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희철의 '두런두런'1160 바퀴 없는 차 한희철의 얘기마을(21) 바퀴 없는 차 “집사님, 교회에도 밭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작실 속회를 마치고 내려오는 길, 길 옆 널따란 무밭을 지나며 동행했던 김영옥 집사님께 말했다. “밭은 뭐하게요?”“농사짓게요. 돈벌이가 되는 농사를 져서 마을 분들에게 보급했으면 좋겠어요.” 농촌교회가 마을을 위해 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일이 그것이지 싶었다. “그럴 수만 있다면 좋죠. 그렇지만 땅 살 돈이 있나요?” 그러시더니 잠깐 사이에 웃으며 한 마디를 보탰다. “전도사님 그때까지 계시겠어요? 되도 몇 년 후에나 가능할 텐데요.” 집사님 말 속엔 오늘의 농촌 교회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가 담겨있다. 막연히 견디기엔 너무도 열악한 조건, 교회가 마을을 위해 할 수 있는 것 중 큰 것은 마을 사람들의 생활 향.. 2020. 7. 10. 단순한 삶 한희철의 얘기마을(20) 단순한 삶 어둘녘, 인쇄소에서 소개해 준 지업사에 들렸다. 사방으로 켜켜이 종이가 쌓여있고, 종이 자르는 커다란 날을 가진 기계가 한 가운데 있었다. 주인께 온 이유를 말했더니 한번 찾아보라 한다. 아내와 난 너저분히 널려 있는 종잇조각들을 헤치며 쓸 만한 종이를 찾았다. 전지를 원하는 크기로 자르고 나면 한쪽 귀퉁이로 작은 조각들이 남게 마련인데, 우리에게 필요한 건 바로 그 작은 종이들이었다. 주보 발송할 때, 주보를 두르는 띠를 얻기 위해서다. 300여부 발송을 하다 보니 잠깐 허리를 두르는 띠지만 적은 양은 아니었고, 성한 종이(?)를 잘라 쓸라니 아깝기도 했던 것이다. 한참을 종이 더미를 뒤져 우리는 쓸 만한 것들을 제법 찾아낼 수 있었다. “얼마 드리면 되죠?” 물었더.. 2020. 7. 9. 모두를 같은 품에 재워 한희철의 얘기마을(19) 모두를 같은 품에 재워 오늘도 해는 쉽게 서산을 넘었다.말은 멍석 펴지듯 노을도 없는 어둠산 그림자 앞서며 익숙하게 밀려왔다. 밤은 커다란 솜이불모두를 덮고 모두를 집으로 돌린다. 몇 번 개들이 짖고 나면 그냥 어둠 뿐,빛도 소리도 잠이 든다. 하나 둘 별들이 돋고대답하듯 번져가는 고만고만한 불빛들저마다의 창 저마다의 불빛 속엔저마다의 슬픔이 잠깐씩 빛나고그것도 잠깐 검은 바다 흐른다. 그렇다.밤은 모두를 같은 품에 재워날마다살아있는 것들을 다시 한 번 일으킨다.검은 바다를 홀로 지난 것들을. (1992년) 2020. 7. 8. 함께 나눠야 할 몫 한희철의 얘기마을(18) 함께 나눠야 할 몫 “전도사님께 좀 의논할 일이 있어서 왔어요.” 주일 오후 신 집사님이 찾아왔다. 오는 길에 경운기 사고로 병원에 입원했다 퇴원한 종대 엄마 어떤가 보려고 들렀다가 때마침 쏟아진 비에 마당에 있는 고추 들여놔 주느라 그랬다며, 머리와 옷이 젖은 채였다. 추워 보였다. 신집사님은 늘 추워 보인다. 지난 일주일 동안 아들네 집에 다녀왔는데, 아들 말이 방 하나 얻어 드릴 테니 자기 있는 동네 근처로 오시라 했다는 것이다. 농촌에서 품 팔아야 고생이고, 병관이 중학교 밖에 더 보내겠냐며, 고생하긴 마찬가지라 해도 인접 도시 청주에 가면 일할 것도 많고, 돈도 더 많이 받을 수 있을 터이니 그게 안 낫겠냐며, 내려오시라 했다는 것이다. 자칫 또 한 분의 교우를 보내겠구.. 2020. 7. 7. 전기 요금 한희철의 얘기마을(17) 전기 요금 1070원, 지난 달 유치화 씨가 낸 전기 요금이다. 단칸방에 늙으신 홀어머니 모시고 살아가는 치화 씨, 1070원이라는 금액 속엔 가난하고 적막한 삶이 담겨있다. 지난주엔 한여름 내내 열심히 일한 치화 씨가 그동안 번 돈을 아껴 텔레비전을 샀다. 흑백 중고로 안테나 설치까지 4만원이 들었다 한다. 잘 나온다고, 이젠 다른 집으로 TV보러 안 가도 된다며 흐뭇해한다. 이번 달부터는 전기요금이 올라가겠지만, 그깟 전기요금이 문제일까. 저녁 밥상 물리고 나란히 앉아 함께 웃는 시간이며, 일하러 갔다 늦게 돌아오는 아들 기다리며 막막하기 그지없었던 어머니 시간 보내기도 좋고, 내일은 비 올 거라며 남의 말 듣기 전에 말할 수 있어 좋고, 난생 처음 예금한 돈 30만원이 통장.. 2020. 7. 6. 마주 잡을 손 한희철의 얘기마을(16) 마주 잡을 손 얼마 전 원주지방 남녀선교회 지회장들이 모여 교육받는 모임이 있었다. 공문을 받고 여선교회장인 이음천 속장님에게 알렸다. 그런데 이야기를 들은 속장님은 한사코 안 가겠다고 한다. 손이 이래갖고 어딜 가겠냐며 손을 내민다. 형편없이 갈라지고 터진 틈새를 따라 풀물 흙물이 밸대로 배었다. 어떠냐고, 그 손이 가장 떳떳하고 자랑스러운 손 아니냐며 얼마를 더 권했지만, 속장님은 막무가내였다. 일찍 남편과 사별한 이음천 속장님, 혼자되어 자식 키우며 농사 지어온 지난 세월을 어찌 말로 다 할까. 속장님은 지금도 무섭게 일을 한다. ‘소 갈 데 말 갈 데 없이’ 일한다고 스스로 그렇게 말한다.그렇게 일하지 않으면 살 수 없다는 위기감에, 어쩌면 쉬 찾아들곤 하는 남편 없는 허.. 2020. 7. 3. 할머니의 믿음 한희철의 얘기마을(15) 할머니의 믿음 아프시다는 이야기를 듣고 저물녘 올라가 뵌 허석분 할머니는 자리에 누워 있다가 괴로운 표정으로 일어났다. 양 손으로 허리를 짚으신다. 허리가 아파서 잠시 저녁을 끓여먹곤 설거지를 미루신 채 일찍 누운 것이었다. 할머니는 혼자 살고 계시다. 전에도 허리가 아파 병원을 몇 차례 다녀온 적이 있는데, 병명을 기억하고 계시진 못했지만, 디스크 증세라는 판정을 받은 것 같았다. 한동안 괜찮았는데 다시 도진 것 같다고 했다. 일을 안 하시는 게 좋겠다고 말씀드리지만, 할머니는 당장 쌓인 일거리를 걱정했다. 주일 저녁예배. 재종을 치기 위해 조금 일찍 나갔는데, 허석분 할머니가 천천한 걸음으로 교회 마당에 들어서신다. “할머니, 허리 아프시면서요.” 그런 할머니 걸음으로라면 할.. 2020. 7. 2. 모두를 같은 품에 재워 한희철의 얘기마을(14) 모두를 같은 품에 재워 오늘도 해는 쉽게 서산을 넘었다.말은 멍석 펴지듯 노을도 없는 어둠산 그림자 앞서며 익숙하게 밀려왔다. 밤은 커다란 솜이불모두를 덮고 모두를 집으로 돌린다. 몇 번 개들이 짖고 나면 그냥 어둠 뿐,빛도 소리도 잠이 든다. 하나 둘 별들이 돋고대답하듯 번져가는 고만고만한 불빛들저마다의 창 저마다의 불빛 속엔저마다의 슬픔이 잠깐씩 빛나고그것도 잠깐 검은 바다 흐른다. 그렇다.밤은 모두를 같은 품에 재워날마다살아있는 것들을 다시 한 번 일으킨다. 검은 바다를 홀로 지난 것들을. (1992년) 2020. 7. 1. 왜가리 할아버지 한희철의 얘기마을(13) 왜가리 할아버지 느긋한 날갯짓으로 내려앉아 어정어정 논가를 거니는 한 마리 왜가리인 줄 알았어요.널따란 논 한복판 한 점 흰 빛깔.흔한 일이니까요.허리 기역자로 굽은 동네 할아버지 피 뽑는 거였어요.난닝구 하나 걸친 굽은 등이 새처럼 불쑥 오른 것이었지요.내려앉은 새처럼 일하시다 언젠지 모르게 새처럼 날아가고 말 변관수 할아버지. (1990년) 2020. 6. 30. 이전 1 ··· 52 53 54 55 56 57 58 ··· 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