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87 내 맘고생 사연을 들려주고 싶어요! 이종록의 모정천리(母情天理)(1) 내 맘고생 사연을 들려주고 싶어요! -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가 들려주는 이야기 - 마리아의 침묵? 오늘은 정말 특별한 삶의 이야기를 들으려고 합니다. 주인공은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입니다. 그런데 마리아에 관한 성경 구절들을 찾아 읽으면서 느낀 것은 마태복음, 마가복음, 그리고 요한복음에 마리아가 말하는 장면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 세 복음서에서 마리아는 침묵합니다. 마리아가 말하는 모습은 누가복음에서만 잠깐 볼 수 있습니다. 성경에 등장하는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겠지만, 마리아는 우리에게 많은 이야기를 하고 싶어 할 겁니다. 마리아가 우리에게 하려는 첫 번째 이야기는 맘고생이 심했다는 것입니다. 마리아의 맘고생 마태복음은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 2015. 1. 1. 국제중앙다방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1) 국제중앙다방 “이 다방 이름 정말 좋지요?” “네.” 여자는 수줍게 손으로 입을 가리며, 대답한다. 학송은 그녀의 웃는 모습이 마음에 쏙 드는 모양이다. 오늘로 겨우 세 번째 만나는 이 여성에게 벌써 프로포즈를 할 요량이었다. 하지만 사실 어떻게 이야기를 꺼내야 할지 아직은 서투르기만 하다. 두 사람이 맞장구치듯이 좋다고 한 다방 이름은 “국제중앙다방”이다. 이 대목은 이제 갓 40대인 박동훈 감독이 2010년에 만들었던, 의 한 장면이다. 이 영화는 박 감독의 2005년 작품인 라는 제목의 20분짜리 독립영화 확대판으로, 일제부터 3대에 걸친 가족사와 우리 역사가 서로 만나는 이야기다. 영화 속의 이 장면이 담고 있는 시기는 1960년대 초반에서 중반이었는데, 당시 한국에서 .. 2015. 1. 1. 전병욱, 한국교회의 욕망과 죄를 보여주는 열쇠 말 전병욱, 그 병폐의 프리즘(1) 전병욱, 한국교회의 욕망과 죄를 보여주는 열쇠 말 는 왜 다시 “전병욱”에 대해 글을 쓰려는 것일까?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계실 듯 합니다. 10여 년 전, 그의 설교와 신학적 사고에 깊이 스며 있고 거기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에 대해 비판했었습니다. 우리는 그를 통해 한국교회의 모순과 한계가 매우 뿌리 깊게 투영되어 있음을 적나라하게 보았습니다. 꽤 시간이 흐른 이 시점에도 동일한 병폐와 오류가 압축되어 지금도 현재진행형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전병욱 말고도 비판의 대상이 되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그런데 전병욱의 경우. 성추행이라는 매우 심각한 범죄를 저질렀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법적 처벌도 받지 않았고, 그 자신이 이에 대해 본질적인 성찰과.. 2015. 1. 1. 나처럼 사는 건 홍순관의 노래 신학(1) 나처럼 사는 건 한희철, 홍순관 글 / 한경수 곡 (1993년 만듦, ‘나처럼 사는 건 나밖에 없지’ 음반수록) 들의 꽃이 산의 나무가 가르쳐줬어요. 그 흔한 꽃이 산의 나무가 가르쳐줬어요. 나처럼 사는 건 나밖에 없다고 강아지풀도 흔들리고 있어요 바람에 음~ 저 긴 강이 넓은 바다가 가르쳐 줬어요 세월의 강이 침묵의 바다가 가르쳐 줬어요 나처럼 사는 건 나밖에 없다고 강아지풀도 흔들리고 있어요 바람에 음~ 주어진 삶을 산다는 것은 고귀하고 아름다운 일입니다. 그것은 매여 있다거나, 한정된 장소, 정해진 운명, 일상의 한계를 말하는 것이 아니요, 창조의 숨을 간직한 채 산다는 것을 말합니다. 아주 작은 생명체들이 세상이 모르는 사이, 땅과 물을 건강하게 만들고 있지요. 조그만 생.. 2015. 1. 1. 예레미야 읽기를 시작하며 한희철의 무릎 꿇고 손가락으로 읽는 예레미야(1) 예레미야 읽기를 시작하며 언젠가 주보 표지에 ‘예레미야를 만나면’이라는 글을 실은 적이 있다. 그럴 수 있다면 언제고 예레미야를 만나 실컷 울리라 여전히 젖어 있는 그의 두 눈을 보면 왈칵 눈물이 솟으리라 당신께는 주님의 말씀 백성들에겐 귀찮고 하찮은 말 그 사이에 서서 울먹울먹 하던 다시는 주님 말씀 전하지 않으리라 다짐할 때마다 뼛속을 따라 심장이 타들어가던 당신의 뒷모습엔 늘 눈물이 어렸노라고 겨울밤 인우재에서 듣던 낙숫물처럼 어둠 속 떨구던 당신의 눈물 소리 쟁쟁했노라고 애써 적은 주님의 말씀 서걱서걱 왕의 칼에 베어질 때 내 마음도 베였노라고 마침내 당신 웅덩이에 던져졌을 때 나도 갇혔고 구스 사람 에벳멜렉이 달아 내린 헝겊쪼가리와 낡은 옷에 이.. 2015. 1. 1. 유대인의 신년(1) 최명덕의 유대인 이야기(1) 유대인의 신년(1) 정통파 유대인들은 유대 달력으로 일곱째 달인 ‘티슈리’월의 첫째 날과 둘째 날을 신년으로 지킨다. 개혁파 유대인들은 첫째 날만을 신년으로 지킨다. 유대력의 티슈리월은 태양력의 9월 말이나 10월 초의 가을에 해당한다. ‘로쉬 하샤나’라고 알려진 유대인의 신년은 두 가지 성격을 지니고 있다. 첫째로, 이날은 ‘심판의 날’(욤 하딘)이다. 하나님 앞에서 자기 자신을 돌아보는 날이다. 지난해 동안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잘못된 것은 없었는지, 사람과의 관계에서 고칠 것은 없었는지 스스로를 살펴보면서 우선은 하나님과, 다음으로는 사람과 화해하는 날이다. 둘째로는, 하나님의 창조를 기억하는 날이다. 그래서 유대인들은 이날을 ‘욤 하라트 올람’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 2015. 1. 1. 경을 치다 천정근의 어디로 가시나이까(1) 경을 치다 ‘경을 친다’는 말은 종을 치듯 정신이 깨지도록 혼쭐을 낸다는 의미가 담긴 상징적 언술로 들리지만 실제 현실을 가리키는 말이다. 경형(黥刑)은 죄인의 이마나 얼굴에 먹줄로 글씨를 새겨 넣는 형벌이다. 종이 위에 매난국죽을 치듯 얼굴에 먹물을 들이기 때문에 ‘친다’고 쓴다. 문신을 새겨 죄인 됨을 공개하는 것은 머리를 베거나 목을 매달거나 신체의 일부를 절단하는 형벌 보다는 가벼울지 모르겠다. 그런 의미에서 경형이란 경을 친 다음 그 때부터 형벌의 목적이 발효되는 진정한 상징적 언술이 된다. 이마에 각인된 주홍(검은)글씨는 죄인의 일생을 두고 경을 친 의미를 확인시켜줄 것이다. 나는 왜 이 시점에 꼭 ‘경을 칠 놈’이 아니라 ‘경을 칠 년’ 생각이 나는지 모르겠다.. 2015. 1. 1. 180초 지강유철의 음악 정담(1) 180초 광화문에 있는 예술전용극장 시네큐브에서 영화를 처음 보았을 때 일입니다. 광고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바로 영화가 시작되더군요. 중학교 때 단체 관람으로 극장을 드나들기 시작한 후로 이제까지 광고 없이 영화가 시작되는 걸 보지 못했기 때문에 “이건 뭐지?” 했습니다. 더 놀라운 일은 영화가 끝났을 때였습니다. 엔딩크레딧이 다 올라갈 때까지 단 한 사람도 일어나 나가지 않았습니다. “대한민국에서도 이런 일이 가능하나” 싶더군요. 영화 시작과 끝에 일어났던 이 두 차례의 경험은 그날 본 영화만큼이나 또렷하게 제 기억 속에 남아있습니다. 2010년 여름 스위스 루체른에 있는 문화컨벤션센터 콘서트홀에서는 클라우디오 아바도가 지휘하는 루체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의 말러 교향곡 9번 .. 2015. 1. 1. 쿨하게 종교읽기 이길용의 종교로 읽는 한국 사회(1) 쿨하게 종교읽기 나는 종교학자이다. 그러다보니 만나는 사람들 중 적지 않은 이들로부터 종교에 대한 질문을 받게 된다. 그런데 그럴 때마다 내 마음이 그리 편치는 않은데, 그 이유는 질문을 던지는 많은 이들이 보이는 마음가짐과 자세 때문이다. 종교학은 가급적 있는 그대로의 종교를 이해하고자 객관적 자세를 유지하는 경험학문이다. 따라서 종교학에 몸담고 있는 이들은 가급적 종교를 ‘읽으려’하지, 그것을 ‘전’하거나 그들 사이의 ‘우열을 논’하려고 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종교학자들이 만나게 되는 많은 질문은 후자인 경우가 많다. “어떤 종교가 진짜이냐?” “어떤 종교의 가르침이 가장 높으냐?” 등등. 특히 한국사회에서 이런 성향은 도드라진다. 서구사회만 하더라도 종교학적 논.. 2015. 1. 1. 이전 1 ··· 295 296 297 298 2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