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85

하늘 뜻 “대통령도 밥 묵고 사는 기여. 아무리 돈 많아도 돈 먹고는 못 사는 기여.” 도로에 벼를 널고 계신 동네 할아버지. 추곡 수매가에 대한 부총리의 대답을 어젯밤 뉴스를 통해 봤다시며 “지덜이 우리가 농사 안지면 뭘 먹구 살려구.” 하며 화를 내신다. 뭐가 어떻게 남는 건지 쌀 남으니 쌀 막걸리 만들고, 논밭이나 줄이자고 하는 나라님들 고견을 두고, 한 촌로(村老)의 말씀이 무섭다. 그 말씀 속에 스민 하늘 뜻이 두렵다. - 1989년 2021. 9. 18.
형에게 兄, 신집사님 댁에 보일러를 놓았습니다. ‘눈구뎅이 빠지며 나무 가쟁이 꺾을’ 또 한 번의 ‘서러운 겨울’을 앞두고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습니다. 兄의 믿음의 힘이 컸습니다. 하나님께 드릴 것 드린 것이라 당연하다 겸손하게 말하지만 어찌 그 당연함이 쉽기만 하겠습니까. 보일러를 놓은 방은 작은 한 칸 방입니다. 어린 아들 데리고 둘이 살아가는 좁다란 방입니다. 그 좁은 방에도 서러움은 많고, 한 겨울 주인처럼 찾아드는 추위를 두곤 생각도 많았는데, 이젠 그런 눅눅하고 무거운 마음도 많이 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근 한 달 일한 품값 받으면 밀린 빚 갚고, 연탄 좀 들여 놓을 수 있고, 남은 시간 또 일하면 겨울 지낼 양식 장만은 가능할 거라시며 신집사님은 모처럼 든든하십니다. 작은 키에 움츠린 어깨, .. 2021. 9. 17.
선의 희미한 가능성을 붙잡고 “기뻐하는 사람들과 함께 기뻐하고, 우는 사람들과 함께 우십시오.”(롬 12:15) 주님의 은총과 평화를 기원합니다. 백로와 추분 사이를 지나고 있습니다. 교우님들 가정마다 기쁨과 감사가 넘치시길 빕니다. 온 세상을 뒤흔들 듯 요란하던 매미 울음소리가 잦아들고, 이제는 귀뚜라미 소리가 들려올 때입니다. 도시의 소음 때문에 그 소리를 알아채기 쉽지 않지만, 이맘때가 되면 어릴 적에 벽 사이에서 들려오던 귀뚜라미 소리가 환청처럼 들려오는 것 같습니다. 시인 윤동주는 “귀뚜라미와 나와/잔디밭에서 이야기했다”고 노래했습니다. 어떤 이야기를 했는지 아무에게도 알려주지 말자고, 둘이서만 알자고 약속했다는 것입니다(‘귀뚜라미와 나와’ 중에서). 어떤 이야기를 나눴는지 알 수도 없고 알 필요도 없습니다. 그 고요한 귀.. 2021. 9. 16.
주님, 오늘 하루도 새벽 4시 20분. 어김없이 자명종이 웁니다. 날랜 벌래 잡듯 울어대는 시계를 끕니다. 졸린 눈을 비비고 일어나 세수를 하고는 주섬주섬 옷을 입습니다. 새벽공기 차가운 마당에 나서면 그제야 잠이 달아납니다. 가을 새벽하늘 별들은 시리도록 맑습니다. 밤새 이슬로 씻은 듯 깨끗합니다. 캄캄한 예배당, 오늘도 아무도 없습니다. 제단 쪽 형광등 2개와 십자가 네온에 불을 켭니다. 새벽종을 치기 전 늘 망설임이 지납니다. 여린 마음 탓입니다. 소리를 낮춰 종을 칩니다. 새벽 어둠속으로, 고단한 잠자리로 종소리는 달려갑니다. 잠시 후 개 짓는 소리, 그리고 예배당으로 들어서는 소리가 이어집니다. 들어서는 소리만 들어도 누군지 짐작이 갑니다. 대개는 둘, 간혹 셋이서 예배를 드립니다. 벼 베는 철, 납덩이 같이 무거.. 2021. 9. 16.
가을잎 푸른 하늘 길 없는 길을 하얀 뭉게 구름 흘러가는 가을날 푸른 무화과잎 소리 없는 소리로 아무리 손을 뻗어도 아직은 뿌리가 깊어 손인사 하듯 제자리에서 흔들릴 뿐 눈물처럼 떨군 가을잎 한 장 가을 바람이 좋아 얼싸 안으며 돌아 발길에 부대끼다 흙먼지로 돌아가도 이 땅이 좋아 푸른 하늘처럼 2021. 9. 16.
‘염려’없는 노동 백소영의 다시 김교신을 생각한다(33) ‘염려’없는 노동 - 전집 4권 『성서 연구』 「기독신자의 처세 원리」 - 임금피크제를 놓고 노사정간 의견조율이 안된다고 한참 시끄러웠다. 극적 타결을 보았다하지만 내용을 들어보니 결국 앞으로 차차 의논하며 적합한 제도를 만들어가자는 데‘만’ 합의를 한 모양이다. 그럴 일이다. 서로 “네가 양보해라”라고 주장하는 협상테이블에서 무슨 실질적인 합의가 나오겠나. 직업안정성이 있는 정규직이 날로 줄어드는 이 마당에 그나마 얼마 남지 않은 정규직 ‘부모’ 세대에게 ‘자녀’ 세대인 청년들의 고용창출을 위해 봉급을 깎자는 정부와 기업의 감성팔이는 생계형 노동현장을 살아가는 일반 시민정서에 통하지 않는 법이다. 그만큼 ‘깎아서’ 청년들에게 ‘미래가 보장되는’ 어엿한 직장을 마련.. 2021. 9. 16.
복음과 성공주의 이데올로기 “그 시작은 미미하지만 그 끝은 창대할 것이다.”(욥 8:7) “할 수 있거든이 무슨 말이냐? 믿는 사람은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막 9:23) “나에게 능력을 주시는 분 안에서 나는 모든 것을 할 수 있습니다.”(빌 4:13) 이 세 구절은 70년대 중반이후 지금까지 한국교회(특히, 순복음교회) 성장과정에서 가장 많이 쓰인 성서의 대목이라고 할 만 하다. 이 말씀을 듣고 주저앉았던 사람들이 일어서서 재기의 의욕을 불태운 경우가 적지 않다. 교회는 이러한 의욕의 무진장한 공급처였으며 그로써 한국사회의 발전을 보다 힘 있게 지원하는 근거지가 되었다. 7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가 겪은 가난과 열등감과 목표상실의 현실에서 풍요와 자신감과 성공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슬로건처럼 이 세 구절은 신앙인들에게 용기.. 2021. 9. 15.
그대 앞에 내 사랑은 그대 앞에 내 사랑은 가난한 사랑은 그대 가슴에 닿기도 전 스러지고 만다 마른 마음에 슬픔을 키우고 오늘도 해는 쉽게 서산을 넘었다 품을 수 없는 표정들이 집 앞 길로 지나고 무심히 서둘러 지나고 어둠속 부를 이름 없었다 웅크린 잠 꼭 그만큼씩 작아지는 생 하늘은 꿈에나 있고 폐비닐로나 널린 이 땅의 꿈을 두고 그대 앞에 내 사랑은 가난한 사랑은 아무것도 아니다 - 1989년 2021. 9. 15.
투기성 재산증식이라는 천박한 수단으로서가 아닌, 땅을 홉. 작이라는 작은 단위까지 나눠 땅에 대해 갖는 인간의 강한 집착은, 유한한 인간이 갖는 무한에의 동경일 수 있으며, 죽음의 기운에 싸여 사는 인간이 땅을 소유함으로 생명의 가능성을 확인하려 하는 일종의 본능에 가까운 보상심리 아닐까. 고향을 향한 회귀본능일 수도 있겠고. - 1989년 2021.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