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희철의 '두런두런'1160

소 발자국에 고인 물처럼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45) 소 발자국에 고인 물처럼 최근에 교우 장례가 두 번 있었다. 목회를 하며 교우 장례를 치르는 것이야 늘 있는 일이지만, 이번엔 남달랐다. 두 장례 모두 생각하지 못한 장례였기 때문이다. 한 교우는 67세, 건강하게 잘 지내던 권사님이었다. 생각지 않은 곳에서 쓰러진 권사님을 너무 늦게야 발견한 것이 문제였다. 결국 권사님은 장기 기증을 선택하고 우리 곁을 떠났다. 또 한 사람은 집사님의 남편이었다. 40세, 믿어지지 않는 나이였다. 특별한 지병이 있었던 것도 아니라는데, 갑자기 심장에 마비가 왔다. 눈물만 흘릴 뿐 가족들은 모두 일어난 일을 실감하지 못하고 있었다. 두 분의 장례를 치르며 내내 떠올랐던 것은 조선시대 시인 박은의 시였다. 평생 농사를 지으면 살자고 약속한 .. 2020. 4. 3.
꽃과 새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44) 꽃과 새 예배당 앞 작은 정원에 자목련이 피었다. 키 낮은 나무지만 자태가 곱다. 어떻게 알았는지 직박구리가 날아와 꽃잎을 먹는다. 멋있게도 먹는다. 우리가 밥을 먹듯 꽃을 먹는 새가 있구나. 새에게도 먹을 것을 주어 자목련이 저리 예쁜가. 꽃을 먹는 새가 있어 새들의 노랫소리 저리 맑은가. 2020. 4. 2.
진갑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43) 진갑 생일을 축하하며 한 장로님이 “이젠 진갑이네요.” 웃으며 말했다. 진갑이란 말을 오랜만에 들었다. 進甲은 환갑의 이듬해로 ‘예순두 살’을 이르는 말이다. 글자대로 하자면 ‘환갑보다 한 해 더 나아간 해’가 될 것이다. 어릴 적 ‘환갑 진갑 다 지났다’는 말을 어렵지 않게 들었다. 어지간히 오래 사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지만, 그 말은 살만큼 산 사람이란 뜻으로 전해졌다. 남의 일로만 알았는데, 이젠 내가 진갑이 되었다. 그러고 보면 나도 이젠 살 만큼 산 사람이 된 셈이다. 이제부턴 덤이다. 덤일 뿐이다. 2020. 4. 1.
형에게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42) 형에게 문득 떠오른, 오래 전에 썼던 글 하나가 있다. 왜 그것이 떠올랐을까 싶은데, 어쩌면 그 말이 그리웠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형! -응? -형도 울고 싶을 때가 있어? -응! -언제? -아무 때나. -형은 항상 웃었잖아. -두 번 웃기 위해 세 번은 울었어. 2020. 3. 31.
희망이란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41) 희망이란 ‘희망은 신앙과 사랑의 한 복판이다’ 교회력을 따라 교단에서 발간하는 잡지 를 읽다가 만난 한 구절이다. 성서일과로 주어진 본문은 에스겔 37장, 마른 뼈들에 관한 환상이었다. ‘희망은 신앙과 사랑의 한 복판이다’라는 말이 새롭고 신선하게 와 닿았는데, 그 말 옆에 인용한 성경구절이 고린도전서 13장 13절이었다. 잘 알고 있는 말씀 “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의 제일은 사랑이라”는 말씀을 그렇게 이해한 것이었다. 그러고 보니 소망은 믿음과 사랑 사이에 있다. 익숙한 말씀을 새롭게 새기자 의미가 새로워진다. 설교자가 선 자리는 그곳일 것이다. 2020. 3. 30.
사순절이란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40) 사순절이란 나만 아픈 줄 알았는데 나만 힘든 줄 알았는데 나보다 더 아픈 당신 나보다 더 힘든 당신 미련함으로 송구함으로 뒤늦게 깨닫는 사순절이란! 2020. 3. 28.
비누로 손 씻기와 설교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39) 비누로 손 씻기와 설교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일상으로 자리 잡은 습관이 두 가지 있지 싶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손 등으로 가리고 하는 것과, 손 씻기를 자주 하는 것이다. 손을 씻을 때 비누로 손을 씻으면 소독제를 바르는 것보다도 효과적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들은 대로 비누로 손을 씻다가 엉뚱한 생각을 한다. 혹시 비누로 손을 씻으면 효과적이라는 말은 유머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었다. 비누로 손을 씻으면 손이 미끌미끌해지고, 미끌미끌해진 손을 닦아내려면 한참 물로 닦아야 한다. 비누가 손 구석구석에 묻었으니 비누를 다 닦아내려면 손 구석구석을 닦아야 한다. 그렇게 비누를 없애느라 손을 닦다보면 나도 모르게 손을 열심히 오래 제대로 닦아야만 한다. 비누가 효과.. 2020. 3. 28.
화장지 다섯 롤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38) 화장지 다섯 롤 독일에 사는 아이들이 걱정이 되어 전화를 했더니 독일도 거의 모든 일상이 멈춰 섰다고 한다. 꼼짝없이 집 안에 갇혀 지내고 있단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이제 나라와 대륙을 너무도 쉽게 무시한 채 맘껏 활보하고 있다 여겨진다. 부모로서 제일 걱정되는 것은 한결같다. 밥은 제대로 먹는지, 아프지는 않는지를 물었다. 답답하지만 그래도 잘 지내고 있다니 고마운 일이었다. 뉴스를 통해 사재기 소식을 들었던 터라 쌀과 마스크, 화장지가 있는지를 물었다. 쌀은 별 문제가 없고, 마스크는 있으나 마나란다. 마스크를 쓰고 나가면 환자 대하듯 바라보는데, 더욱이 아시아인이 쓰고 있으면 마치 바이러스 숙주를 바라보는 것처럼 따갑게 바라보아 불편하기 그지없다는 것이었다. 화장지는.. 2020. 3. 27.
찾아오는 손님 모시듯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437) 찾아오는 손님 모시듯 ‘좋은날 풍경’ 박보영 집사님이 노래 하나를 보내주었다. 흔하게 쓰는 카톡을 통해서도 노래를 보낼 수 있다는 것이 내게는 여전히 신통방통이다. ‘봄’이라는 노래인데, 명함처럼 생긴 종이 위에 노랫말을 손 글씨로 적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곁에 찾아왔지만 놓치고 있는 봄의 정취를 나눌 겸 아는 이들에게 노래를 보냈다. 나도 노래를 보낼 수 있다니, 이 또한 신통방통! 행여 꽃잎 떨굴까 내리는 봄비 조심스럽고 행여 미안해할까 떨어진 꽃잎 해맑게 웃고 오래 전에 쓴 짤막한 글이다. 비에 젖은 채 떨어진 예쁜 꽃잎을 보다가 지나가는 생각이 있어 옮긴 것인데, 우연처럼 글자 수가 맞았다. 더러는 내가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나를 찾아오는 손님을 만나듯 .. 2020.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