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희철의 '두런두런'1160

부자와 빈자 한희철의 얘기마을(67) 부자와 빈자 저승길 심판관 앞에 한 부자가 섰다. 세상 살 때 그러했듯 부자는 위세가 당당했다. 그를 본 심판관이 말했다. “불쌍한 인생아, 너는 부유했지만 네 부의 기초는 다른 이의 눈물이었다. 괴롬의 방으로 가거라.” 부자는 힘없이 걸어갔다. 그 모습을 본, 역시 부자였던 이가 몹시 두려운 빛으로 섰다. 심판관이 말했다. “위로 받을 지라, 인생아. 네 부의 기초는 네 땀이었다. 땀이 네게 부를 주었을 때 넌 괴로워했다. 어느 게 네 몫이며 어느 게 나눌 몫인지를. 위로의 방으로 가라.” 부자에게 내리는 판결을 본 한 빈자가 다행스런 얼굴로 심판관 앞에 섰다. 한동안 빈자의 얼굴을 쳐다볼 뿐 말이 없던 심판관이 입을 열었다. “어리석은지고, 그댄 가난했지만 오직 너를 위해 가.. 2020. 8. 28.
처절한 점심 한희철의 얘기마을(66) 처절한 점심 지난번 과정자격심사 때 최경철 목사를 만났다. 최북단인 대대리에서 목회를 하고 있는 신학교 동기다. 차를 나누며 밀린 이야기를 나누던 중 그가 한 말에 우리는 배를 잡고 웃었는데,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교역자 월례회를 하고선 다음 장소를 정하는데 아무도 나서는 교회가 없었다. 점심 대접이 부담스러웠던 것이다. 한참을 그러고 있을 때 최 목사가 손을 들고 일어나 말했다. “우리 대대리 교회는 작지만 다음번엔 우리 교회에서 모시고 싶습니다. 그냥 국수라도 말아 조촐하게 대접하고 싶습니다.” 그렇게 말하려고 일어섰고 생각한 대로 말하는데, 말하던 도중 엉뚱한 말이 튀어나오고 말았다. ‘조촐하게’라는 말이 ‘처절하게’로 바뀐 것이다. 처절하게 점심을 대접하겠다고 했으니 그.. 2020. 8. 27.
같이 한 숙제 한희철의 얘기마을(65) 같이 한 숙제 “목사님, 목사님, 속담 좀 가르쳐 줘요.” 아이들이 우르르 달려왔다. 학교에서 속담을 알아오라는 숙제를 내 준 것이다. 예배당 책장에서 (俗談大成)이라는 책을 찾아 꺼내 줬다. 잠시 후 아이들이 다시 달려왔다. “국어사전 좀 빌려줘요.” 낱말 조사를 스무 가지씩 해야 한다는 것이다. 책장을 다 찾아봤지만 국어사전이 없다. 원래 없었는지, 누가 빌려간 것인지 기억이 희미하다. 서재에 있는 두 권을 뽑아들고 예배당으로 가 아이들과 숙제를 같이 했다. 책에서 잘 모르는 낱말을 찾아 밑줄을 긋고 두꺼운 사전을 뒤져 뜻을 찾았다. 어느새 스무 개. 어렵게 생각했던 숙제를 쉬 마친 아이들은 해방감에 좋고, 오랜만에 낱말을 찾으며 아이들과 어울린 나는 그 어울림이 좋았다. “.. 2020. 8. 26.
눈물로 얼싸안기 한희철의 얘기마을(64) 눈물로 얼싸안기 “제가 잘못했습니다.” 편히 앉으라는 말에도 무릎 꿇고 앉은 집사님은 낮은 목소리로 그렇게 말하였고, 그렇게 말하는 집사님의 눈가엔 눈물이 맺혔다. 작은 일로 다른 교우와 감정이 얽혀 두 주간 교회에 나오지 않았던 집사님, 작실 속회예배를 드리러 나설 즈음 집사님이 찾아왔다. 사이다 두 병을 비닐봉지에 담아 가지고. 전에도 몇 번 감정이 얽힌 일이 있었고 그때마다 찾아가 권면하곤 했지만 이번엔 마음을 단단히 먹고 모른 척 하고 있었다. 잘못 버릇 드는 것 같아서였다. 빈자리 볼 때마다 마음이 아팠지만 스스로 마음을 추스르고 나올 때까지 참기로 했다. 그만큼 기도할 땐 그분을 생각해야 했다. “내가 나오지 않는데도 심방해 주지 않아 처음엔 꽤나 원망스러웠습니다. 그.. 2020. 8. 25.
이상한 병 한희철의 얘기마을(63) 이상한 병 어떤 사람이 몸이 이상해 용한 의원을 찾았다. 이리저리 맥을 짚어 본 수염이 허연 의원이 고개를 흔들며 말했다. “거 묘한 병이구먼, 말로만 듣던 그 병이야.” 의원의 표정과 말을 듣고 자기 병이 심상치 않음을 안 그가 다그쳐 물었다. “무슨 병입니까?”“한 걸음에 하루가 감해지는 병이라네.”“무슨 약은 없습니까?”“없네. 다만 자네 마음이 약이 될 걸세.” 의원을 만난 뒤 그의 삶은 달라졌다. 집안에 틀어박혀 꼼짝을 하지 않았다. 그도 그럴 수밖에, 한 걸음에 하루가 감해진다니 줄어드는 하루와 바꿀만한 걸음이 어디 쉽겠는가. 일도 다 그만두고 밥도 대소변도 방에 앉아 해결했다. 그의 몸은 점점 야위어 갔다. 그러다가 마침내 몸져눕고 말았다. 그러던 어느 날 그가 생각.. 2020. 8. 24.
나무 광이 차야 한희철의 얘기마을(62) 나무 광이 차야 허름한 흙벽돌 집, 광 안에 나무가 차곡차곡 가득합니다. “할머니, 나무가 많네요.” 심방을 마치고 나오는 길에 할머니께 말했더니 “올 봄에 사람 사는 재워 놨어유. 나무 광이 차야 맘이 든든하지, 그렇잖으면 왠지 춥구 허전해서유.” 광에 나무를 재워두고 든든한 맘 가지시는 할머니, 할머니는 나무 가득한 광을 보면 마음이 든든해집니다. 할머니가 갖는 든든한 맘의 이유를 들으며, 노인이 갖는 삶의 단순함과 지혜를 배웁니다. 채울 걸 채워야 맘이 든든하다는 것은 삶의 지혜요, 그 채운 것이 나무였다는 것은 지극한 단순함입니다. 나도 텅 빈 광이 되어 그 단순함과 지혜를 배울 수 있었으면, 문득 마음이 간절해지는 순간이었습니다. - (1990년) 2020. 8. 22.
땀방울 한희철의 얘기마을(61) 땀방울 “빨리 빨리 서둘러! 늦으면 큰일 난단 말이야!” 하루 종일 내린 비가 한밤중까지도 계속되자 숲이 소란스러워졌습니다. 점점 불어난 물이 겁나게 흘러 산 아래 마을이 위태로워진 것입니다.그칠 줄 모르는 장대비에 마을이 곧 물에 잠길 것만 같습니다. 깨어있던 나무들이 잠든 나무와 풀을 깨웠습니다. “뿌리로부터 가지 끝까지 양껏 물을 빨아들여! 빈틈일랑 남기지 말고.” 나무마다 풀마다 몸 구석구석 물을 채우느라 정신이 없습니다. 좀 더 많은 물을 빨아들이기 위해 있는 힘을 다했습니다. 숨쉬기초차 어려울 만큼 온몸에 물을 채웠습니다.한밤이 어렵게 갔습니다. 날이 밝았습니다.개울물 소리가 요란했을 뿐 마을은 아무 일이 없었습니다. 언제 비가 왔냐는 듯 아침 햇살은 거짓말처럼 찬란했.. 2020. 8. 21.
이중 잣대 한희철의 애기마을(60) 이중 잣대 어린 딸 소리와 함께 들로 나갔다 오는 길이었습니다. 곳곳에 들국화가 참 곱게 피어 있었습니다. 보아주는 이 없어도 여전히 피어나 대지를 수놓는 들꽃의 아름다움, 방에 꽂아둘까 하여 그 중 몇 개를 꺾었습니다. 그때였습니다. “아빠, 그럼 꽃이 아야야 하잖아!” 눈이 동그래진 소리가 꽃 꺾는 날 빤히 쳐다보며 말했습니다. 부끄러웠습니다. 예전에 소리가 교회 주위의 꽃을 꺾을 때, 그렇게 꽃을 꺾으면 꽃이 아파할 거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그걸 기억하고 있는 어린 딸 앞에서 내가 꽃을 꺾었으니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돌아오는 길 내내 내 이중 잣대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남에겐 엄격하고 자신에겐 관대한, 드물긴 하지만 남에겐 관대하고 자신에겐 엄격한 이.. 2020. 8. 20.
아픔 배인 삶 한희철의 얘기마을(59) 아픔 배인 삶 “이적지 살아온 얘기 전부 역그문 책 서너 권도 넘을 게유. 근데 얘기 할려문 자꾸 자꾸 눈물이 나와. 그래 얘기 못 허지.” 뭉뚝 뭉뚝 더듬어 이야기하는 할머니의 팔십여 평생, 굽이굽이 아픔 배인 삶입니다. 어쩌면 그리도 삶은 할머니 한 평생의 삶을 눈물과 한숨으로 물들였는지. 진득한 기쁨으로부턴 늘 그만한 거리로 격리돼 온 백발의 삶이 아립니다. “그래도 할머닌 밝게 사시잖아요?”“속상한 일 있을 적마다 꿀꺽 꿀꺽 삼켜 썩혔지. 이적지 남 미워하지 않구 살았어.” 삶이 얼마나 단순한 것이며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덤덤한 이야기 끝 끝내 소매로 눈물 훔치는 할머니를 통해 배웁니다. - (1990년) 2020.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