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희철의 '두런두런'1160

그저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54) 그저 모르겠어 너희들의 이름을 다 부를 수 있을지 이름을 몰라서가 아니야 시간 때문도 아니고 너희들의 이름과 나이 꿈과 웃음 장난기 하나하나 되짚다 보면 이내 뜨거운 두 눈 먹먹한 가슴 얼마나 견딜 수 있을지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 자신이 없으니까 그저 미안하다는 말밖엔 기억한다는 말밖엔 여전히 말이야 2020. 4. 12.
정원지기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53) 정원지기 인생이라고 하는 자신의 정원에 불행의 꽃을 키우기를 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눈부시고 아름다운, 향기로운 꽃이 가득 피어나기를 원할 것이다. 누구라고 따로 예외가 있겠는가. 하지만 불행의 꽃을 키우는 이들이 있다. 그것을 원하지 않으면서도, 그것을 알아차리지도 못하면서 불행의 꽃을 키우는 이들이 있다. 그들의 정원은 우울하고 어둡다. 푸릇푸릇한 생기를 찾아보기가 어렵다. 갈릴리교회(김순현 목사) 비밀의 정원 서운함과 어색함의 물을 주기 때문이다. 조금씩 뿌려주는 물이 서운함과 어색함이기 때문이다. 서운함과 어색함의 물을 빨아들인 꽃이 아름다울 수 없고 향기로울 수 없다. 우리 모두는 정원지기, 내게 허락된 생의 정원이 아름다운 꽃으로 가득하기를 원한다면.. 2020. 4. 11.
더 큰 믿음, 더 큰 사랑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52) 더 큰 믿음, 더 큰 사랑 말다툼을 하고 싶은 생각은 조금도 없다. 어차피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길을 가는 것이니까. 하지만 내 생각에 붙잡혀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이들을 비난하거나 비하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할 수가 없겠다. 짧은 생각을 털어놓는 이 글도 부디 그런 것이 아니기를. 코로나 바이러스를 이겨내기 위해 범세계적으로, 범국가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감하여 불편을 감수하면서도 동참하고 있다. 다른 종교와 마찬가지로 교회도 같은 요청을 받고 있다. 그것을 종교탄압으로 몰아가는 것은 우리는 특별하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우쭐함일 수 있다. 정부와 사회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함께 모여 드리는 예배를 강행하는 이들은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 2020. 4. 10.
서로를 신뢰한다면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51) 서로를 신뢰한다면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당연한 듯이 누려왔던 많은 것들이 멈춰 서고 있다. 하늘을 날던 비행기마저 주차장 자동차들처럼 활주로에 늘어서 있는 풍경은 생경스럽기만 하다. 날개 꺾인 새들처럼 보인다. 독일에 있는 아이들에게 마스크를 보내는 일이 이토록 어렵다니. 인터넷으로 신청을 하고, 가족관계증명서를 챙기고, 그렇게 몇 차례 우체국을 왔다 갔다 하여 겨우 부치긴 부쳤다. 같은 주소에 살고 있음에도 한 명당 8개로 제한된 마스크를 각각 다른 상자에 담아야 했다. 비용도 만만치가 않았다. 필터는 아예 반출금지란다. 난리를 치듯 짐을 부치고 돌아서려 할 때 종이 하나를 내민다. 짐이 배달이 안 되어도 배상을 청구하지 않는다는 내용에 서명을 하라는 것.. 2020. 4. 8.
바지랑대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50) 바지랑대 투병 중인 장로님 내외분과 함께 봄바람을 쐴 겸 길을 나섰다. 하필이면 코로나 바이러스까지 겹쳐 이래저래 바깥출입이 쉽지 않으셨을 터, 기분 전환을 위해 바람이나 쐬자며 나선 길이었다. 길은 조금 멀어도 강원도를 찾기로 했던 것은 얼마 전 우연히 알게 된 식당 때문이었다. 이왕이면 그곳을 찾고 싶었다. 신림에서 조금 더 들어가는 한적한 곳에 식당이 자리 잡고 있었는데, 느낌을 한 마디로 이야기 하자면 고향집 같았다. 실내 벽이 흙으로 마감이 되어 더없이 허술해 보였지만 그만큼 편안한 느낌을 주었다. 식당 안에는 장작을 때는 곳도 있어 몸보다도 마음을 따뜻하게 했는데, 모양이나 기능으로 보자면 아궁이와 벽난로와 고콜을 하나로 합한 것이었다. 어디에서도 본 적 없는 .. 2020. 4. 7.
어느 날의 기도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49) 2020. 4. 6.
몰염치와 파렴치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48) 몰염치와 파렴치 모든 언어는 자기 안에 시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자기 앞에 슬그머니 다른 말 하나 놓으면 뜻이 달라진다. 전혀 다른 뜻이 되기도 하고, 스스로 가지고 있던 뜻이 깊어지거나 새로워지기도 한다. 몰염치(沒廉恥)와 파렴치(破廉恥)도 그 중의 하나다. ‘염치’라는 말 앞에 ‘가라앉을 몰’(沒)이나 ‘깨뜨릴 파’(破)가 붙으면 뜻이 달라진다. 몰염치란 염치가 가라앉는 것으로 염치를 모르는 것이고, 파렴치란 염치를 깨뜨리는 것으로 염치와는 상관없는 뻔뻔스러움을 나타낸다. 누구의 손을 잡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지는 우리의 삶처럼. 2020. 4. 6.
깃털 하나의 무게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47) 깃털 하나의 무게 우연히 본 영상이었다. 입고 있는 옷이나 배경음악으로 볼 때 남미 쪽 어떤 나라 아닐까 싶었다. 재능을 겨루는 방송에 출연한 한 여성은 정신을 집중한 채 깃털 하나를 막대기 위에 올려놓았다. 깃털 하나를 올려놓는데 저렇게 정신을 집중해야 하나 싶어, 조금은 어색하게 보일 정도였다. 하지만 그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깃털을 올린 막대기를 다른 막대기가 받았다. 중심에 중심을 잡는 일이었는데, 그러기를 꽤 여러 번 반복했다. 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동안 어떤 막대기도, 처음 막대기에 올린 깃털도 떨어뜨리지를 않았다. 가느다란 막대기 위로 계속해서 무게 중심을 잡아가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 것인지, 동작 하나하나가 신기함을 넘어 신비롭게 다가왔다. 벌린 입을 다물지.. 2020. 4. 5.
새들이 꽃밭을 찾는 이유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46) 새들이 꽃밭을 찾는 이유 예배당 앞 공터를 꽃밭으로 만든 이후, 공터는 새들의 놀이터가 되기도 했다. 비둘기며 참새, 까치 등이 찾아와 시간을 보낸다. 새들도 꽃을 좋아하나 싶었는데, 아니었다. 새들이 꽃밭을 찾은 이유는 따로 있었다. 꽃밭을 만들며 방앗간을 하는 장로님이 깻묵을 몇 자루 가져왔다. 깻묵을 뿌려 땅을 비옥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새들이 꽃밭을 찾은 이유는 바로 깻묵에 있었다. 우리가 예배당을 찾는 이유가, 예수를 찾는 이유가 딴 데 있지 않기를! 2020.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