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85 거 참 보기 좋구나 아침부터 어둠이 내린 저녁까지 사람들이 끊이질 않았다. 한참을 기다려서야 차례가 돌아왔다. 한사람 끝나면 또 다음 사람, 잠시 쉴 틈이 없었다. 파마를 하는 사람도 있었고 머리를 다듬는 사람도 있었다. 노인으로부터 아이에 이르기까지 차례를 기다릴 때, 이런 저런 얘기로 웃음꽃이 피어나기도 했다. 난로 위에서 끓는 산수유차가 하얀 김으로 신이 났다. 원주 의 서명원 청년, 한 달에 이틀을 쉰다고 했다. 그 쉬는 날 중의 하루를 택해 아침 일찍 단강을 찾아 함께 예배를 드리고, 마을 분들을 위해 머리 손질 봉사를 하는 것이다. 하루 종일 서 있어야 하는 일, 결코 깨끗하다 할 수 없는 다른 이의 머리를 만져야 하는 일, 늘 하던 일을 모처럼 쉬는 날 또 다시 반복하야 하는 일, 그러나 어둠이 내리고 마지막 .. 2021. 12. 6. 파스 며칠 동안 머리가 아파 앓아누웠던 우영기 속장님이 주일을 맞아 어려운 걸음을 했다. 윗작실 꼭대기, 가까운 거리가 아니다. 겨울만 되면 연례행사 치루 듯 병치레를 하는 속장님. 두 눈이 쑥 들어간 채였다. 예배를 마치고 인사를 하는데 보니 머리에 하얀 것이 붙여 있었다. 파스였다. 다리가 아파 꼼짝을 못하는 김을순 집사님을 찾았을 때, 집사님은 기도해 달라시며 주섬주섬, 아픈 다리의 옷을 걷었다. 가늘고 야윈 다리, 걷어 올린 집사님의 다리에도 파스가 붙여져 있었다. 언제 붙였는지 한쪽이 너덜너덜 떼진 채 겨우 매달려 있는 파스였다. 만병통치인양 아무데고 붙는 파스, 아픔을 다스릴 방법이라곤 그것이기에. - 1991년 2021. 12. 4. 고무신 어릴 적 많이 신었던 신은 고무신이었다. 고무신도 두 종류였는데, 그중 많이 신었던 건 검정고무신이었다. 시커멓게 생긴 건 영 볼품이 없었지만 질기긴 엄청 질겼다. 쉽게 닳거나 찢어지지 않아 한번 사면 싫도록 신어야 했다. 땀이 나면 잘 벗겨져 뜀박질을 할 땐 벗어 손에 들고 뛰기야 했고, 잘못 차면 공보다도 더 높이 솟아오르기도 했던 고무신, 고무신은 수륙양용이었다. 사실 고무신은 땅보다도 물에서 더 편했다. 젖는 걸 걱정할 필요 없이 언제라도 물에 들어갈 수 있었고, 때론 잡은 고기를 담아두는 그릇 용도로도 쓸 수 있었다. 싫도록 신었던 고무신. 검정 고무신을 신을 때에는 흰 고무신이 부러웠다. 하얀 빛깔은 얼마나 깨끗했으며 그에 비해 검정 고무신은 얼마나 누추해 보였는지. 때가 지나 흰 고무신을 신.. 2021. 12. 3. 도리어 애틋한 시작 김민웅의 인문학 산책 도리어 애틋한 시작 시간이 빈틈을 보이는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어김없는 순서로 계절은 우리에게 육박해 들어오고, 우리는 때때로 그것을 마치 기습이나 당한 것처럼 여기기조차 합니다. “어느 새”라는 말은 우리의 무방비한 자세를 폭로하는 것이지 시간의 냉혹함을 일깨우는 말은 아닙니다. 활을 한 번도 쏘아본 경험이 없는 사람들마저도 한해의 마지막 달력을 응시하는 순간, “세월이 쏜 살 같다”는 표현이 전혀 낯설거나 또는 자주 들었다고 해서 구태의연하지 않음을 느끼게 됩니다. 나이만큼 그 속도는 비례한다고 하는 이야기는 그리 헛되지 않습니다. 남은 시간에 대한 자세의 차이가 가져오는 속도감의 격차입니다. 그러나 꼭 그렇게만 볼 수는 또 없을 지도 모릅니다. 나이보다는 지금 서 있는 자리.. 2021. 12. 1. 끌개 벌써 며칠 째인지 모른다. 소를 끌고, 아스팔트 위를 왔다 갔다 한다. 소등엔 멍에가 얹혔고, 멍에엔 커다란 돌멩이가 얹힌 나무토막이 연결되어 있다. ‘끌개’를 끌며 소가 일을 배우는 중이다. 등 뒤 벅찬 무게를 견디며 소는 묵묵히 걸어간다. 일소가 되기 위해선 배워야 할 게 많다. 곧 돌아올 일철을 앞두고 열심히 일을 배운다. 일소가 되기 위해 등 뒤의 무게를 견디며 천천히 걷는 연습을 하는 소, 등짝이 까지도록 끌개를 끄는 소를 보는 마음이 숙연하다. 주어진 밭을 갈기 위해 끌어야 할 끌개가 내게도 있다. 쉽지 않은 무게를 견디며 많은 시간 끌개를 끌어야 한다. 이 밭에서 저 밭으로 제 멋대로 소가 뛰는 건 제대로 일을 배우지 않은 탓이다. 쉽게 마치려 하고 쉽게 벗으려 하는 내 끌개를 몇 날 며칠 .. 2021. 12. 1. “됐니?” 초등학교 시절, 난 줄곧 반장 일을 보았다. 반장 일이란 게 특별나지 않아서 조회, 종례시간 선생님께 인사하고, 선생님이 자리를 잠깐 비울 일 있으면 자습을 시킨다든지, 책을 읽힌다든지 그런 일이었다. 반장 일을 하며 가장 어려웠던 건 환경정리를 할 때였다. 방과 후에 몇 명이 남아 교실의 환경정리를 했던 것인데, 대부분은 선생님을 도와 드리는 일이었다. 액자를 새로 달 때나 글씨를 써서 붙일 때는 으레 키가 크신 선생님이 그 일을 맡았는데, 그때마다 선생님은 “됐니?” 하며 액자나 글씨가 똑바로 됐는지를 물었다. 난 그게 어려웠다. “됐어요.” 소리가 선뜻 나오질 않았다. 확연히 삐뚤어진 거야 “좀 더 위로요, 좀 더 아래로요.” 할 수 있었지만 얼추 비슷하게 맞았을 때는 뭐라 대답하기가 어려웠던 것이.. 2021. 11. 30. 기쁜 소식 보지 않아도 안다. 이때쯤 도시의 모습이 어떠할지를. 어느 때보다 더욱 눈부시게 번쩍일 것이고, 신나는 캐럴은 인파만큼이나 거리마다 가득할 것이다. 예쁜 포장의 선물들이 사람들 손에 들려 있을 것이다. 빈들, 환영(幻影)처럼 서 있는 짚가리들. 무심한 참새 떼가 무심히 날고, 번번이 아니면서도 번번이 울어 혹시나 기대를 갖게 하는 뒷동산 까치들. 일 년 농사 마치고 모처럼 쉬는 소들. 일 때문에 모른 척, 아닌 척했던 병약함을 소일거리 삼아 맞는 사람들. 그렇게 겨울잠에 든 듯 조용한 마을. 2.000년 전 예루살렘과 베들레헴도 그러했던 거라면 이 계절, 오늘 이 땅에 전해질 기쁜 소식은 무엇인지. 그런 게 있기나 한 것인지. - 1989년 2021. 11. 29. 어머니의 무릎 무릎 꿇는 일이 부끄러운 일은 아니지요 꿇으라면 꿇는 일이 못할 일도 아니지요 하지만 남의 가게 밖 우편함에다가 전단지 종이 한 장 넣은 일이 죄가 된다면 가게 주인이 신고를 하고 몸소 고소를 당하시어 국가 공무원 경찰까지 출동할 만큼의 죄가 된다면 그 죗값 순순히 치르시고자 가게 주인과 경찰들의 발아래 무릎 꿇고 앉으신 어머니 돌처럼 단단한 그들이 시키면 시키는대로 돌바닥에 무릎 꿇고 앉아 두 손 모아 비신 어머니 그런데 이제껏 한평생을 어찌어찌 살아오셨길래 어느 누군가의 떨리던 손으로 포착했을 그 한 순간에 이 한 장의 사진 속에 담긴 어머니의 모습은 눈물이 핑 돌고 뼈가 저리도록 시렸을 그 가슴 아픈 한 순간조차도 칠순의 고개를 넘기신 어머니 모습은 제가 아무리 눈을 씻고 보아도 자녀를 위해 기도하.. 2021. 11. 28. 눌은밥 전기밥솥을 사용하는 요즘이야 맛보기가 힘들어졌지만 불을 때 밥을 짓던 어릴 적엔 밥솥 밑에 눌어붙은 누룽지 맛이 일품이었다. 누룽지는 좋은 간식이었다. 밥을 먹고 나서 마시는 시원한 숭늉맛과 함께 누룽지에 물을 부어 만든 눌은밥의 구수한 맛은 지금도 잊을 수 없는 맛으로 남아있다. 난 특별히 눌은밥을 좋아했다. 눌은밥을 좋아한다는 걸 은근히 강조했고, 식구들도 인정할 만큼 난 눌은밥을 즐겨 먹었다. 뭘 먹어 키가 크냐고 누가 물으며 눌은밥이라고 대답하기도 했다. 눌은밥을 좋하했던 데는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었다. 그땐 단순히 눌은밥이 좋아 그러는 줄 알았지만 지금 와 생각하니 눌은밥을 좋아했던 건, 또 다른 의도가 있었다. 어릴 적엔 분명 먹거리가 넉넉지 못했다. 한껏 배불리 먹는 것에 대한 미련이 늘 남.. 2021. 11. 28.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2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