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희철의 '두런두런'/한희철의 얘기마을502

숨어서 하는 사랑 한희철의 얘기마을(204) 숨어서 하는 사랑 밥을 안 먹어 걱정이던 규성이도 점심시간 제일 밥을 많이 먹는다. “엄마한테 갈 거야!” 한번 울기 시작하면 대책이 없던 학래도 이른 아침부터 놀이방에 올 거라고 전화를 한다. 새침데기 선아도 친구들과 어울려 소꿉놀이에 정신이 없다. 할머니 젖을 물고 자 버릇 했던 제일 나이 어린 영현이는 아내 등이 낯선지 계속 잠을 못 잤고, 졸지에 엄마를 뺏긴 규민이만 칭얼대며 그 뒤를 쫓아다녔다. 희선이, 학내, 선아, 규민이, 재성이, 미애, 규성이, 영현이 등 모두 8명의 꼬마들이 아침부터 모여 자기들의 세상을 만들어 간다. 작은 다툼이 없는 건 아니지만 아이들은 나름대로 질서를 세워가고 있다. 미끄럼틀을 타기도 하고, 인형을 갖고 놀기도 하고, 장난감 총을 들고 새.. 2021. 1. 15.
브레이크 한희철의 얘기마을(203) 브레이크 고장 난 브레이크를 고치기 위해 브레이크가 고장 난 차를 끌고 원주 시내 정비소에 다녀왔다는 이웃교회 목사님의 말을 섬뜩한 마음으로 듣습니다. 아무리 살살 조심조심 갔다 하여도 어떻게 브레이크가 고장 난 차를 이끌고 시내를 지나갈 수가 있었을까 잘 이해가 안됐습니다. 다른 부분이면 몰라도 고장 난 데가 브레이크라면 그건 차에 있어 가장 결정적인 고장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달리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세우는 것, 세워야 할 때 세우지 못하는 것은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더 빨리 달리는 차를 만들려면 그만큼 잘 듣는 브레이크가 뒤따라야 합니다. 달리는 차를 확실하게 세울 수 있는 브레이크, 그 제동력이 차의 속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조건이 되어야 합니다. 달리.. 2021. 1. 14.
은희 할머니 한희철의 얘기마을(202) 은희 할머니 이애경 그림 은희 할머니가 쌀을 가지고 오셨다. 제법 큰 양동이 가득 하얀 쌀을 머리에 이고 오셨다. 새로 방아를 찧었다며 쌀을 가져오신 것이다. 교인이 아니면서도 그렇게 꼬박꼬박 당신의 정성을 전하시는 할머니. 마루에 앉아 차 한 잔을 마시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눈다. 연극을 연출하는 이가 고생 고생하는 역을 할머니에게 맡긴 듯, 그런 모진 역을 내 역이다 한평생의 삶으로 맡아 오신 할머니의 생. 할머니의 주름과 백발 위엔 말로 못할 삶의 무게와 엄숙함이 무겁게 배어 있었다. “나 죽는 건 하나도 아깝지 않아요. 어린 것들 나 죽으면 으뜩하나, 그게 걱정이지요.” 어린 손녀들이 빨리빨리 커야 할 텐데, 어려서부터라도 제 앞가림을 잘해야 할 텐데, 그들을 위해서라고.. 2021. 1. 13.
어떤 두려움 한희철의 얘기마을(201) 어떤 두려움 조용한 시간, 은근히 나를 불안하게 하는 한 생각이 있습니다. 번번이 그런 생각은 그런 때 떠올라서 마음을 쉽지 않게 만듭니다. 아무 것도 모르고 엄배덤배(엄벙덤벙의 원주 사투리) 사는 삶, 혹 어느 날 뜻밖의 은총으로 철이 들어 삶이 뭔지, 어찌 살아야 하는지를 그나마 희미하게 알게 되었는데, 철든 삶을 살아갈 시간이 모자란 것은 아닌가 하는 두려움입니다. ‘철들자 망령’이라는 옛 말처럼, 겨우 겨우 철이 들었는데 남아 있는 시간이 없다면, 그게 얼마나 두려운 일일까 싶습니다. 뒤늦은 깨달음, 분명 그것은 안타까움을 넘어선 한스러움이 될 것입니다. 하루하루 뒤로 미루는 삶의 무감각한 어리석음이, 문득 뒤에서 되짚어 보는 헤아림 하나에 쉽게 잡히고 맙니다. - (1.. 2021. 1. 12.
거룩한 손길 한희철의 얘기마을(200) 거룩한 손길 김대섭 작/벼말리기 한동안 신작로엔 벼들이 기다랗다 널렸다. 낫으로 베어 탈곡기로 털던 옛날과는 달리 요즘엔 콤바인 기계로 추수를 하다 보니 벼를 말리는 일이 또한 큰 일이 되었다. 벼를 베어 한동안 논에 두었다가 나중에 벼가 마른 후 타작한 옛날에 비해 기계가 좋아진 요즘에는 아예 벼를 베는 순간 탈곡은 물론 가마에까지 담겨 나오니, 천생 말리는 일이 나중 일이 되고 만 것이다. 벼를 말리는 장소로는 신작로 이상이 없다. 검은 아스팔트인 신작로는 이따금씩 차들이 다녀 위험하긴 하지만 벼를 가장 빨리 말릴 수 있다. 아침에 널고 저녁에 거둬들이는 손길이 분주하다. 고무래로 쓱쓱 펼치면 되는 아침에 비해 거둬들이는 저녁 손길은 더디기도 하고 고되기도 하다. 한군데로 .. 2021. 1. 11.
땀과 땅 한희철의 얘기마을(199) 땀과 땅 사람·살다·사랑이란 말은 같은 어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언젠가 읽은 적이 있습니다. 좋은 말이었고, 옳은 말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런 의미에서 생각해 보면 땀과 땅도 같은 어원을 가진 말이 아닐까 싶습니다. 땅은 땀을 흘리는 자의 것이어야 하고, 땀을 흘리는 자만이 땅을 지킬 수가 있습니다. 땀을 사랑하는 자가 땅을 사랑할 수가 있고, 땅의 소중함을 아는 이가 땀을 흘릴 수 있습니다. 그런 뜻에서 볼 때 땅의 주인은 마땅히 땀을 흘리는 자여야 합니다. 우리 사회가 얼마나 정의로운가를 판단하는 기준은 나름 많이 있겠지만, 그중의 하나는 땀과 땅이 갖는 관계의 정직함 여부입니다. 이따금씩 자가용 타고 나타나 투기용으로 사두는, 사방 둘러선 산과 문전옥답의 주인이 되어가.. 2021. 1. 10.
소심함과 완고함 한희철의 얘기마을(198) 소심함과 완고함 원주 시내에 있는 밝음신협에서 장학생을 선발하는 일이 있었다. 성적과는 관계없이 가정 형편에 따라 장학금을 지급하는 것이었는데,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의 학비를 댄다는 것이었다. 마침 아는 분이 그 일을 권해주어 단강에서도 학생을 추천하기로 했다. 몇 사람과 의논한 후 종하와 완태를 추천하기로 했다. 종하와 완태에게 이야기하고 몇 가지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라고 일렀다. 종하가 며칠 후에 서류를 가져온 반면에 완태는 감감무소식이었다. 크게 어려운 서류도 아니고 마감 날짜도 얼마 남지 않았는데, 더 늦으면 안 될 것 같아 완태를 만나 채근을 했지만 뭔가 완태는 주저주저 하고 있었다. “왜 그러니?” 물었을 때 완태의 대답이 의외였다. “우리 선생님은요, 되게 무서.. 2021. 1. 9.
거룩한 옥수수 한희철의 얘기마을(197) 거룩한 옥수수 추석 전날 작실속 속회를 이서흠 성도 댁에서 모였다. 차례도 그렇게 됐지만 특별히 이서흠 성도님이 원하였던 일이다. 울퉁불퉁 온통 자갈이 깔린 길, 윗작실까지의 길은 멀기도 멀고 쉽지도 않았다. 그 길을 걸어 예배당을 찾는 정성을 헤아리며 작실로 올랐다. 예배를 마쳤을 때 이서흠 성도님은 시간을 맞춰 쪄놨던 옥수수를 내 오셨다. 잘 익은 찰옥수수였다. 옥수수 철이 지난 지 한참일 텐데 그 때까지 옥수수가 있는 것이 신기했다. 알고 보니 추석 때 식구들 모두 모이면 쪄 주려고 일부러 때를 늦게 정해서 옥수수를 심었던 것이었다. 자식을 향한 부모의 사랑, 삶의 모든 시간 속에 빈틈없이 배어있는 어머니의 지극한 배려. 옥수수를 베어 무는 마음이 문득 거룩해진다. - (.. 2021. 1. 8.
별과 꿈 한희철의 얘기마을(196) 별과 꿈 “우리 동네 개울이 이렇게 지저분한 줄은 몰랐어요.” 개울을 청소하는 아이들은 한결같이 동네 개울의 더러움에 놀라고 말았다. 비닐, 깡통, 빈병(특히 농약병), 못쓰게 된 농기구 등 개울 곳곳은 온갖 쓰레기들로 가득했다. 자루에 담는 쓰레기는 이내 리어카를 채웠고, 두 대의 리어카는 분주하게 쓰레기를 날라야 했다. 쓰레기를 모으는 교회 마당엔 수북이 쓰레기가 쌓여갔다. 뜨거운 한낮의 볕이 머리 위해서 이글거렸고 땀은 온몸을 적셨다. 그래도 아이들은 부지런 했고, 그 모습들이 아름다웠다. 섬뜰 앞개울과 뒷개울, 작실, 끝정자등 네 개의 개울을 치우는데 이틀, 쓰레기를 분리하는데 또 하루가 걸렸다. 꼬박 사흘을 수고한 셈이다. 쓰레기를 치워낸 개울마다엔 라는 팻말을 박아 .. 2021.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