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희철의 '두런두런'1160 오누이의 새벽기도 새벽기도회, 대개가 서너 명이 모여 예배를 드린다. 그날도 그랬다. 적은 인원이 모여 예배를 드리고 있는데 뒷문이 열렸다. 보니 승학이가 들어온다. 이제 초등학교 2학년에 올라가는 아이다. 그러더니 그 뒤를 이어 승혜가 부끄러운 표정으로 들어온다.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승학이 동생이다. 엄마 잠바를 걸치고 온 것이 쑥스러웠나 보다. 두 어린 오누이의 새벽예배 참석. 난롯가에 나란히 앉아 무릎을 꿇는 그들을 보고 난 잠시 말을 잊고 말았다. 저 아이들, 무슨 기도를 무어라 할까. 순간, 입가 가득 번지는 주님의 웃음이 보일 듯 했다. 어린이들 별나게 좋아하셨던 그분이셨기에. 1988년 2021. 5. 28. 흐린 날의 日記 우스운 일이다 피하듯 하늘을 외면했다 무심코 나선 거리 매운바람 핑곌 삼아 고갤 떨궜다 구석구석 파고들어 살갗 하나하나를 파랗게 일으켜 세우는 무서운 추위 그 사일 헤집는 매운바람 잔뜩 움츠러들어 멋대로 헝클어져 그게 바람 탓이려니 했다 가슴속 어두움도 잿빛 하늘 탓이려니 했다 우리 거짓의 두께는 얼마만한 것인지 우린 어디까지 견딜 수 있는 건지 걷고 걸어도 벗어날 수 없는 거리 쉬운 祝祭 네가 보고 싶어 이처럼 흔들릴수록 네가 보고 싶어 뭐라 이름 하지 않아도 분명한 이름 구체적인 흔들림과 장식 없는 쓰러짐 그 선명한 軌跡 목 아래 낀 때를 네게 보이며 난 네 吐瀉物이 보고 싶은 거야 바람 탓이 아니다 추위 탓이 아니다 잔뜩 움츠러들어 멋대로 헝클어져 어둠속 서로를 알아볼 수 없는 우리들은 1988년 2021. 5. 27. 실천 아랫말인 단강리에 살고 계신 분 중에 한호석 씨라는 분이 계시다. 부론에 나가면 자주 만나게 되는데 만나면 시간이 얼마건 꼭 차를 사신다. 한문은 물론 동양사상이나 고전에 대해서도 해박한 지식을 갖고 계셔서 배울 게 많은 분이다. 얼마 전엔 흥호리에서 버스를 같이 타게 되었는데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그분은 ‘실천‘이란 말의 뜻을 풀이해 주었다. ‘實踐‘이란 말의 본래 뜻은 ’하늘 어머니‘(宀+母)가 주신 보물(見)을 두 개의 창날(戈戔) 위를 맨발(足)로 지나가듯 조심스레 지키는 것이라는 것이었다. 우리가 쉽게 자주 말해왔던 실천이란 말 속에 참으로 귀한 뜻이 담겨 있었던 것이다. ‘창날 위를 맨발로 걷듯 조심스레 하늘 뜻을 행하는 것.‘ 말로 신앙을 팔아 버리기 잘하는 우리들에게 얼마나 귀한 교훈일까... 2021. 5. 26. 산과 강 어느 날 산이 강에게 말했다. “네가 부럽구나, 늘 살아 움직이는 게.” 그러자 강이 산에게 대답했다. “나는 네가 부러워. 한 자리 변함없는 게.” 1988년 2021. 5. 25. 눈물겨움 이따금씩, 뜻도 없이 눈물겨울 때가 있다. 서울 종로서적 앞, 일찍 내려진 셔터에 몸을 기대고 서서 누군가를 기다리다가, 오가는 사람들, 정말 많은 사람들, 멍하니 그들 바라보다가 불쑥 시야가 흐렸었다. 언젠가의 졸업식. 축하할 사람 만나지도 못한 채 한쪽 구석 햇볕 쬐며 잔디밭에 앉아 사람들 구경하다가 그때도 이유 없이 눈물이 솟았다. 저녁 어스름 코트 깃 세우고 서둘러 귀가하다가 문득 바라본 2층 양옥집. 불 켜진 방 한 개 없었고 빨래만 2층에서 펄럭이고. 그때도 그랬다. 한참을 서 있었다. 얼마 전 수원을 다녀오며 차창 밖, 미친 듯 휘날리는 춘설을 보면서도 ‘살아야지, 살아야지’ 확 치민 뜨거움에 또 눈이 젖었었다. 무심히 창문만 닦았다. 동부연회 마지막 날. 참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목사.. 2021. 5. 24. 낙태와 나태 “우리가 낙태 되지 않게 지켜 주옵소서.” 안갑순 속장님은 당신 기도 차례가 되면 한 주를 어렵게 보냅니다. 희미해진 기억력, 순간순간 끊어지는 생각들, 갈수록 기도의 책임이 무거워지는 것입니다. 똑똑 드물게 떨어지는 물을 받아 병 하나 채우듯 새벽녘 깨어 그나마 정신이 맑을 때 한 두 줄 기도문을 적고, 그 한 주 분의 기도를 모아 제단에 섭니다. 속장님의 기도 속에 자주 들어가는 내용이 ‘우리를 낙태 되지 않게 해 달라’는 것입니다. 낙태는 나태의 잘못된 표기일 것입니다. 쓰기도 그렇게 쓰고, 읽기도 그렇게 읽지만 속장님이 드리는 기도의 뜻은 ‘나태’일 것입니다. 그런 단어의 혼돈쯤이야 너그러우신 하나님께서 바로 잡아 들으시겠지요. 나태를 낙태로 써서 읽는 속장님의 기도를 들을 때마다 사실 가슴이 찡.. 2021. 5. 23. 돌아보니 새벽 세 시, 환갑을 맞은 변학수 씨의 축하예배가 새벽 3시로 정해졌습니다. 일단 잔치가 시작되면 손님들이 끊이질 않는지라 예배드릴 시간이 마땅하지 않다는 걸 알고 있는 지집사님이 아예 시간을 새벽으로 잡았습니다. 하나님께 예배부터 드리고 시작하겠다는 믿음에서였습니다. 너무 이른 시간이긴 했지만 기꺼이 그 제안을 받아들였습니다. 아무도 일어나지 않은 그 새벽에 우리는 모여 예배를 드렸습니다. 환갑을 맞기까지 지켜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를 드렸습니다. 축하의 말을 하던 집안 어른이 나무장사 얘길 했습니다. 변학수 씨가 어려운 살림살이를 꾸려왔던 방책은 나무장사였습니다. 허리가 휘도록 나뭇단을 내다 팔아 그나마 어려운 생계를 이어왔던 것입니다. 일제에, 6.25에, 보릿고개에 모질고 험한 세월 살아왔지만 .. 2021. 5. 22. 새벽 응급실 주보를 만들고 늦은 밤 잠이 들었는데 얼마나 잤을까, 전화벨 소리가 울려 놀라 깼다. 부인의 상태가 심상치 않으니 급히 병원으로 갔으면 좋겠다는 한 교우의 전화였다. 확 잠 달아난 눈으로 시계를 보니 새벽 2시였다. 이럴 땐 차가 있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가. 비가 쏟아져 내리고 안개가 자욱한 한 새벽. 한치 앞이 제대로 보이질 않았다. 손으로 숲속 나무를 헤치듯 어둠과 안개 속을 달려야 했다. 응급실은 그 시간에도 번잡했다. 온갖 환자들의 고통스런 모습과 피곤 가득한 얼굴이면서도 긴박하게 돌아가는 의료진, 수속 밟으랴 간호하랴 분주한 환자의 가족들, 모두가 잠든 시간에도 넓은 응급실 병실과 복도에는 팽팽한 긴장감이 흐르고 있었다. 다행히 아주머니는 위급한 상황이 아니었다. 약간의 응급처치가 있은 후 어느.. 2021. 5. 21. 마음까지 덥히려면 작실 속 속회예배를 드리고 내려오는 길, 오늘 하루 무엇 하셨느냐 김 천복 할머니께 여쭈니 지게 지고 나무를 했다 하신다. 75세, 연세도 연세려니와 허리가 굽으신 분이다. 나무를 사 놓긴 놨는데 사다 놓은 나무를 때자니 아깝기도 하고 너무 쉬 때는 것도 같아 섞어 땔 나무를 했다는 것이었다. 원래, 사다 논 나무를 때는 것은 곶감 꼬치에서 곶감 빼 먹듯 쉬 없어지는 법이라고 이식근 성도님이 웃으며 할머닐 얘길 받는다. 작은 방바닥만이 아니라 당신의 외로운 마음까지 덥히려면 얼마만큼의 나무가 더 필요한 것일지. 1988년 2021. 5. 19.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