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숙의 글밭506

진실이 걸쳐 입은 자유의 옷자락 신동숙의 글밭(165) 진실이 걸쳐 입은 자유의 옷자락 마음이 양팔 벌린 저울질로 춤을 춥니다 나와 너 사이에는 언제나 현실의 강물이 흐르고 머리와 가슴을 수없이 오르내리며 사실과 환상의 거름망을 촘촘히 거쳐 진실과 거짓이 주섬주섬 각자의 옷을 갖추어 입고 서로 먼저 길 떠날 채비를 하는 귀로의 시간 그리고 언제나 한걸음 먼저 앞세우는 건 진실 쪽이기를 가슴을 뒤덮으려는 실리와 이기의 구름을 헤치고 나아가 진실이 손잡이를 돌려 여는 새로운 문, 참된 길 진실이 걸쳐 입은 그 가볍고 홀가분한 옷섶을 스치는 자유의 바람 냄새 나아가 마음이 가는대로 행해도 법에 걸림이 없다는 자녀에게 물려주고 싶은 참된 유산 2020. 6. 10.
풀잎 오누이 신동숙의 글밭(160) 풀잎 오누이 어린 풀잎 무등을 태워주는 듬직한 오라버니 잎 어린 풀잎 치마폭으로 감싸주는 넉넉한 누이 잎 2020. 6. 8.
사람이 사는 마을이 그리워 신동숙의 글밭(159) 사람이 사는 마을이 그리워 깊은 산 속 울리는 산새소리에 좁은 마음 속으로 푸른 하늘이 열리고 순간 속을 흐르는 개울물소리에 사람의 말소리도 맑게 씻기어 흘러간다 바위에 걸터앉은 산나무에겐 하늘도 뿌리 내리는 땅이 되고 개울물에 잠긴 돌멩이에겐 흐르는 물이 한평생 머무는 집이 된다 사람이 사는 마을은 멀어서 바위처럼 단단한 가슴에도 한 줄기 그리운 산바람이 불어오고 산은 사람이 사는 마을이 그리워 개울물로 낮게 낮게 내려간다 2020. 6. 7.
때론 거친 숨으로, 그리고 언제나 평화로운 숨으로 신동숙의 글밭(158) 때론 거친 숨으로, 그리고 언제나 평화로운 숨으로 숨을 쉰다는 것은 살아 있다는 뜻입니다. 나의 숨을 스스로 쉴 수 있다는 것은 바람의 흐름처럼 어디까지나 자유로운 영역인 것입니다. 하지만 그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숨쉬는 일에 타의적으로 침해를 받아 숨이 끊어진 타살로 이어진 일이 최근에 일어났습니다. 미국의 조지 플로이드와 한국의 9살 남자 아이가 죽어가던 고통은 마음껏 숨을 쉴 수 없는 고통이었습니다. 경찰관의 무릎에 목이 눌려 숨이 끊어져 가던 마지막 순간까지 그의 입에서 새어 나오던 말은 "I can't breathe."였습니다. "나는 숨을 쉴 수 없다.", 계모의 학대로 9살 남자 아이의 몸이 갖힌 곳은 나중엔 더 작은 44cm·60cm의 여행 가방이었습니다. 아무도 아이.. 2020. 6. 5.
민들레 홀씨 날아서 신동숙의 글밭(157) 민들레 홀씨 날아서 민들레 홀씨 가벼웁게 날아서 골목길 보도블럭 틈새에 내려앉아 교회 예배당 새벽기도 드리러 가는 어스름 길 환하게 나를 위해 피어나는 고독한 민들레 민들레 홀씨 여유로이 날아서 명상의 집 소나무길 돌틈에 머물러 성당 아침미사 드리러 가는 고요한 길 환하게 너를 위해 피어나는 침묵의 민들레 민들레 홀씨 자유로이 날아서 오솔길 나무그늘 풀숲에 뿌리 내려 석남사 저녁예불 드리러 가는 맑은 길 환하게 우리를 위해 피어나는 사랑의 민들레 불고 싶은 대로 부는 바람을 따라서 자유와 진리의 푸른 바람을 따라서 그 어디서든 민들레 홀씨는 한결같은 마음으로 하늘 우러러 저절로 피어나 환하게 웃음 짓는 평화로운 민들레 한 송이, 평화로운 이 땅의 말씀 2020. 6. 3.
그리움의 실바람 한 줄기 불어오면 신동숙의 글밭(156) 그리움의 실바람 한 줄기 불어오면 그리움의 실바람 한 줄기 불어오면 어디선가 날 그리는 마음 하나 있어 때마침 걸려 오는 전화에 가슴 속 다정한 벗의 그리움이 그리움의 실바람 한 줄기 불어오면 어디선가 날 부르는 마음 하나 있어 아무도 내게 오는 이 없어 가슴 속 먼 별 하나의 어둔 밤이 날 그리며 날 부르는 보이지 않는 마음 하나 있어 그 별 하나를 가슴으로 품으며 나는 그리움 나는 밤하늘이 된다 2020. 6. 2.
안목, 서로를 알아볼 수 있는 기쁨 신동숙의 글밭(155) 안목, 서로를 알아볼 수 있는 기쁨 스승을 찾던 20대 시절이 있었습니다. 요가를 배우다가, 요가를 가르치다가, 몸의 움직임이 곧 의식의 움직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더 공부를 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때에도 혼자서 관련된 서적들을 찾아서 읽기 시작하였습니다. 단순한 요가로부터 시작된 책의 관심 분야는 점차 확장이 되었습니다. 인체, 근육과 골격, 운동과 춤, 자연식 섭생법, 한의학, 인도의 아유르베다, 심리와 마음에 관련된 수도승들의 체험 수필, 명상 서적, 명상 음악과 클래식, 국악, 동서고금의 철학과 고전으로 이어지며 자연히 관심 분야가 넓어졌습니다. 한 사람을 구성하는 세상의 모든 유형과 무형의 대상이 공부의 범주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다가 점점 명상으로 집중이 되었습니.. 2020. 5. 29.
앉아 있기 위하여 움직입니다 신동숙의 글밭(154) 앉아 있기 위하여 움직입니다 하루의 생활이 앉아 있기 위하여 움직입니다. 뻐꾸기 소리에 눈을 뜨는 아침에도 잠자리를 털고 일어나 바로 움직이기보다는 이부자리에 그대로 앉습니다. 말로 드리는 기도보다는 침묵 속에 머무르는 고요한 시간입니다. 고요한 아침을 그렇게 맞이하기로 하는 것입니다. 앉았는 자리가 먼 동이 트는 산안개가 고요한 어느 산기슭이면 보다 더 좋겠지만, 골방에서도 가슴엔 밝은 하늘이 펼쳐집니다. 밤새 어두웠을 가슴으로 숨을 불어 넣으며 더 내려놓으며 새날 새아침을 맞이합니다. 20년 전쯤에 요가를 배우며 알게 된 사실이 있습니다. 12가지 기본 동작을 아사나라고 하는데, 요가 수행자들의 몸수행의 방편이었던 아사나는, 앉아 있기 위하여 움직이는 조화로운 몸동작인 것입니다.. 2020. 5. 26.
제자리에서 피운 꽃 신동숙의 글밭(153) 제자리에서 피운 꽃 작약, 수레국화, 양귀비, 민들레, 금계국, 개망초, 철쭉, 소나무꽃, 초록 잎사귀, 둘레에는 언제나 넉넉한 하늘 초여름 강변에 피운 꽃들을 바라보면서 생각합니다.쉼 없이 떠돌아 다니는 생각은 바람이 되고 집 없이 자꾸만 흐르는 마음은 강물이 되고 할 수 있는 일이 아무 것도 없음을 저절로 알 때 제자리에서 피운 꽃들에게서 배웁니다. 바람이 꽃이 되고 물이 꽃이 되는 길을 제자리에 머물러 머리 위에 하늘을 이고 진리의 땅에 사색의 뿌리를 내리는 들숨 날숨에 기대어 마음을 내려놓으며 명상의 기도를 드리는 모습을 일상 속에 그려봅니다 상관없는 모든 아픔에까지 빗물 같은 눈물을 흘리다가 햇살 같은 웃음을 욕심 없이 짓다 보면씨앗처럼 작고 단단한 가슴이 열리어 제가 앉.. 2020.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