이다 두 병을 비닐봉지에 담아 가지고. 전에도 몇 번 서로 감정이 얽힌 일이 있었고, 그때마다 찾아가 권면하고 했었지만 이번엔 된 맘먹고 모른 채 있었다. 잘못 버릇 드는 것 같아서였다. 빈자리 볼 때마다 마음은 아팠지만 스스로 뉘우치고 나올 때까지 참기로 했다. 그만큼 기도할 땐 집사님을 생각해야 했다. “내가 나오지 않는데도 심방해 주지 않는 전도사님이 처음에는 꽤나 원망스러웠지만 나중엔 왜 그러셨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그분.. 2021. 6. 3.
골마다 언덕마다 이곳 단강엔 4개의 마을이 있다. 끽경자라고도 하는 단정, 흔히들 조부랭이라 부르는 조귀농, 사면에 물이어서 생긴 섬뜰, 그리고 병풍처럼 산에 둘러싸인 작실이다. 작실 마을엔 다음과 같은 여러 이름이 있다. 골마다 언덕마다 이름이 있다. 들은 대로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마지막골, 자작나무골, 느티나무뒷골, 배나무골, 바우봉골, 넓적골, 안골, 움북골, 절너메, 절골, 옻나무고개, 아래턱골, 작은논골, 큰논골, 섬바우골, 터골, 서낭댕이골, 춤춘골, 장방터골, 작은고개, 큰죽마골, 작은죽마골, 구라골, 작은 능골, 큰능골, 댕댕이골… 골마다 언덕마다 이름을 붙인 조상들이 좋다. 그 이름 아직도 기억하는 마을 사람들 또한 좋다. 모두가 참 좋다. 1988년 2021. 6. 2.
무인도 둘러앉아 얘기하던 한 아이가 무인도에 떨어지면 뭣부터 하겠느냐 물었을 때 아이들은 돌아가며 말했지 살려 달라 모래 위에 크게 쓰든지 불을 피워 연기를 올리던지 지나가는 배를 기다려 옷을 흔들겠다고 뚱딴지 같이 어떤 녀석은 뒷간부터 짓겠다더군 뭐라 할까 망설이다 난 발가벗고 잠을 자고 싶다 했어 모두들 웃었지만 그 말은 사실이었어 인습의 굴레란 참 우스운 것이지 무섭기도 하구 언젠지도 모르고 한번 쓰기만 하면 좀체 벗기는 어려운 것 문득 거울 속 얼굴과 바라보는 마음이 다른 것 허우적거려도 잡히는 것이 철저하게 날 붙잡고 있는 것 정말이야 내 무인도에 떨어진다면 먹을 걱정 살 걱정 그런 것 모두 잊고 그냥 잠을 잘 거야 모두 벗고 팔다리 맘대로 뻗고 말야 그런데 무인도가 있을까 사람 살지 않는 섬이 아직도.. 2021. 5. 31.
성품통과 가나다순이어서 그랬을까, 58명 중에 내 차례는 맨 나중이었다. 우르르 나가 선 채 한참을 기다렸다가 마지막 혼자 남게 되었을 때, 사람들 앞에서 인사를 했다. 간단한 소개를 들은 뒤 뒤로 돌아섰다. “可한 사람 손드시오.” “否한 사람 손드시오.” 잠시 후, “네, 됐습니다. 이상으로 준회원 허입자 성품통과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그렇게 준회원 허입 성품통과가 끝났다. 이제 준회원이 된 것이다. 솔직히 난 아직도 잘 모른다. 한편 모르고도 싶다. 얼마나 지나야 목사가 되는 건지, 또 얼마가 지나야 그 불편한 시험 안 치러도 되는 건지. 지난번 시험 볼 땐 그럭저럭 외웠었는데 쉽게 잊고 말았다. 한심한 노릇이다. 잠깐, 정말 잠깐이긴 했지만 많은 사람들 앞에서 돌아서 있던 그 시간에 정말 기분이 묘했다... 2021. 5. 30.
예배당 대청소 예배당 대청소를 했다. 몇 번 얘기가 있던 것을 하루 날을 잡아 다함께 하자 했는데, 그것이 주일낮예배 후로 정해졌다. 제단 커튼도 떼 내고, 창문 커튼도 모두 떼어냈다. 숨어있던 거미줄이 제법이었다. 막대기 끝에 빗자루를 매달아 거미줄을 걷어냈다. 유리창 틈새 먼지와 오물도 털어내고 구석구석 걸레질도 했다. 밖으로 가져나온 커튼은 커다란 함지에 세제를 풀고 발로 꾹꾹 밟아 빨았다. 남자 교우들은 예배당 주위 바깥 청소를 했다. 자루를 들고 다니며 온갖 오물과 쓰레기들을 주위 담았다. 우물가로 가보니 김천복 할머니가 발을 걷어붙인 채 양동이 안에 들어가 빨래를 꾹꾹 밟고 있다. “아니, 할머니가 다 하세요?” 했더니 할머니 대답이 걸작이다. “더 늙으면 못할까 봐유.” 내년이면 여든, 얼마 전엔 심하게 .. 2021. 5. 29.
오누이의 새벽기도 새벽기도회, 대개가 서너 명이 모여 예배를 드린다. 그날도 그랬다. 적은 인원이 모여 예배를 드리고 있는데 뒷문이 열렸다. 보니 승학이가 들어온다. 이제 초등학교 2학년에 올라가는 아이다. 그러더니 그 뒤를 이어 승혜가 부끄러운 표정으로 들어온다.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승학이 동생이다. 엄마 잠바를 걸치고 온 것이 쑥스러웠나 보다. 두 어린 오누이의 새벽예배 참석. 난롯가에 나란히 앉아 무릎을 꿇는 그들을 보고 난 잠시 말을 잊고 말았다. 저 아이들, 무슨 기도를 무어라 할까. 순간, 입가 가득 번지는 주님의 웃음이 보일 듯 했다. 어린이들 별나게 좋아하셨던 그분이셨기에. 1988년 2021. 5. 28.
흐린 날의 日記 우스운 일이다 피하듯 하늘을 외면했다 무심코 나선 거리 매운바람 핑곌 삼아 고갤 떨궜다 구석구석 파고들어 살갗 하나하나를 파랗게 일으켜 세우는 무서운 추위 그 사일 헤집는 매운바람 잔뜩 움츠러들어 멋대로 헝클어져 그게 바람 탓이려니 했다 가슴속 어두움도 잿빛 하늘 탓이려니 했다 우리 거짓의 두께는 얼마만한 것인지 우린 어디까지 견딜 수 있는 건지 걷고 걸어도 벗어날 수 없는 거리 쉬운 祝祭 네가 보고 싶어 이처럼 흔들릴수록 네가 보고 싶어 뭐라 이름 하지 않아도 분명한 이름 구체적인 흔들림과 장식 없는 쓰러짐 그 선명한 軌跡 목 아래 낀 때를 네게 보이며 난 네 吐瀉物이 보고 싶은 거야 바람 탓이 아니다 추위 탓이 아니다 잔뜩 움츠러들어 멋대로 헝클어져 어둠속 서로를 알아볼 수 없는 우리들은 1988년 2021. 5. 27.
실천 아랫말인 단강리에 살고 계신 분 중에 한호석 씨라는 분이 계시다. 부론에 나가면 자주 만나게 되는데 만나면 시간이 얼마건 꼭 차를 사신다. 한문은 물론 동양사상이나 고전에 대해서도 해박한 지식을 갖고 계셔서 배울 게 많은 분이다. 얼마 전엔 흥호리에서 버스를 같이 타게 되었는데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그분은 ‘실천‘이란 말의 뜻을 풀이해 주었다. ‘實踐‘이란 말의 본래 뜻은 ’하늘 어머니‘(宀+母)가 주신 보물(見)을 두 개의 창날(戈戔) 위를 맨발(足)로 지나가듯 조심스레 지키는 것이라는 것이었다. 우리가 쉽게 자주 말해왔던 실천이란 말 속에 참으로 귀한 뜻이 담겨 있었던 것이다. ‘창날 위를 맨발로 걷듯 조심스레 하늘 뜻을 행하는 것.‘ 말로 신앙을 팔아 버리기 잘하는 우리들에게 얼마나 귀한 교훈일까... 2021.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