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희철의 '두런두런'1160

삶이 우리를 가르치는 방법 한희철의 얘기마을(94) 삶이 우리를 가르치는 방법 지금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기에 이야기합니다. 안갑순 속장님이 담배를 대한 건 놀랍게도 일곱 살 때부터였습니다. 충(회충)을 잡기 위해 담배를 풀어 끓인 물을 마신 것이 담배를 배운 동기가 된 것입니다. 그 옛날, 감히 생각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속장님은 시집을 갈 때에도 담배를 챙겨갔다 합니다. 끝내 고집을 부려 풀지 않는 보따리 하나를 두고선 모두들 땅문서일 거라고 생각했지만, 실은 담배꾸러미였습니다. 어느 날 며느리가 담배를 핀다는 것을 우연히 눈치 챈 시아버지는 노발대발하는 대신 아무도 모르게 은근히 담배를 전해 주었다고 합니다. 시아버지가 어디 밖에 나갔다 오신 날 서랍을 열면, 말없이 약속된 서랍을 열면, 거기엔 언제나 담배 몇 갑이 있었다는 것.. 2020. 9. 25.
그날은 언제인지 한희철의 얘기마을(93) 그날은 언제인지 “축제의 모임 환희와 찬미소리 드높던 그 행렬. 무리들 앞장서서 성전으로 들어가던 일 생각만 하여도 가슴이 미어집니다.”(시 42:4) 말씀을 읽다 가슴이 미어지는 건, 시인의 마음 충분히 헤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떠나간 이들 모두 돌아와 함께 예배할 그날은 언제일지, 이 외진 땅에서 그려보는 그 날이 옛 일 그리는 옛 시인과 다를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 (1991년) 2020. 9. 24.
고마운 사랑 한희철의 얘기마을(92) 고마운 사랑 심방 다녀오는 길, 사택 김치거리가 떨어졌다는 얘길 들었다시며 김천복 할머니가 당신 밭에 들러 배차(이곳에서 배추를 배차라고 부른다)를 뽑는다. “올 김장 어뜩하나 걱정했는데 나와 보니 아, 배차가 파-랗게 살아있질 않겠어유. 을마나 신기하고 감사하든지. 그러고 보면 곡식이 사람보다두 더 모진 것 같애유.” 지난 번 물난리에 며칠간 물에 잠겼던 강가 밭. 포기했던 배추가 살았다며, 그렇게 하나님 아부지는 먹고 살 길을 다 마련해 주신다며, 배추를 뽑으며 연신 고마워한다. 당신네 김치 할 땐 아까워 못 뽑은 통배추를 쑥쑥 뽑아 짚으로 묶는다. 고마운 사랑,고마운 사랑. - (1991년) 2020. 9. 23.
깊은 주름들 한희철의 얘기마을(91) 깊은 주름들 “아무데구 자리 좀 알아봐 조유. 당체 농산 못 짓겠어유. 남의 땅 부쳐봐야 빚만 느니.” 해 어스름, 집으로 돌아가던 작실 아저씨 한 분이 교회 마당으로 올라와 ‘취직’ 부탁을 한다. 올해 58세. 허드렛일을 하는 잡부라도 좋으니 아무 자리나 알아봐 달란다. 힘껏 빨아 무는 담배 불빛에어둠 속 각인되듯 드러나는 깊은 주름들. - (1991년) 2020. 9. 22.
한참을 발 못 떼는 한희철의 얘기마을(90) 한참을 발 못 떼는 “작년에는 수해 당했다구, 얘들 학비도 줄여주구 하더니, 올핸 그런 것두 없네유. 여기저기 당해선가 봐유.” “하기사 집까지 떠내려 보내구 이적지 천막에서 사는 이도 있으니, 그런데 비한다면 우리야 아무것도 아니지만, 작년에도 그러더니 올해도 망하니까 사실 힘이 하나도 읍네유.” “강가 1500평 밭에 무수(무)와 당근이 파란 게 여간 잘된 게 아니었어유. 그런데 하나도 남은 게 없으니. 지금 봐선 내년에도 못해먹을 거 같아유.” 집에 다녀가는 출가한 딸과 손주를 배웅하러 정류장에 나온 한 아주머니가 물난리 뒷소식을 묻자 장탄식을 한다. 머리에 수건을 두르고, 입술이 부르텄다. 가끔씩이라도 고향을 찾는 자식들. 큰돈을 벌어서가 아니라 그저 사는 양식이나 마련하.. 2020. 9. 21.
나중 된 믿음이 한희철의 얘기마을(89) 나중 된 믿음이 수요 저녁예배 후, 캄캄한 작실까지 올라가야 하는 할머니가 안쓰럽습니다. 작실에서 아무도 안 내려와 혼자 가시게 된 것입니다. “어떡하죠?” 걱정스럽게 말하자 “괜찮아유. 성경책 꼭 끌어안구 가면 맘이 환한 게 그렇게 든든할 수가 없어유.” 나중 된 믿음이 먼저 된 믿음을 밝힙니다. - (1991년) 2020. 9. 20.
붙잡힘 한희철의 얘기마을(88) 붙잡힘 체념을 다스리는 것인지도 모른다고, 그뿐인지도 모른다고, 농촌목회의 의미를 묻던 한 선배에게 대답을 했다. 불쑥 내뱉은 말을 다시 수긍하게 되는 건 쌓인 생각 때문이었을까.답답하구, 괴롭구, 끝내 송구스러워지는 삶,이렇게 가는 젊음의 한 시절.무엇일까, 이 붙잡힘이란. - (1991년) 2020. 9. 19.
혼자만의 저녁 한희철의 얘기마을(87) 혼자만의 저녁 동네서 가장 먼 집 출장소를 지나 외따로 떨어진끝정자 맨 끝집, 완태네 집저녁녘 완태가 나와 우두커니 턱 괴고 앉았다. 잘 그려지지 않는 꿈을 그리는 것일까.모두 떠나간 형들을 생각할까. 언제 보아도 꾸벅 인사 잘하는 6학년 완태.흐르는 강물 따라 땅거미 밀려드는완태가 맞는 혼자만의 저녁. - (1991년) 2020. 9. 17.
제풀에 쓰러지는 한희철의 얘기마을(86) 제풀에 쓰러지는 아침 잠결에 풀썩 하는 소리가 들렸다. 뭔가 무너지는 소리였다. 밤새 내린 비, 뜨끔했다.설마 예배당, 아니면 놀이방, 그것도 아니면 화장실, 놀라 달려 나갔을 때 무너져 내린 것은 교회 앞 김 집사님네 담배건조실이었다. 지난번 여름 장마에 한쪽 벽이 헐리고 몇 군데 굵은 금이 갔던 담배창고가 드디어 무너져 내린 것이었다. 제법 높다란 높이, 길 쪽으로 쓰러져도 집 쪽으로 쓰러져도 걱정이었는데 사방에서 힘을 모아 주저앉힌 듯 마당 쪽으로 무너져 그나마 다행이었다. 대문 벽을 쳐서 헛간 한쪽이 주저앉았을 뿐이었다. 그칠 줄 모르는 빗속에서 동네 남자들이 모여 주저앉은 헛간을 일으켜 세웠다. 몇 곳 버팀목을 괴고 못질을 했다. 담배 창고로 끌어간, 흙더미 속에 묻힌 .. 2020.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