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희철의 '두런두런'1160

할아버지의 눈물 한희철 얘기마을(156) 할아버지의 눈물 정작 모를 심던 날 할아버지는 잔 수 모르는 낮술을 드시곤 안방에 누워버렸습니다. 훌쩍훌쩍 눈물을 감추지도 않았습니다. 아무도 달랠 수도 말릴 수도 없었습니다. 모를 심기 훨씬 전부터 할아버지는 공공연히 자랑을 했습니다. 그래서 일부러 모심는 날을 일요일로 잡았고, 흔해진 기계모를 마다하고 손모를 택했습니다. 여기저기 흩어져 살고 있는 일곱 자식들이 며느리며, 사위며, 손주들을 데리고 한날 모를 내러 내려오기로 했던 것입니다. 두 노인네만 사는 것이 늘 적적하고 심심했는데 모내기를 이유로 온 가족이 모이게 됐으니 그 기쁨이 웬만하고 그 기다림이 여간 했겠습니까. 기계 빌려 쑥쑥 모 잘 내는 이웃도 부럽지 않았습니다. 논둑을 고치고 모심기 알맞게 물을 가둬놓고선 느.. 2020. 11. 27.
할아버지의 사랑고백 한희철 얘기마을(155) 할아버지의 사랑고백 약주만 들면 교회에 들르는 할아버지가 있습니다. 허리가 반으로 접힌 꼬부랑 할아버지입니다. “내가 슬퍼.” 마음 아픈 일들을 장시간 이야기하기도 하고, 당신 살아온 이야기 하며, 마을 돌아가는 이야기들을 하고 싶은 대로 합니다. 나를 향한 호칭도 전도사님에서부터 목사님, 약주가 과한 날은 조카, 때론 자네가 되기도 합니다. “난 자네가 좋아. 아들 같어.” 평소엔 일마치고 돌아올 무렵 주머니 가득 달래를 캐가지곤 “이런 거 어디 나는지 모를 것 같아 캐 왔다.”시며 건네주곤 하는데, 약주를 하시면 약주 기운에 “난 자네가 좋다.”고 그 어려운 사랑고백 술기운에 기대 하듯 거듭거듭 그 이야기를 합니다. 날 좋아한다는 고백이 누구로부턴들 반갑지 않겠습니까만 한 할.. 2020. 11. 26.
남모르는 걱정 한희철 얘기마을(154) 남모르는 걱정 종하가 산토끼를 또 한 마리 잡았습니다. 올 겨울 벌써 일곱 마리째입니다. 토끼를 잡아들이는 종하를 종하 할머니는 걱정스레 봅니다. 먼저 간 아들 생각이 나기 때문입니다.종하 아버지도 산짐승 잡는 덴 선수였습니다. 그런데 그런 종하 아버지가 마흔도 못 채우고 일찍 병으로 세상을 떠난 것입니다.아버질 닮아 토끼 잘 잡는다고 동네 사람들은 종하를 신기한 듯 말하지만 할머니, 종하 할머니는 남모르는 걱정을 혼자 합니다. - (1992년) 2020. 11. 25.
장마 인사 한희철 얘기마을(153) 장마 인사 지난밤엔 천둥과 번개가 야단이었습니다. 야단도 그런 야단이 없었습니다. 잠시 쉴 틈도 없이 천둥과 번개가 하늘을 갈랐습니다. 파르르 번개가 떨면 창가까지 자라 오른 해바라기 이파리는 물론 논가 전기줄까지도 선명했고, 그 뒤를 이어서 하늘이 무너져라 천둥이 천지를 울려댔습니다. 신난 빗줄기도 맘껏 굵어져 천둥과 번개가 갈라놓은 하늘 틈을 따라 쏟아 붓듯 어지러웠습니다. “다들 휴거 됐는데 우리만 남은 거 아니야?”는 아내의 농담이 농담으로만 들리지 않을 만큼 두렵기까지 한 밤이었습니다. 때마침 정전, 흔들리는 촛불 아래 밀린 편지를 쓰다 쫓기듯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아침 일찍 작실로 올랐습니다. 늦은 밤의 기도가 없진 않았지만 무섭게 내린 비, 언덕배기 광철 씨네며 혼자.. 2020. 11. 24.
고추 자루 한희철 얘기마을(152) 고추 자루 망치 자루처럼, 마른 몸매의 지 집사님이 한 자루 고추를 이고 간다. 부론장에 고추를 팔러가는 길이다. 며칠 전엔 여주장까지 가 고추를 팔고 왔다.스물일곱 근, 아귀가 터지도록 고추 자루 묶어 맸지만 한번 팔고 와 몇 집 잔치 부조하면 그것으로 그만이다.곶감고치에서 곶감 빼먹듯 한 자루 한 자루 줄어드는 고추들.버스 운전사 눈치를 보며 지 집사님이 고추 자루를 싣는다. - (1992년) 2020. 11. 23.
넉넉한 사랑 한희철 얘기마을(151) 넉넉한 사랑 근 한 달 동안 훈련을 하느라 고생한 군인들을 위해 떡이라도 조금 해서 전하면 좋겠다는 말을 모두가 좋게 받았습니다. 맘씨 좋은 형님 같은 인상의 대대장도 교인이고 하니 부대선교를 위해서도 좋을 듯싶었습니다. 교회 형편이 형편인지라 방앗간에서 서너 말 쌀을 사서 떡을 만들어야지 싶었는데, 잠깐 기다려보라 한 교우들이 어느새 서로들 쌀을 모았습니다. 한 말 두 말 늘어난 쌀이 제법 되었습니다. 이야기를 들은 마을 몇 분도 쌀을 보태 어느새 모은 쌀이 한 가마에 이르렀습니다. 기꺼운 참여, 군에 간 아들 둔 부모도 있고, 군인들 바라보는 마음이 다 내 자식 같아 쌀을 모으는 마음들이 기꺼웠습니다. 서둘러 방아를 돌리고 뜨끈한 절편을 만들어 전했습니다. 한 가마나 되는 떡.. 2020. 11. 22.
거참, 보기 좋구나 한희철 얘기마을(150) 거참, 보기 좋구나 아침부터 어둠이 다 내린 저녁까지 사람들이 끊이질 않았다. 한참을 기다려서야 자기 차례가 돌아왔다. 한 사람 끝나면 또 다음 사람, 잠시 쉴 틈이 없었다. 파마를 하는 분도 있었고 머리를 다듬는 분도 있었다. 노인으로부터 아이에 이르기까지 자기 차례를 기다리며 이런저런 이야기에 웃음꽃이 피어나기도 했다. 난로 위에서 끓는 산수유차가 들썩들썩 신이 났다. 원주 선미용실의 서명원 청년, 미용실은 한 달에 두 번 쉰다고 했다. 그 쉬는 날 중의 하루를 택해 아침 일찍 단강을 찾아 함께 예배를 드리고, 마을 분들을 위해 머리손질 봉사를 하는 것이다. 하루 종일 서 있어야 하는 일, 결코 깨끗하다 할 수 없는 다른 이의 머리를 만져야 하는 일, 늘 하던 일을 모처럼 쉬.. 2020. 11. 21.
따뜻한 만남 한희철 얘기마을(149) 따뜻한 만남 모든 진료 활동을 마치고 돌아가기 전 군의관은 찬찬히 하루 동안의 안타까움을 말했습니다. 진료를 받은 마을 분들의 대부분이 전해 드린 몇 알의 약만으론 해결되기 어려운 병이었다는 것입니다. 보다 근원적이고 장기적인 진찰과 치료가 필요한 분들인데, 공연히 허세나 부린 것 아닌지 모르겠다며 미안해했습니다. 그러나 압니다. 그런 하루의 시간이 고마운 게 단지 병명을 짚어주고 몇 알 약을 전해준 데 있지는 않습니다. 쉽지 않은 훈련을 마쳐 피곤할 텐데도 귀대를 앞두고 하루의 시간을 마을 주민을 위해 할애한 그 마음이 무엇보다 고마운 것입니다. 그저 논밭이나 망가뜨리고 당연한 듯 돌아서곤 했던 해마다의 훈련인데, 그렇지 않은 모습을 대했다는 단순한 이유만으로도 고마웠던 것입니.. 2020. 11. 20.
승학이 엄마 한희철 얘기마을(148) 승학이 엄마 교회 바로 앞에 방앗간이 있습니다. 단강이 얼마나 조용한 동네인지를 가르쳐주는 것이 방앗간입니다. 평소엔 몰랐던 단강의 고요함을 방아 찧다 멈춘 방앗간이 가르쳐줍니다. 방아를 멈추는 순간 동굴 속 어둠 같은 고요가 시작됩니다. 익숙해진 덕에 많이는 무감해졌지만 그래도 방아 찧는 소리가 요란한 건 사실입니다. 얼마 전 승학이 엄마를 만났더니 미안하다고 합니다. 미안한 일이 없을 텐데 뭐가 미안할까 싶어 물으니, 이틀 전인 주일날 예배시간에 방아를 찧었다는 것입니다. 가능한 피하려고 했는데 손님의 다급한 청에 어쩔 수가 없었다고 했습니다. 전혀 몰랐던 일입니다. 이야기한 지난 주일만 해도 별 불편함 없이, 아니 아무런 불편함 없이 예배를 드렸습니다. 이야기를 듣고 보니 .. 2020. 11. 19.