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63 레아, 오로지 남편 사랑 얻기 위해 아이들을 낳다(2) 이종록의 모정천리〔母情天理〕(13) 레아, 오로지 남편 사랑 얻기 위해 아이들을 낳다(2) 1. 어머니 레아. 레아는 과연 어머니였는가? 물론 레아가 자식들을 출산했기 때문에 레아는 분명 어머니다. 그러나 레아가 진정한 어머니였는가는 의문이다. 레아는 라반의 두 딸 가운데 언니이다. 성경기자는 레아를 “시력이 약하”다고 소개한다(창세기 29:17). 새번역은 “눈매가 부드럽”다고 번역한다. 두 가지 번역이 다 적합하지만, 바로 이어서 나오는 라헬에 대한 소개에 비해서 볼 때, 레아의 외모가 그다지 뛰어나지 못한 건 사실인 모양이다. 남자들이 시선을 줄 만한 미모나 성적 매력이 없었다는 것이다. 2. 야곱은 라헬을 먼저 만났고, 라헬을 사랑했다. 성경기자는 야곱이 라헬을 위해서 14년을 며칠처럼 일했다고 .. 2015. 4. 10. 어떤 바람 홍순관의 노래 신학(15) 어떤 바람 호시노 도미히로 시 / 한경수 곡 - 1993년 만듦, ‘신의 정원’ 음반수록 - 바람은 보이지 않지만 나무에 불면 녹색 바람이 꽃에 불면 꽃바람 되고요. 음~ 바람은 방금 나를 지나간 그 바람은 어떤 바람 됐을까 시대의 죄가 사무칩니다. 뛰어노는 아이들을 차마 떳떳이 볼 수가 없습니다. 엄마 품에 안겨 동그란 눈을 뜬 아가의 눈을 차마 또렷이 대할 수가 없습니다. 우리 앞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졌는지, 우리가 어떻게 그 일들을 마주했는지 기억해야 합니다. ‘기억 한다’는 건 얼마나 고마운 일입니까. 죽음의 나이를 센다든지, 자신이 태어나지도 않았던 과거에 일어난 일을 잊어버리지 않는다는 것은 깊은 관심과 세심한 살핌 없이는 어렵습니다. 산업혁명과 자본주의, 제국주의와.. 2015. 4. 9. 내가 누구지? 성염의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16) 내가 누구지? “인자는 마땅히 많은 고난을 겪고… 죽임을 당해야 합니다…. 누가 내 뒤를 따르려면 자기 자신을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합니다”(마가복음 8:27-35). “사람들이 나를 누구라고 합디까?” “체제에 도전하다 헤롯의 손에 목잘려 죽은 세례자 요한 같다고 하고, 통일 통일하는 엘리야 같다고 하고, 좌경용공의 예언자 그러니까 요새말로 종북세력이라고도 합디다.” 나사렛 사람은 그다지 평판이 좋지 않았나 보다. 갈릴리 출신인 그는 예루살렘 언론 그 어느 하나에도 호감을 못 사 집중포화를 맞던 참이었다. 그 때는 이나 기독교 방송도 없던 시절이니까. “그러면 여러분은 나를 누구라고 하겠습니까?” 서로 얼굴을 쳐다보는 제자들은 난처한 기색이었다. .. 2015. 4. 9. 본회퍼에게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한종호의 너른마당(16) 본회퍼에게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오늘(4월 9일)은 독일 신학자이자 나치스에 저항했던 디트리히 본회퍼가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지 70년 되는 날이다. 그는 현실의 고난, 그 중심에서 하나님으로 자신을 드러낸 그리스도를 만날 것을 촉구한 사람이었다. 그것은 영광스런 신적 존재를 기대하고 있는 이들에게 매우 당혹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본회퍼는 바로 이 십자가 신학 속에 인간과 하나님의 만남을 극적으로 목격한다. 그는 나치스로 인해 독일은 물론이고 인류 사회가 전쟁과 억압의 현실 속에 빠져 들어가는 것에 대해 분노했고, 이를 막기 위해서라면 자신이 희생당해도 좋다고 믿었다. 그런 점에서 십자가는 하나님의 뜻과 현실의 권력이 정면에서 충돌한 지점이었고, 그 자신은 그리스도를 따라 십자가에.. 2015. 4. 9. ‘말씀’과 ‘전례’, 그리고 음악 지강유철의 음악정담(15) ‘말씀’과 ‘전례’, 그리고 음악 - 북 콘서트 ‘트루에 오르겔과 함께 하는 요한복음 산책’ 곡목해설 - 모차르트(1756-1791) ‘아베 베룸’ K. 618 모차르트는 1783년 미사 C단조를 작곡하다가 중단한 후 8년 동안 종교 음악을 작곡하지 않았습니다. 모차르트의 ‘아베 베룸’은 그가 죽은 1791년 6월 17일 바덴에서 성체성혈대축일에 초연되었습니다. 모차르트는 자신의 인생의 1/4에 해당하는 8년이란 긴 시간의 침묵 끝에 ‘아베 베룸’을 작곡하였고, 을 작곡하다가 다 끝내지 못하고 눈을 감았습니다. 물론 ‘아베 베룸’과 그 사이에 마지막 피아노 협주곡인 27번 내림나장조, 오페라 와 등의 작품이 탄생했지만 말입니다. 이렇게 볼 때 ‘아베 베룸’은 모차르트의 생애 또.. 2015. 4. 9. 현세종교 내세종교? 이길용의 종교로 읽는 한국사회(15) 현세종교 내세종교? 시마조노 스스무(島薗進)라는 분이 있다. 일본을 대표하는 종교학자이며 오래도록 도쿄대학 종교학과의 교수로 활동하다가 지난 2013년 은퇴하여 지금은 명예교수로 있으며, 죠치대학(上智大学) 신학부의 특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얼마 전 그분이 펴낸 책을 읽은 적이 있다. 현대 일본의 종교현황, 특히 여러 신종교의 발흥을 중심으로 그들이 가지는 종교사적 의의를 개념적으로 정리하고 설명한 책이었다. 이 책은 『現代救済宗教論』으로 일본에서는 1992년에 출간되었고, 우리말로는 《현대 일본 종교문화의 이해》라는 제목으로 1997년에 번역되었다. 스스무 선생에 대해서는 독일 유학시절부터 박사 과정 동료였던 순이찌라는 도쿄대 출신 친구로부터 쉼 없이 들어왔기에 .. 2015. 4. 8. 애틋한 마음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9) 애틋한 마음 중국이 18세기 청대의 소설 《홍루몽(紅樓夢)》으로 인간의 정과 그 별리(別離)의 아픔을 그려냈다면, 일본은 11세기 일본 왕실 내부의 애정소설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를 통해 그리움에 대한 이야기를 펼쳐낸다. 우린, 18세기 중엽 영-종조 시대에 《춘향전(春香傳)》으로 사랑을 그려 냈다. 동아시아 3국이 각기 사랑과 아픔과 그리움, 그리고 이별의 한을 풀어내는 방식이 각기 다르게 나타나는데, 중국의 경우에는 채워지지 않은 사랑에 대해서 결국 달관하듯 초연히 스쳐 지나면서 표표히 떠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한때의 꿈으로 간직하면서 홀로 아파하는 것이다. 일본은 그리움을 유독 깊게 간직한다. 오늘의 영화나 소설에서도 이 그리움은 환상의 세계를 설정해가면서까지 그 그.. 2015. 4. 7. 날치기로 강화된 국가보안법 김삼웅의 광복 70주년 역사 키워드 70(17) 날치기로 강화된 국가보안법 “국가보안법은 단순한 법률이 아니라 바로 이 땅의 불행한 현대사를 그 날개로 온통 뒤덮고 있는 거대한 괴조(怪鳥)와도 같은 것이었다.”(박원순) 국가보안법이 제정된 1948년 12월 1일부터 현재까지 보안법처럼 국내외적으로 논란과 곡절을 많이 겪은 법률도 드물 것이다. 여수ㆍ순천사건 직후에 이승만 정권에 의해 형법보다 먼저 제정된 보안법은 58년 12월 소위 보안법파동, 60년 민주당집권 때 폐기, 군사정권에서의 강화, 91년 5월 민자당에 의한 날치기 개정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우여곡절을 겪어왔다. 1958년 12월 24일 국회에서 경위권이 발동된 가운데 자유당 단독으로 신국가보안법을 통과시킨 이른바 ‘보안법파동’은 자유당 정권.. 2015. 4. 7. 강포한 남자와 근면한 남자 민영진의 히브리어에서 우리말로(13) 강포한 남자와 근면한 남자 강포한 사람과 근면한 사람은 엄연히 다르다. 한번은 일본어 성서와 우리 말 번역 성서를 비교해 읽는 어느 독자에게서 문의가 왔다. 1981년 판 ‘일본어 성서’ 잠언 11장 16절에는 “강포한 남자가 부를 얻는다”라고 되어 있는데, 우리 말 ‘개역성서’의 같은 구절은 “근면한 남자는 재물을 얻느니라”라고 되어 있어 너무나도 내용이 다르니 해명해 달라는 것이었다. 잠언 11장 16절은 세계의 성서 번역자들이 늘 고심해 왔던 구절 가운데 하나다. 지금 우리에게 전해진 원문 히브리어 성서를 따라 읽으면 ‘일본어 성서’의 ‘강포한 남자’가 옳다. 영어 번역판이나 중국어 번역판들 중에 히브리어 맛소라 본문을 가능한 한 그대로 옳기려고 하는 번역들도 .. 2015. 4. 7. 이전 1 ··· 269 270 271 272 273 274 275 ··· 2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